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홍은재-
dc.date.accessioned2020-04-13T17:20:23Z-
dc.date.available2020-04-13T17:20:23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2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87en_US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 연극의 혁신을 주도한 연극인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 앙토냉 아르토 (Antonin Artaud, 1896~1948)의 연극론은 당대의 연극의 주된 흐름인 대중극과 사실주의극 연극과의 결별을 선언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기성연극의 고정된 형식인 객석과 무대의 분리, 무대화를 위한 텍스트에의 의존 대신 원시제의적 특징을 도입했던 것은 결국 관객들로 하여금 공동체적 정체성을 일깨우고 그로 인한 행동을 가능하게 하고자 했던 아르토의 의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르토의 연극론, 그 중에서도 관객관을 살펴보고, 그러한 관점이 이후의 연극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탐구하고, 이를 위해 우선 아르토가 관객을 어떤 존재로 보았는지, 이를 위해 아르토가 선택했던 연극의 형식과 공연 요소는 어떤 것이었는지, 그리고 관객에게서 기대했던 효과는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아르토의 논의가 그가 실행했던 공연을 통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아르토 관객관의 적용의 예로서 그로토프스키(Jerzy Grotowski, 1933-1992)가 이끈 폴란드 연극실험실의《불굴의 왕자》(1968)와 줄리앙 벡(Julian Beck, 1925-1985)과 주디스 말리나(Judith Malina, 1927-)가 이끈 리빙 시어터에서의《이제는 낙원으로(Paradise Now)》(1968)를 살펴봄으로써 아르토의 연극론, 특히 관객관의 영향미학을 탐구하고자 했다. 아르토가 관객에 대해 가졌던 생각은 원시제의에서처럼 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자아탐구와 인간과 삶에 대한 본질의 발견이었다. 그는 고정관념과 인습으로 억압된 관객의 무의식을 해방시켜 관객이 그들 자신과 삶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연극은 오락적인 것이 아닌 인간의 근원적인 충동을 다루어 관객의 심리 변화를 이끌어내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르토의 영향은 특히 1960년대 이후의 연극에서 적극적으로 구체화되었다. 그 영향은 크게 관객 내면의 변화를 추구하는 연극집단과 관객과 배우가 연극행위에 가담하는 집단 참여를 통해 사회적인 영향을 이끌어내는 연극집단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폴란드 연극실험실이 전자에 해당된다면, 리빙 시어터는 후자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폴란드 연극실험실의 그로토프스키와 리빙 시어터에게서 보이는 아르토의 영향은 각기 그 양상이 다르다. 아르토와 그로토프스키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의 주체를 보는 관점에 있어 아르토가 변화의 주체를 관객으로 보았던 것과는 달리 그로토프스키는 배우를 변화의 주체로 보았다. 둘째, 아르토가 관객을 불특정 다수로 상정했던 것과는 달리 그로토프스키는 엘리트 관객이라는 개념을 등장시켜 특정 소수를 위한 공연을 했다. 셋째, 아르토가 총체극을 지향했던 것과는 달리 그로토프스키는 연극의 ‘가난함’을 주장했다. 이것은 공연에서 기술적인 모든 기교를 버리고 오직 배우와 관객과의 만남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들의 만남은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공간 안에서 비로소 배우와 관객은 서로 영향을 주면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르토의 논의 중 배우에 관한 부분은 그로토프스키에 의해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배우의 화술보다 육체표현에 중점을 두었던 아르토의 논의는 배우의 마음가짐까지 확장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반면 그로토프스키는 육체표현과 함께 배우의 내면까지 아우르는 연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아르토가 가졌던 관객관의 계승은 오히려 관객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낸 리빙 시어터에게서 볼 수 있다. 리빙 시어터가 아르토의 관객관을 계승한 것은 첫째, 변화의 주체를 관객으로 보았다는 것, 둘째, 관객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 한 것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리빙 시어터에게서 볼 수 있는 아르토의 관객관의 확장지점은 첫째, 관객을 불특정 다수로 생각했던 아르토의 논의를 확장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관객전략을 세운 것과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한 것, 둘째, 관객을 통한 사회 변화에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출한 것에서 볼 수 있다. 아르토의 주장처럼 연극은 시대의 욕구에 부합하고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와 표현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아르토의 이상을 보여주었던《불굴의 왕자》와 《이제는 낙원으로》는 관객 전략에서 두 가지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배우와 관객과의 신체 접촉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던 그로토프스키는 《불굴의 왕자》에서 관객의 심리에 접근하여 정신적인 유대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선택했고, 관객을 혁명을 수행할 수 있는 집단으로 보았던 리빙 시어터는《이제는 낙원으로》에서 배우와 관객과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선택했다. 비록 연기 기술이나 공연의 완성도에 있어 그로토프스키에 비해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아르토의 연극론과 관객관을 실현했던 집단은 리빙 시어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아르토의 연극론의 기저에는 관객이 변화의 주체라는 것과 이를 통해 사회와 도덕적인 체계의 부정적인 측면을 고찰하자는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The theatre theory of Antonin Artaud(1896-1948) who is known as one of the theatre persons that led the innovation of drama in the 20th century began with the announcement of parting from commercial dramas and realistic dramas that had been the mainstream at that time. The introdu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rimitive celebrations instead of depending on the separation between the auditorium and the stage and the texts for staging was intended by Artaud who wanted to awaken audiences to the identity of community and enable the behaviors resulting from it. In this research, the theatre theory of Artaud, specifically the view on audience out of it will be reviewed and what influences his view on audiences exerted dramas thereafter will be examined and for this, it will be first reviewed what were the form and performance factors of dramas that he selected and what effects he expected from audiences. However, since the arguments of Artaud were not properly realized through the performances he practiced,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mpact aesthetics of the theatre theory of Artaud, specifically of the view on audiences out of it from ≪The Constant