344 0

탐구 기반 CSCL에서 실재감 유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탐구 기반 CSCL에서 실재감 유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resence Type on Learning performance in Inquiry based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Author
이은미
Alternative Author(s)
Lee, Eun-Mee
Advisor(s)
김동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많은 연구들이 인지적 과정을 주로 지원하는 CSCL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두어 CSCL에 대한 설계원리들을 제시하였다. 탐구과정이 있는 학습, 사람과 사람 간의 신뢰에 기반한 학습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회적, 인지적, 교수적 실재감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탐구 기반 CSCL에서 세 가지 실재감이 학습단계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며 각 실재감의 높고 낮음이 학습성과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실재감이 조화를 이루는 탐구기반 CSCL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먼저, 각 실재감과 학습성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의 양적 수치가 높게 형성되었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사적인 관계 구축에 그치는 경우, 그것이 과제지향적인 관계구축으로 이어져 과제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학습초기에는 개인적인 정보를 서로 공유하도록 촉진하여야 하며, 학습 후반부로 갈수록 과제지향적인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인지적 실재감이 높은 집단은 과제해결 과정에 대한 학습계획 및 코디네이션이 높았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구축이 덜 된 집단의 경우, 토론 후에 서로의 의견을 수렴해나가기 보다는 조사한 증거를 짜깁기하여 서로의 입장에서 정의를 내리는데 그쳤다. 일부 단계에만 치중된 탐구학습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협력활동에 대한 계획과 역할 분담에 대한 계획을 세워보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탐구학습을 하기 전에 서로를 탐색하고 사전 조율할 수 있는 간단한 협력활동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개별과제 성취도가 뛰어난 학습자 2명을 붙여놓는다고 해서 무조건 협력이 잘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적 성취가 높은 학습자도 협력 시의 온라인 도구를 사용능력이나 협력적 탐구를 이끌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가이드 및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적 실재감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습초기에 ‘학습설계’에 대한 가이드를 집중적으로 하여 학습자가 온라인 환경이나 과제를 인식하는 것에 있어 혼란스럽지 않도록 해야 하며, 학습중기에는 ‘토론촉진’ 피드백으로 협력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교수자는 학습 초, 중기까지는 학습자들의 활동에 ‘직접적 교수‘로 관여하다가 학습말기로 갈수록 점차 피드백을 감소시키고 팀에 좀 더 많은 탐색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위의 결과로 도출된 CSCL에 대한 설계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활동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에 대한 사회적/인지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활동 및 과제를 설계하라. 둘째, 협력활동 전에 개별활동을 통해 학습준비도를 높이도록 하라. 셋째, 본격적인 협력활동 전에는 가벼운 사전 협력활동을 제공하라. 넷째, 교수적 실재감은 학습단계에 따라 강약을 두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과정에 대하여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라.; While a advent of new way of e-learning, CSCL(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utilized as a viable learning environment at a variety of school levels as well as HRD sectors, it may not envision its own advantages over the other types of e-learning systems. From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CSCL, they have focused mainly how to design the components of CSCL for improving 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activities as well as coordination processes which may affect formulation of collective mental models and individual learning ourtcomes. CSCL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twofold line of approach: cognitive aspects and some sort of social or affective aspect. This study attempt to take the second perspective and the study presumed that one of the social aspectives 'presence' notion as a critical facilitator in order to support inquiry based learning processes. Based on this line of rationale,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ype of the presence relates with collaboration learning outcomes in inquiry oriented CSC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how the level of presence types affect to learning performance in inquiry based CSCL? Seconds, what kind of design principles are needed to facilitate presence in inquiry based CSCL?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while relation oriented presence such as social kind of activities had played as crucial role, the presence itself could not make a differen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collaborative results, some additional teachers' scaffolding was required to transfer positively formulated atmosphere of the relation-oriented presence to task-oriented presence. Second, the study has shown that when participants had shown high level of cognitive presence, they were supposed to efficiently coordinat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mong team members. Third, three types of teaching presence notion differently activated depending on stages of collaboration learning process. The major design principl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CSCL needs to design certain activities in order to ensure sharing learners' social and cognitive informations before main collaborative activities. It needs to design individual activities to facilitate participants' learning readiness before collaborative activities. It provides simple collaborative activity for practicing collaborative jargons before main collaborative activities. It provides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regarding their learning process and teamwork.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6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