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 0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정책대응성 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정책대응성 평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licy Responsiveness Evalu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Convention Orgarnizers : Focucing on the Related Groups' Perceptions
Author
한진아
Alternative Author(s)
Han, Gin-A
Advisor(s)
이연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국제협력과 교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세계경제의 개방화로 컨벤션산업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시대적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관광산업에 있어 컨벤션산업은 인적·물적 교류의 중계자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문인력 양성의 목적으로 도입된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응시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는 컨벤션산업의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정책성과에 대한 적정한 평가가 미흡하여 수혜자인 관련집단의 의견이 제도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가체계 및 방법이 산업현장의 요구와 수요를 실질적으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관련집단이 인식하는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에 대한 정책대응성을 파악하고, 관련집단의 특성에 따라 정책대응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관계를 파악하여 그 결과가 제도에 반영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정책대응성 평가를 위하여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와 정책대응성 평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컨벤션산업에 대한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정책대응성 평가를 위하여 관련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정책대응성 평가요인에 대한 평가도가 자격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및 호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본 연구의 가설로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관련집단인 현직경력자, 자격소지자, 자격시험 준비자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련집단의 특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모두 정책대응성 평가 요인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경력자와 자격소지자는 자격시험 준비자에 비해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성별과 근무년수 그리고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목적·가치, 보장성 요인에 대한 평가도는 만족도와 호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선,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인식향상과 저변확대를 위하여 체계적인 홍보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자격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체적인 정책마련과 자격소지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산업현장의 요구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격제도의 평가방법 및 내용을 개선하여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세 가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목적·가치 향상을 위하여 자격제도의 인식향상을 위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자격제도와 양성교육기관과의 연계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자격소지자에 대한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을 확립해야 한다. 또한, 고용의무화 및 인센티브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평가내용과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외국자격증과 연계하여 좀 더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관광학 분야에 행정학 차원의 정책평가 이론을 도입하였으며, 현실적으로는 관련집단의 인식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하여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정책적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나아가 컨벤션기획사 자격제도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컨벤션기획사의 사회적 인지도 향상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mand of convention industry has been steadily increased due to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change as well as the globalization in economy. Such trend of the times has given rise to raising the importance of convention industry as an intermediation of human and material interchange.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convention organizers was introduced to train experts and thus to meet the demand of convention industry. Despite the growth of convention industry, however, the yearly number of applicants for a certificate examination has been decreased. The decrease appears to have resulted from the following reasons, (1) the lack of research on the training of experts for convention industry, (2) the opinion of the related groups which has not been reflected in the certification system owing to the insufficiency of appropriate evaluation on the political outcomes of the system, and (3) th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which have not been practically adequate for the need and demand of convention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 improved policy direction and its alternative plan through the evaluation on the policy responsivenes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ted groups with regard to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convention organizers. A hypothesis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convention organizers and its policy responsiveness.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related groups, that is to say career personnel, certified individuals, and applicants for a certificate examination. The collected sampl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T-test,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oth career personnel and certified individuals rated the certification system negatively in contrast with applicants for a certificate examination. (2) Male, personnel with long career, and individuals with high academic background also assessed the system negatively. (3)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policy responsiveness appeared to influence the extent of satisfaction and response. This study revealed that a legal action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system. Accordingly,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policy direction. Firstly, the publicity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ly, the political plan to support the certified individuals should be constituted. Finally, the retraining system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profession and the renewal system of cert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Some significant points of this study are those that an administrative theory was introduced to the research in tourism and an alternative system was prepare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elated group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improvement of convention organizers by preparing a basis to strengthen their policy responsiveness on the certification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5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6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