Prince≫(1968) of Polish Laboratory Theatre led by Jerzy Grotowski(1933~1992) and ≪Paradise Now≫(1968) of the Living Theatre led by Jullian Beck(1925~1985) and Judith Malina(1927~) as th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Artaud's view on audiences. The view on audiences pursued by was that audiences were to examine egos through the participations in community like the cases in primitive celebrations and find the essence of human life. Artaud attempted to liberate the unconsciousness of audiences that was suppressed by stereotypes and conventions so that they could view themselves and life freshly. His thinking was that theatre should not stay with the things related to entertainment but should become the measure to induce the change of the mentalities of audiences by addressing to the fundamental impulse of the humans. The impact of Artaud became more apparent in the dramas after 1960s. The impac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drama groups that pursue the internal changes of audiences and the drama groups that induce social impacts through the group participations where audiences and actors are engaged in the acts of dramas. Polish Laboratory Theatre may fall under the former whereas the Living Theatre may fall under the latter. The impact of Artaud demonstrated by Grotowski of Polish Laboratory Theatre and the same demonstrated by the Living Theatre have different patterns from each other. The differences between Artaud and Grotowski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spective to view the subjects of changes, unlike Artaud who viewed audiences as the subjects of changes, Grotowski viewed actors as the subjects of changes. Second, whereas Artaud presumed audiences to be undefined mass, Grotowski brought on the concept of elite audiences and performed for certain minority. Third, unlike Artaud who pursued holistic dramas, Grotowski insisted on the 'poor' theatre. This was to abandon all technical skills and pursue only the meetings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Their meetings happened within the space where the performances took place and only in that space, actors and audiences could perform their roles influencing on each other. But it seems like that the part regarding actors out of the arguments of Artaud was expanded by Grotowski because the arguments of Artaud who focused on physical expressions rather than the narrative skills of actors had not been extended to the mental attitudes of actors. On the contrary, Grotowski systematically arranged the acting skills that encompassed the interior of actors along with physical expressions. The succession of the view on audiences owned by Artaud can rather be seen from the Living Theatre which actively induced the participations of audiences. The fact that the Living Theatre succeeded the view on audiences of Artaud can be seen first from the fact that it viewed the subjects of changes as audiences and second from the fact that it induced immediate reactions of audiences. And the extended area from the view on audiences of Artaud that can be found from the Living Theatre can be seen first from the fact that it extended the argument of Artaud who considered audiences as undefined mass and established audience strategies more and that it induced immediate reactions and second from the fact that it actively expressed the will for social changes through audiences. As Artaud argued, dramas should be formed in the languages and expressions that coincide with the demand of times and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public. ≪The Constant Prince≫ and ≪Paradise Now≫ that demonstrated such an ideal of Artaud show two different patterns in audience strategies. Grotowski who avoided the physical direct contacts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selected the method to draw mental ties by approaching to the sentiment of audiences in ≪The Constant Prince≫ and the Living Theatre that considered audiences as the group that can conduct revolutions selected direct physical contacts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in ≪Paradise Now≫. Although its acting skills or the perfectness of performances may be inferior to those of Grotowski, the group that realized the theatre theory and view on audiences of Artaud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Living Theatre because the belief that audiences were the subjects of changes and the will to examine negative aspects of societies and moral systems through it were underlying the theatre theory of Artaud.-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앙토냉 아르토(Antonin Artaud) 관객관의 영향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act of Antonin Artaud's View on Audience : Centering on the Audience Strategies of the Polish Laboratory Theatre and the Living Theatr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홍은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ong, Eun-Ja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연극영화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연극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