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부자-
dc.contributor.author마상미-
dc.date.accessioned2020-04-13T17:21:48Z-
dc.date.available2020-04-13T17:21:48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5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29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 미술 감상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인격체로서 유아의 전인발달을 돕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성게임이라는 명화 감상지도 방법을 적용한 미술 감상활동과정에서,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과 감상능력의 특성과 유아교육 기관에서 감상활동이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과정에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 및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1>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과정에서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 변화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가설 1-1.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은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문제2>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과정에서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 변화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가설 2-1.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은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문제3>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과정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3-1.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과정에서 수업에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3-2.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과정에서 교사에게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3-3.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과정에서 유아들에게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00구립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20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유아들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중류층인 만 5세 집단을 무선 배정하여 동질화하였으며 이 중 실험집단 유아 10명과 비교집단 유아 10명이다. t검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평균월령은 2006년 5월 기준으로 각 70개월(t=0.00)로 동일한 집단이었으며, 이 중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생성게임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을 9주 동안 총 15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는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Project Spectrum의 시각예술 영역에서 사용한 척도(Chen & Feinburg, 1990)를 사용하였으며, 차 후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및 측정 시기별 변량분석을 하였다. 더불어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Feldman(1970)의 미술 감상모형을 토대로 감상수업에서의 유아의 언어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미술 표현능력의 변화는 생성게임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서 기본형태, 정확한 색의 사용, 공간구도, 다양한 색의 사용, 다양성, 역동성, 표현력, 충만감, 심미적 감수성의 9가지 요인에서 더욱 더 의미 있는 점수를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미술 감상능력의 변화 역시 생성게임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서 서술하기, 분석하기, 해석하기, 판단하기의 네 가지 측면을 골고루 표현하였다. 셋째, 수업에서는 생성게임의 적용으로 인하여 유아중심의 수업 구성과 감상수업의 활성화, 수업 내용의 다양화와 감상 활동과 표현활동의 통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사 측면에서는 감상수업에서 적절한 교사의 역할 구성과 함께 반성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아 측면에서는 감상수업에서 능동적인 역할 구성과 함께 긍정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생성게임이라는 발문기법을 적용한 명화 감상활동이 유아들의 미술 표현능력 및 감상능력, 그리고 수업과 교사·유아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감상활동의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to help whole pers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with this data to a righteous character. For that, in process of art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uidance methods for a masterpiece appreciation called a generic game, it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art expression and appreciat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 and the change in overall process of appreciation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What is a special feature of the change in art express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 in the process of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Hypothesis 1-1.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may positively affect art express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 <Research question 2> What is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change in art appreciat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 in the process of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Hypothesis 2-1.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may positively affect art appreciat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 <Research question 3> What changes are happened in the process of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3-1. What changes are occurred during class in the process of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3-2. What changes are broken out to the teacher in the process of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3-3. What changes are arisen to young children in the process of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To confirm those, it was conducted to 20 young children under 5 years old and homeroom teacher in 00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The 5-years children who are in middle class family in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were randomly arranged and homogenized as 10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for the comparative group. As the result of t-test, mean monthly age in both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was identical as 70 months (t=0.00) each in May 2006. And,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the generic game was conducted a total of 15 times for 9 weeks to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analyze the change in art express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a standard used in visual arts area of project spectrum (Chen & Feinburg, 1990) was used and with SPSS 12.0 program, it performed analysis of variance by group and by measuring time. In addition, for the change in art appreciation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it analyzed verbal expression of them during class based on art appreciation model of Feldman (1970).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change in art expression cap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children showed more significant points in 9 elements such as basic forms, color, spatial integration, color, variations, dynamics, expressivity, repleteness and aesthetic sensibilit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change in art appreciation cap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generic game equally expressed 4 aspects including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vatio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ird, with application of the generic game, it was confirmed infant-centered class, activation of appreciation class, diversity of contents, and integration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y. Forth, in the aspect of teacher, it showed appropriate role composition of teacher with reflective thinking during the appreciation class. Fifth, in the aspect of young child, it presented active role composition with positive looks during the appreciation class. Based on those results, it suggests that a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y applying a technique called the generic game is very important to art expression and appreciation capabilities, class, teacher and children. Namely, this study proposes a necessity of activation of appreciation activity in childhood care center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명화감상 활동에서의 생성게임이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Generic Game in Masterpiece Appreci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nd Appreci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마상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a, Sang-Mi-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유아교육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