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9 0

생성 다이어그램과 재현방식을 통한 바로크 건축에 관한 연구

Title
생성 다이어그램과 재현방식을 통한 바로크 건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roque Architecture through the Concept of the Generative Diagram and Representational Method - Focused on the Religious Buildings of Francesco Borromini, Guarino Guarini and Johann Balthasar Neumann -
Author
김홍수
Alternative Author(s)
Kim, Hong-Su
Advisor(s)
정인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오늘날 많은 철학자들은 우리 시대를 바로크 시대와 비교하고 있다. 특히 질 들뢰즈는 바로크 철학자들의 생각을 현대적인 사유체계에 접목시키고 있으며, 바로크는 본질이 아니라 작동하는 기능과 특질을 언급하는 것이라고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이런 들뢰즈의 사유방식은 주름과 다이어그램이라는 개념을 통해 오늘날 건축가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래서 그의 사유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바로크 건축뿐만 아니라 동시대 건축의 향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현재 바로크 건축이 다시 언급되고 있는 이유는 디지털 건축과 바로크 건축이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건축 공간과 형태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 두 시기는 재현과 건설사이의 갈등이 유발되면서 건축 존재론의 위기가 대두되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오늘날 디지털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재현 방식의 출현은 건축 표현상에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해, 평행투영법(평면, 입면, 단면), 투시도법 그리고 사영기하학과 같은 전통적인 재현 방식들은 건축 디자인에서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건축 역사상 재현과 건설사이의 관계의 변화가 건축 디자인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시기가 바로크 시대였다. 바로크 건축가들은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들을 자기유사적인 반복과 변형을 통해 파동치는 공간과 3차원의 곡면 형태들을 만들어 나갔다. 그 당시 유동적인 공간과 자유로운 형태가 주된 이상으로 등장하면서, 바로크 건축가들은 르네상스 시대에 정립된 재현방식으로는 그들의 생각들을 표현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바로크 건축가들은 그것들을 건축주와 시공자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재현 방식을 탐구해야만 했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로크 건축의 내적 본성을 드러내는 생성 다이어그램을 도출하고, 이것이 어떻게 건축 공간과 형태로 발전되어 나갔는지를 공간생성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바로크 건축가들이 그들의 생각을 다양한 재현 방식들을 통해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고찰을 바탕으로 재현 방식과 건설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로크 시대를 대변하는 세 건축가들의 종교 건물에서 생성되는 공간을 면밀하게 관찰해 볼 경우, 거기서 등장하는 중심 공간의 형태, 부속 공간의 위치, 기둥의 위치, 돔의 형태 및 구조 방식 등이 내재적인 생성규칙을 통해 배치되고 만들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원칙은 씨앗과 거울이라는 두 가지 생성규칙에 의존하고 있다. 여기서 씨앗은 가장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말하는 것이고, 이들의 자기유사성을 통한 반복에 의해 공간과 형태를 생성시켜 나갔다. 여기서 대조적인 공간의 병치와 수직적 수평적 공간의 상호관입은 각각의 형태에 대한 동일성을 탈취해 버리고 계속적인 차이를 발생시켰다. 이런 바로크 건축은 외견상 복잡하고 복합적이어서 마치 미로처럼 인식된다. 그렇지만 그것은 기본 패턴의 반복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질서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바로크 건축의 본성은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형태적인 특징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형태와 공간을 생성해내는 내재적인 작동방식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바로크 건축가들이 작성했던 원본 스케치들과 도면들을 면밀하게 검토해 본 결과, 바로크 건축에서 나타나는 재현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그것은 분열된 재현 방식, 왜곡된 재현 방식, 그리고 절석법(Stereotomy)과 사영기하학의 출현이다. 셋째, 바로크 시대에 나타나는 새로운 재현 방식들은 복잡한 공간과 3차원의 곡면 형태를 구축 가능하도록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투시도법과 같이 새로운 공간을 생성하는 일종의 생성 다이어그램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바로크 건축에서 근본적으로 재현과 건설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는지, 새로운 재현 방식들이 건설 현장에서 건축물을 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는지는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당시 건설의 진행 과정, 재현 방식의 수학적 정확도 그리고 건축가들이 작성했던 절석법 도면들을 볼 때, 바로크 건축에서 나타나는 자유로운 곡면 형태들은 전통적인 석공의 실무 기술이었던 절석법에 의존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바로크 건축가들은 수학과 기하학을 기초로 계산 가능한 재현 방식을 탐구했지만, 그것이 아직까지는 시공 현장에까지 이르지는 못했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바로크 건축은 여전히 시공 현장에서 장인들의 건설 경험에 의존했을 가능성이 높다.; Today, many philosophers are comparing our age with the Baroque age. Particularly, Gilles Deleuze has grafted the Baroque philosophers' ideas on the contemporary method of thought, and has defined that the Baroque is not an essence but an operative function and trait. Deleuze's method of thought has been accepted to the contemporary architects through the concept of diagram and fold. Therefore, understanding his thought is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well as Baroque. Now the Baroque architecture has been referred again since it has many kinds of similarity between Baroque and digital architecture. Among them,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is the most remarkable thing. In terms of driving the ontology of architecture into crisis, these two times are alike as discord between representation and construction arose. At present the emergence of a new representational method based on digital modeling has changed