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7 0

비만 여성을 위한 의복 치수 체계 연구

Title
비만 여성을 위한 의복 치수 체계 연구
Other Titles
Apparel Sizing System for Women with Obese Figure : Focusing on the Formal Dressfor 20s and 30s Women
Author
김현아
Alternative Author(s)
Kim, Hyun-A
Advisor(s)
서미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 비만 인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비만 여성의 비율이 전체 여성의 28.3%로써 국내 의류 시장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정장 의류의 패션을 주도하고 있는 20~30대 여성 중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한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비만 여성의 기성복 만족도를 조사하고 여성복 브랜드의 의복 치수 체계 실태를 파악하여, 20~30대 비만 여성들을 위한 새로운 의복 치수 체계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20~30대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정장 구입 현황과 정장 착용 시 의복의 치수 만족도에 관해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성복 브랜드의 정장 제품 치수 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12개의 여성복 브랜드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비만 여성 체형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제5차 한국인 인체 치수 조사’자료 중 BMI가 25kg/㎡이상인 20~30대 비만 여성의 인체 측정치를 추출하여 비만 체형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를 근간으로 하여 비만 여성을 위한 의복 치수 체계를 제안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Ver.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의복의 대표 치수 부위를 설정한 후, 구간별 빈도와 백분율을 제시하였으며 빈도가 높은 구간을 소비자 치수 커버율이 높은 구간으로 설정하여 의복 치수 체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비만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장 의복에 대한 치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불만족도가 높은 부위는 정장 재킷의 경우 소매길이, 소매통, 엉덩이둘레, 허리둘레, 가슴둘레 순이었고, 정장 스커트의 경우 엉덩이둘레, 스커트길이, 밑단둘레, 밑단트임길이 순이었으며, 정장 바지의 경우 바지길이, 넙다리둘레, 엉덩이둘레, 샅앞뒤길이, 허리둘레 순으로 나타났다. 길이 항목의 경우 재킷의 소매길이와 스커트길이, 바지길이는 길어서 맞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스커트의 밑단트임길이와 바지의 샅앞뒤길이는 짧아서 맞지 않는다고 하였고, 둘레항목은 모두 작아서 맞지 않는다고 하였다. 정장 상의의 경우 소매와 관련된 치수에 매우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의의 경우 허리둘레는 만족한 반면 엉덩이둘레의 불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복 브랜드의 치수 체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생산 치수 현황을 살펴보면, 브랜드별로 최소 (구)55와 (구)66의 2가지 사이즈에서 최대 (구)44, (구)55, (구)66 (구)77, (구)88의 5가지 사이즈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복 브랜드 중에서 비만 여성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구)88 사이즈 이상을 생산하는 브랜드는 전체의 1.6%에 불과했다. 또한, 의복 제품의 제품별 치수 편차를 조사한 결과 사이즈별로 5cm의 편차를 적용한 곳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 치수범위를 조사한 결과 재킷의 경우에는 가슴둘레 82.6~101.4cm, 엉덩이둘레 89.5~ 110.3cm, 스커트의 경우에는 허리둘레 67.2~86.0cm, 엉덩이둘레 87.7~ 107.0cm, 바지의 경우에는 허리둘레 67.2~87.0cm, 엉덩이둘레 87.5~ 106.5cm의 치수 범위를 생산함으로서 바지와 스커트는 기본 치수 부위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로 같음에도 불구하고 치수 범위는 달랐으며, 대부분의 브랜드에서 바지와 스커트를 호칭별로 같은 편차로 두고 있었다. 셋째, Size Korea의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를 통하여 20~30대 비만 여성의 신체 부위 치수를 정상 체형 여성의 신체 부위 특성과 비교하여 체형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만 체형이 정상 체형에 비해 대부분의 둘레 항목에서 더 높은 치수를 나타냈으나 키, 앉은키, 목뒤높이, 허리높이, 엉덩이높이, 엉덩이옆길이, 엉덩이수직길이, 넙다리길이와 같은 길이와 높이에 해당하는 8개 항목은 정상 체형보다 비만 체형의 측정치 평균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30대 비만 여성을 위한 치수 체계를 제안하기 위하여 각각의 둘레 부위 중 주요 치수 범위는 4cm의 편차로 설정하였고, 비만 여성의 분포율이 낮은 구간은 5cm의 편차를 적용하여 부등간격으로 치수 범위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상의의 경우 가슴둘레는 85.0cm부터 106.4cm까지, 엉덩이는 88.0cm부터 109.4cm까지 커버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상의의 경우에는 호칭을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치수 조합으로 나타내어 87-98, 91-94, 91-98, 95-90, 95-94, 95-98, 95-102, 99-98, 99-102, 104-107의 총 10개의 치수 체계를 제안하였다. 하의의 경우에는 허리둘레 72.0cm부터 98.4cm까지, 엉덩이둘레 88.0cm부터 109.4cm까지 커버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호칭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치수 조합으로 나타내어 74-98, 78-90, 78-94, 78-98, 82-94, 82-98, 82-102, 86-98, 86-102, 91-102, 96-107의 총 11개의 치수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비만 체형의 특징에 맞게 재설정된 치수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20~30대 비만 여성의 기성복 만족도 및 착의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생산 업체에서는 효율적으로 치수 체계를 관리하여 상품 재고량을 감소시켜 줄 것이며, 궁극적으로 의류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obese people in Korea is steadily increasing, and actually the number of obese women accounts for 28.3% of total women number. Though this percentage is considerable, the study of the clothes