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3 0

한·미 FTA 체결시 산업별 무역창출효과 분석

Title
한·미 FTA 체결시 산업별 무역창출효과 분석
Other Titles
Industrial Trade Creation Effect Analysis after Korea-U.S. FTA : Including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the Social Welfare in the Rice Market
Author
유정근
Alternative Author(s)
Yoo, Jung-Geun
Advisor(s)
조성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paper shows the economic effects after Korea-U.S. FTA through Panel Model and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he first topic analyses industrial trade creation effects due to the tariff elimination after Korea-U.S. FTA. The second topic analyses the social welfare effects in the case of opening the rice market after Korea-U.S. FTA. The recent studies regarding DDA and FTA were usually analysed by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CGE Model) and Gravity Model. CGE Model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due to the changes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policies systematically. However, this model has disadvantages that estimation results can not be tested statistically and estimators are changed by parameters sensitively. Gravity Model has an advantage that econometric results can be tested in the way of standard statistic methods. However, this model has a disadvantage that can be estimated only certain parts of economic effects due to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ies after economic integration. Panel Model analysis in this paper is though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ormer articles since the estimation results are tested statistically and all of the industries are concerned. Moreover, on the basis of Simultaneous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ocial welfare effects in the rice market of Korea are estimated. This also can be distinct from cost-benefit analyses in the former studies. First of all, the panel analysis results of industrial trade creation effects due to the tariff elimination after Korea-U.S. FTA are like below. It can be expected for Korea to increase the amount of exports, 108.1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transport industries (automobiles / parts and other transportation instruments) and 1.14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e U.S.,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exports, 25.16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precision industries, 4.42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and 0.27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computer industries. In addition, the social welfare effects in the rice market of Korea are like below. i.e. supposing that only the rice market is opened and the quality of the rice harvested in Korea and the U.S. is the same. In case the Calrose rice can be distributed fully in Korea market and the rice price in the U.S. is applied in Korea, total social welfare is estimated to increase about 1,981.6 billion wons. If the social welfare effect is divided into consumer's surplus and producer's surplus, it can be expected for consumers in Korea to be benefitted about 8,675.9 billion wons. However, it can be expected welfare loss about 6,694.2 billion wons for workers in the rice industries of Korea.; 본 연구에서는 한·미 FTA 체결시의 경제적 효과를 패널모형 및 연립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주제에서는 FTA 체결시 관세철폐로 인한 산업별 무역창출효과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주제에서는 FTA 체결시 쌀시장이 완전개방되었을 경우의 사회후생효과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DDA 및 FTA에 관한 분석은 주로 연산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모형 및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CGE모형은 관계당국의 정책변동이 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없다는 점과 추정 결과값이 parameter 값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한다는 단점이 있다. 중력모형은 계량분석결과를 표준 통계방법의 기준으로 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경제통합시 정책변화가 가져오는 효과들 가운데 일부만 측정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패널모형분석은 추정결과값에 대한 검증의 절차를 거쳤고 산업전체의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방법과 차별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연립방정식모형 분석을 근거로 국내 쌀시장 수요·공급곡선 도출을 통한 미국 쌀시장 개방시의 사회후생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미 FTA체결과 관련 기존연구들에서의 쌀시장 개방시 비용편익분석과는 차별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한·미 FTA 체결을 통한 관세철폐시 우리나라와 미국의 각 산업별 무역창출효과를 패널모형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일반차량/부품 및 기타수송기기, 통신기기에 대해서 각각 1억 810만불, 414만불 가량의 수출이 증대되고, 미국은 정밀기기, 통신기기, 컴퓨터에 대해서 각각 2,516만불, 442만불, 27만불 가량의 수출이 증대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여타산업을 제외한 쌀시장 개방만을 고려하고 미국 칼로스쌀과 우리쌀의 질이 같다는 전제하에서, 우리나라 쌀시장에 미치는 사회후생효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 칼로스 쌀이 미국 현지가격으로 우리나라에 국내쌀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국내 총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유통될 것을 가정하게 될 경우, 총사회후생 규모는 약 1조 9,816억원 가량 증대될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소비자 잉여효과와 생산자 잉여효과로 구분하면, 미국쌀시장 개방시 국내 쌀수요자들은 약 8조 6,759억원 가량의 후생증가의 혜택이 예상되지만, 국내 쌀산업 종사자의 경우 약 6조 6,942억원 가량의 후생손실을 감수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7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ECONOMICS(경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