the expression of architecture in an innovative way. Due to this evolvement,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method such as parallel projection plan, elevation and section - perspective and descriptive geometry have lost their original meanings in architectural design. Similarly,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there was a period when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construction made significant an impact on architectural design: the Baroque age. The Baroque architects designed using undulating space and three-dimensional curvilinear forms through self-referential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distortion) of simple geometrical shapes. As undulating space and free form became a leitmotif of the period, the Baroque architects realized that representational method established in the Renaissance could no longer contain their ideas. So the Baroque architects had to develop new representational methods to explain to their client and builders. In connetion with this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will extract generative diagram in the Baroque architecture, and examine how it was developed int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through the generative process. Second, this study will examine intensively how the Baroque architects represented their ideas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al methods. Finally,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will show clear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constructio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case of investigating closely into architectural space in three representative Baroque architects' religious buildings,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form of the central space, position of the attached space, position of column, form of dome and method of structure and so forth were made and arranged through intrinsic generative rule. The principle depends on two generative rules of 'seed' and 'mirror'. Here, 'seed' referred to the simplest geometrical form and generated space and form by repetition through their self-similarity. In addition, the juxtaposition of differential space and vertical and horizontal the interpenetration of space not only eliminated identity about each form but also generated continuous difference. The Baroque arcitefcture, which was appeared outwardly, was so complicated and complex that it wal looked like labyrinth. However,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mplication and complexity was generated by the most fundamental order of the repetition of the basic pattern. In terms of this point,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 essence of the Baroque architecture was not in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form but in the intrinsic method of operation generating form and space in the Baroque architecture. Second, as we intensively examine original sketches and drawings that the Baroque architects made out, representational methods in the Baroque architecture have three characteristics: fragmented Representation, distorted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through Stereotomy and Projective Geometry. Third, during the Baroque new representational methods was not only functioned as a kind of generative diagram to create new space like a perspective projection, byt also used by means of expression to construct complicated three-dimensional space and curved surface. Finally, it has not been proved clearly whether there was any direct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construction, and whether new representational methods fundamental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buildings in construction site in the Baroque architecture. However, when we examine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mathematical accuracy of representational method and stereotomic drawings that architects made out at thatk time,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freely curved surface in the Baroque arcitecture might be constructed according to stereotomy traditional mason's practical technique. It was appeared that the Baroque architects investigated the calculable representation by mathematics and geometry, but this representation was not us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at is, the Baroque architects tried to express complicated space and three-dimensional curves through the new geometric system. owever, I though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ir forms would depend more on craftsman's experience of construction rather than the representation of geometrical calcul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