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상훈-
dc.contributor.author하정화-
dc.date.accessioned2020-04-13T17:33:41Z-
dc.date.available2020-04-13T17:33:41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1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84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업복지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업복지만족도는 기업의 복지제도에 대해 종사자들의 질적, 비용, 의사소통, 전반적인 측면에서의 만족하는 정도로 측정하였고, 조직시민행동의 차원을 이타주의, 양심적 행동, 정당한 행동, 예의적 행동, 공익적 행동과 조직 공정성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은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기업복지를 경험하고 있는 금융권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부하여 231부를 회수한 설문응답 자료를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복지만족도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회사가 제공하는 복지제도에 대하여 종업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자발적이고 협동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데 필요한 요소임을 증명하였다. 통제변수에 있어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근속년수, 현 직위, 정규직여부, 근무환경 중 근속년수만이 유의미한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해석은 개인의 특성보다는 회사가 요구하는 특성과 개인의 특성을 적절히 조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인 근속년수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관계를 줄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절차공정성은 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시민행동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냈지만, 분배공정성은 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시민 행동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연구의 주장과 일치하였다. Moorman(1991)과 Niehoff & Moorman(1993)은 절차 공정성만이 조직시민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함을 시사하였고 Folger& Konovsky(1989)의 연구에서도 절차공정성이 분배 공정성보다 만족의 개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절차공정성 자각이 높을수록 기업복지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주는 영향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직시민행동을 나타내는 종업원들은 기업복지의 분배되는 양보다는 인식할 수 있는 공정한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총 만족도, 질적 만족, 비용 만족, 의사소통만족으로 구성된 기업복지 만족도는 이타주의, 양심적 행동, 정당한 행동, 예의적 행동, 공익적 행동으로 구성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어느 한 특성으로 설명되기 보다는 각 특성에 속하는 변수들의 복합적인 영향력을 통하여 설명된다고 볼 수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업복지만족도에 대한 절차 공정성의 조절기능이 실증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조직 공정성에 따른 기업복지 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국내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이란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기업의 성과의 차원을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wo explanations for relationships among Company Welfare Satisfaction(CWS), Organizational Justice(OJ)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e first explanation views OCB as a form of a dependent variable influenced by CWS. The second view is that OJ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WS and OCB. The research design is based on survey data acquired from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231 employees in banks, securities finance and insurance corporations. Variable definitions are as follows; CWS is organized by four satisfaction factors: Quality, Cost, Communication and General. OJ is composed by two types of justices: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OCB is divided by five dimensions: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Courtesy and Civic Virtu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finding showe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WS and OCB. OCB was encouraged by the employees' satisfaction from company welfare. Of the control variables, continuance year in office tended to display OCB, more than gender, age, education, marriage, position, regular job, and work environment. It was explained that OCB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years in office which helps employees engage in their business organizations, more than other factors. The second finding was that Procedural Justice showe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WS and OCB, but Distributive Justice was not found to display the role. The results were virtually identical with the studies of Moorman(1991) and Niehoff & Moorman(1993); They found OCB interacting with only Procedural Justice in OJ. In addition, Folger & Konovsky's research(1989) also insisted OCB related to Procedural Justice, rather than Distributive Justice in the concept of satisfaction. The finding confirmed that increased Procedur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WS and OCB was more likely to positively affect the employees' behaviors in their organizations. It was also interpreted that the employees tended to show more interesting about fairness than allocated quantity from company welfare. In the conclusion, The results were formed by complex interaction among various variables. CWS which consists of satisfaction degrees from quality, cost, communication and general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 which comprises five dimensions: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Courtesy and Civic Virtue. It was substantiated that Procedural Justice was found to moderate OCB to be linked by CW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 are two cautious Implications. First, the relationship studies between CWS and OCB has received only minimal attention in Korea. Second,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business outcome in broad perspectiv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Company Welfar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하정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 Jung-Hw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조직인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