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5 0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모션그래픽의 확장과 융합 현상에 관한 연구

Title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모션그래픽의 확장과 융합 현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henomena of expansion and convergence of motion graphic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uthor
김재명
Alternative Author(s)
Kim, Jae-Myoung
Advisor(s)
이수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Mankind cognizes most of the informations by visual sense, of five senses. Before photograph was invented, painting was a main medium to preserv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s we had. Language also developed out of painting. With the help of the developments of modern science, we could have add temporal elements to fixed painting and photograph and think and represent object by mobile image. In the industrial age, the field of image was mainly divided into the genre of motion picture and animation.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age, motion graphic distinct from animation has newly emerged from the field of design.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interpret this new genre of motion graphic as either "illustration moving with moving image“ or "moving information in which graphic elements is combined with sound." However, this interpretation falls short of explaining fully the new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graphic.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motion graphic is a more proper concept to identify the works we make when temporal and other informations are added to illustration (or graphic) which has rich genres and modes of expression. It is also misleading if motion graphic is seen the same as animation or subsumed under the genre of animation. This study tried, in chapter Ⅱ, to propose a definition of motion graphic which has expanded its field in recent times, and explored the convergence phenomena in motion graphic developing in step with the transformations of media environments. First, we defined motion graphic as new metaphor. Then based on this defin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emergence of, the convergence phenomena emerging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a paradigm change in motion graphic. Second, with a view to providing the context for motion graphic, we described the expansion of technology and visual desire,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in the digital era, the increasing combination of image and sound, the advent of image age, and the expansion of culture technology. Third, we surveyed a history of motion graphic dividing into the five phases, from the invention of photograph and Analytical Engine, the period of motion picture and graphic, through hypermedia and multimedia. module media and digital composite, to network and interface. Chapter Ⅲ examined the changes in motion graphic environments to analyze the phenomena of expansion of the field of motion graphic. Of the changes, our concern concentrated on the phenomena brought about by the changes of our idea of time and space, on the relation between media and motion graphic, on the nexus between digital, image and motion graphic. We investigated the role of motion graphic in interface and interactivity as well. Last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world emerging out of the combination of sound and motion graphic, the cases of the art world utilizing motion graphic, and the ways in which motion graphic are being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presence and mobile. Chapter Ⅳ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future line of development in motion graphic. First we provided a new definition of motion graphic. Then by identifying motion graphic as a new media, this study suggested ways of interaction in motion graphic, the trend of motion graphic and an educational direction for motion graphic.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offer synthetically,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discussed above, a new definition and concept of motion graphic. Since it is based on its unique psychological operation and our shared aesthetic experiences, motion graphic shows, especially in terms of influence, an essenti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other communication media. Therefore, motion graphic cannot be merely interpreted as an application of moving graphic to media, but should be regarded as a independent field.; 인간은 오감 가운데 시지각을 통하여 정보의 대부분을 인지한다. 사진이 발명되기 이전까지 그림은 시지각을 통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다. 문자 또한 그림이 발전하여 이뤄 졌다. 과학의 발전은 고정된 그림과 사진에 시간이라는 요소를 더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인간이 사물을 동영상으로 인식하고 재현할 수 있는 시대를 열어 주었다. 산업시대의 영상 영역은 애니메이션과 영화로 구분되었으나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영화 영역의 애니메이션과는 차별화되는 디자인 영역의 모션그래픽이 새롭게 등장했다. 새롭게 출현한 움직이는 그래픽을 “동영상으로 움직이는 일러스트레이션”이나 “그래픽의 요소들이 사운드와 융합된 움직이는 정보”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그래픽에서의 새로운 발전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영역과 표현을 가진 일러스트레이션 또는 그래픽에 시간과 각종 정보가 더해져 나타나는 결과물을 ‘모션그래픽’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모션그래픽을 애니메이션과 동일한 영역으로 보거나 애니메이션 속에 포함된 영역으로 해석하기에도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제 2 장에서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모션그래픽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도하면서, 미디어 환경 변화에 조응하여 나타나고 있는 모션그래픽 영역에서의 융합현상을 연구했다. 세부적으로 첫째 모션 그래픽의 개념을 신 메타포로 정의한 후 이에 기초하여 모션그래픽의 출현,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일어나고 있는 모션그래픽의 융합 현상,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둘째로 모션 그래픽의 개념 정의를 위한 배경을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테크놀로지와 시각 욕구의 확장, 디지털 시대의 기술의 컨버전스, 여기에 따라 점차 부각되고 있는 이미지와 사운드의 결합 현상, 매체가 발전하면서 대두된 이미지 시대의 출현, 문화기술의 확장 현상을 살펴보았다. 셋째로 모션그래픽의 역사를 사진과 해석 엔진의 출현, 영상과 그래픽의 시대, 하이퍼미디어와 멀티미디어의 등장, 모듈 미디어와 디지털 합성,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라는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고찰했다. 제 3 장에서는 모션그래픽 영역이 확장되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모션그래픽 환경 변화를 탐색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특히 시간과 공간성이 변화를 거치며 나타나는 현상, 미디어와 모션그래픽의 관계, 디지털과 이미지 그리고 모션그래픽과의 상관성등을 중점적으로 기술했다. 또한 인터페이스와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에서의 모션 그래픽의 역할, 사운드와 모션그래픽이 결합되면서 나타난 미디어의 세계, 예술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모션그래픽의 사례, 프레즌스(Presence)와 모바일 발전에 응용되고 있는 모션그래픽을 살펴보았다. 제 4 장에서는 모션그래픽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첫 번째로 모션그래픽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의했으며, 두 번째로 모션그래픽을 뉴미디어로서 보면서 그래픽의 상호작용의 방식들, 모션그래픽의 트렌드, 모션그래픽의 교육 방향을 제시했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들을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모션그래픽의 새로운 정의와 개념, 그리고 발전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모션그래픽이 매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심리적 조작과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미학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지금까지의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들과도 본질적으로 다른 면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모션그래픽은 단순히 움직이는 그래픽이 매체에 적용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제 하나의 독자적인 영역으로 자리 매김 해야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