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3 0

에머슨의 「자연」에 나타난 불교사상 연구

Title
에머슨의 「자연」에 나타난 불교사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uddhism in Emerson’s “Nature”
Author
송승훈
Alternative Author(s)
Song, Seung-Hoon
Advisor(s)
이영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alph Waldo Emerson(1803~1882)은 미국을 대표하는 사상가이며 작가이다. 본 논문에서 그의 대표적인 산문인 “Nature”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그의 초월주의 사상은 동양종교와 서양철학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동양사상에서는 힌두교적인 우주관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게 본다면 불교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힌두교와 불교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그 이유는 불교가 힌두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우주관이나 내세관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 단지 이 둘의 차이점이 있다면, 힌두교는 사람들 간에 신분차별이 있는 반면에, 불교는 평등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불교적인 관점에서 자연, 귀소성, 신인합일을 주제로 접근한 것이다. 그의 산문에서 자연, 인간과 영혼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 있어, 자연에 대한 관점에서는 Emerson과 불교가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 Emerson의 사상을 불교적인 관점으로 보기 이전에, 먼저 초월주의 사상을 종교적인 면을 분석했다. 그것은 초월주의자들이 자연을 초월적인 가능성이 있는 공간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은 종교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고 그러한 초월주의에 대한 종교의 정의를 파악해서 종교성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종교에 대한 의미를 알아봐야 하는데, Lactantius에 의하면, 종교는 “religare”에서 왔다고 한다. 이 의미는 재결합한다는 것인데, 그 재결합은 구원적인 것도 되지만 사회통합적인 면에서도 볼 수 있다. Emerson에게 있어, 자연은 종교적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그 자연적인 종교에 캘비니즘(Calvinism)에서 말하는 구원관이 없을 뿐이다. 초월주의에 대해 종교적인 성격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그 사상이 초자연적인 공간일 수 있는 자연에서 이뤄지는 것과 자연에 대한 접근으로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다는 점에서 보는 것이다. 초월주의는 자연에 대한 샤머니즘으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연에서의 모든 관계가 서로 필수적인 것임을 밝히면서 그의 사상을 불교적인 입장으로 본 것이다. 그것은 Emerson이 자연을 수행의 장으로 보았고 불교적 수행도 자연이라는 공간과 상태에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곳에서 깨달음을 얻는다고 했을 때, 그와 수행자의 자연관은 유사성이 있다. 그의 「자연」에 나타난 자연은 깨달음을 위한 도량이면서 수행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주고 있는 곳이며 우주와 나를 하나로 묶어 주는 곳이다.; This thesis studies Ralph Waldo Emerson's essay,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Emerson made works based on his transcendentalism. He represented American transcendentalism. This thesis discusses Emerson's main essay, “Nature.” In his essay he deals with the main philosophies and religions, which are both Western and Eastern. He was inspired by Hinduism, Confucianism, Neo Platonism, German Idealism, and Swedenborg. He is a man of religion as well as a thinker. So his transcendentalism seems to have mixed religions and thoughts. According to Lactantius, the religion’s meaning is derived from “religare,” significance “to connect anew,” which is generally understood to mean the union of divine and human. The Christian religious reunion of the human with God is through reconciliation. Buddhism binds “self” and “the Universe” through understanding and meditation of mind. The American transcendentalist’s reunion is also through nature and self. Nature has constantly been the main interest of philosophy, religion, and literature for a long time. This thesis’s approach to understanding “nature,” “homing instinct,” “zen,” and “the union of universe and self” is through “Buddhism,” as shown in Emerson’s “Na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4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