sizing system for obese women, among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lead the current formal dress fashion, is not 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clothes sizing system for obese women in 20s and 30s by surveying satisfaction of obese women for the apparel and investigating the actual sizing system for women clothes brands. For this study, the consumer survey of obese women in 20s and 30s was carried out about purchase state of formal dress and satisfaction with clothes size, and the survey of 12 women's clothes brands was also carried out about actual condition of sizing system for formal dress. Besides, characteristics of obese women's body shape were found out by extracting body measurements of obese women in 20s and 30s who have BMI of more than 25kg/㎡ in the data of 5th Size Korea,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women was suggested . Data analysis was done by means of program SPSS.Ver.12.0. Then representative clothes size parts were established, frequency by section and percentage were presented, high frequented sections were set up as the sections with high consumer size coverage ratio, and finally new apparel sizing system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f obese fe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about satisfaction with formal dress size shows that unsatisfactory parts are, for formal jacket, sleeve length, sleeve width, hip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bust circumference in order, and, for formal skirt, hip circumference, skirt length, hem circumference, and hem vent length, and for formal pants, pants length, thigh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crotch length, and waist circumference. In terms of length, jacket's sleeve length, skirt length and pants length are too long to fit, and contrarily skirt's hem vent length and pants's crotch length are too short. In terms of circumference, all items are too short to fit. Second, based on the study of the sizing system of apparel brand for women, followings are acquired. When it comes to clothes size, percentage of the brands that produce bigger than (old) size 88, which applies to obese women, is just 1.6% out of all brands. In size deviation by clothes, most brands use 5cm deviation by size. In product size range, jackets have bust circumference 82.6~101.4cm and hip circumference 89.5~110.3cm, skirts have waist circumference 67.2~86.0cm and hip circumference 87.7~107.0cm, and pants have waist circumference 67.2~87.0cm and hip circumference 87.5~106.5cm Third, body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comparing body part size of obese women with those of standard women using data from 5th Size Korea. Body shape of obese women have bigger size in most circumference than those of standard women. However, in 8 categories of length and height such as stature, sitting height, cervical height, waist height, hip height, waist to hip length, body rise, and thigh vertical length, average measurements of obese women are less than standard women. Fourth, in order to suggest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women in 20s and 30s, in each circumference part, deviation is set up 4cm in the main size range and is differently set up 5cm in the range which shows low percentage of obese women. As a result, in case of upper garment, bust circumference can cover 85.0cm to 106.4cm and hip circumference can cover 88.0cm to 109.4cm, and finally, total 10 sizing system such as 87-98, 91-94, 91-98, 95-90, 95-94, 95-98, 95-102, 99-98, 99-102 and 104-107 is suggested. In case of lower garment, waist circumference can cover 72.0cm to 98.4cm, and hip circumference can cover 88.0cm to 109.4cm, and finally, total 11 sizing system such as 74-98, 78-90, 78-94, 78-98, 82-94, 82-98, 82-102, 86-98, 86-102, 91-102 and 96-107 is suggested. The above study result provides information of the size reestablish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obese women's body shape. So, for obese women in 20s and 30s, it can improve satisfaction with apparel and clothes fitness, and it can help clothes manufacturing companies to manage sizing system efficiently and reduce the total stock. Ultimatel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clothing industry develop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