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6 0

영상산업에서의 콘텐츠 파생 구조에 관한 연구

Title
영상산업에서의 콘텐츠 파생 구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in visual industry : focused on OSMU
Author
송요셉
Alternative Author(s)
Song, Yo-Sep
Advisor(s)
한동섭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논의들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연구들은 개별적인 문화콘텐츠 상품의 특성에 관한 논의에 집중해 왔다. 그 내용 또한 현실에 적용하기 어려운 선언적 원칙이나 모호한 방법론의 언급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고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논의들을 생산자의 측면에서 확장시켜 보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미디어를 통한 영상콘텐츠의 파생 및 이와 관련된 현상들에 집중하고자 한다. 콘텐츠 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콘텐츠만으로는 원하는 수익을 얻기 어렵다. 때문에 대다수의 생산자들은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제시하는 전략을 구성한다. 이러한 시도를 잘 드러내 주는 단어가 바로 One source multi use(OSMU)이다. OSMU는 하나의 콘텐츠를 다수 미디어를 통해 연결하여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포하고, 이를 통해 호의적인 이미지를 창출, 유지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 산업 중 영상산업의 콘텐츠 파생 구조를 주된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세 가지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첫째는 영상산업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 파생 구조의 개념을 규정하고 확장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콘텐츠 파생 구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정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에서 콘텐츠 파생 구조를 정착 및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해 보는 것이다. 이상은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로 구체화되었다. 연구문제 1. 영상산업에서 콘텐츠 파생 구조는 어떻게 정립되어 있는가? 연구문제 2. 영상산업에서 콘텐츠 파생 구조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 연구문제 3. 콘텐츠 파생 구조의 정착 및 최적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관련된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도출된 설명의 요소들은 보고서 등의 2차적 자료들과 함께 논거로 삼았다. 여기에 영상산업에 있어서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과 일본의 자료들을 함께 수집하여 한국의 자료들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기 어려운 부분에 활용하였다. 더불어 실제 영상산업에서 OSMU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요한 자료를 수집 및 처리한 이후, 이를 질적 산업연관분석과 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은 영상산업 연결망의 매개 중심성 및 중앙성 지수 분석, 그리고 커뮤니티 분석과 결속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은 이론적 논의들을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상품들 사이의 대체 및 보완 관계를 통해 창구화와 OSMU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들 사이의 속성 호환을 통해 OSMU를 더욱 입체적인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었다. 여기에 OSMU의 실제적 집행과 시너지 효과의 창출을 위한 논거들을 IMC와 미디어 캠페인 관련 논의들을 통해 종합하였다. 연구문제 2는 연구문제 1에서 도출된 개념들을 기준으로 하여 영상산업에서 OSMU가 실제로 집행되는 모습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한국의 현황은 미국 및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각 영상콘텐츠 산업들 사이에서 콘텐츠가 개발 및 재가공되어 가는 흐름을 파악하였다. 한국의 영상산업에서는 콘텐츠들 사이의 속성 교환을 통한 호환이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다시 말해 영상콘텐츠 산업을 구성하는 하부 산업 영역들 사이의 연계가 원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OSMU는 서로 다른 산업들 사이의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관계 설정을 기본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이러한 기본적 가정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미국과 일본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연구문제 3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가설적인 수준에서 도출해 내고자 했다. 산업들 사이의 연계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연계를 맺기 용이한 산업들을 판별해야 한다. 그 이후에는 서로 거리가 있다고 여겨지는 산업들 사이에서도 연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획력을 갖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본질적으로는 서로 다른 산업 영역들 사이에서 통합적인 공급 사슬을 구성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된다. 더불어 콘텐츠 상품이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를 회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콘텐츠 상품이 시장에 배포되는 타이밍의 문제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리스크의 속성을 가산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콘텐츠 상품의 배포에 일정한 시간차를 두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콘텐츠 상품과 OSMU를 다루는 기존의 연구들이 시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했다. 또한 OSMU가 이루어지는 양상을 호환성이라는 기준을 통하여 더욱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상콘텐츠 산업의 각 영역들에서 OSMU라는 말은 자의적 기준에 따라 적용 및 사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기존 논의들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OSMU의 양상에서 실제적으로 몇 개의 파트너가 어떠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를 파악함으로 인해 그 구체성을 더할 수 있었다. OSMU는 개념적으로는 근접한 모든 영상콘텐츠 산업들을 포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국면에서는 그 가능성이 그대로 현실이 되지는 않는다. 이 또한 기존의 관련 논의들이 노출하고 있던 취약점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OSMU가 시행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파트너 산업 조합의 구성 및 그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현실적 적합성을 높일 수 있었다.; Discussion related with cultural contents industry are frequently considered in these days. These researches on cultural contents industry focuses on characters of a specific product. They have mentioned difficult proclamatory principles not to apply into real world, and the vague methodology. This research should be started from the consideration on this situation, and has an intention to expand discussion related with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the perspective of producers. The research is aware of the conditions affiliated with visual contents derivation and analogous situations. It is difficult to get desirable benefits by one source in contents industry. Most of producers build a strategy to produce products through various media. The most appropriate word to depict above situation is 'one source multi use'(OSMU). OSMU is a process that circulates a specific product in various media, and construct and sustain positive images. The research has three purposes, based on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in visual industry. The first is to modify and expand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by using media. The second is to summarize how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is managed. Lastly, I should promote solutions to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oriented at the practical cases.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below. RQ 1 : How is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defined in visual industry? RQ 2 : How is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used? RQ 3 : What is the best way to promote the contents derivation structure? To solve above research questions, I should examine related materials, and later, consider variables from previous materials with second data. I also collect data from U.S. and Japan, and use them to explain what Korean data cannot verify. Further, I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to know how OSMU is managed in visual industry. Also I conducted qualitative input-outpu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is analysis conducted with the process based on Betweenness, Centrality Index, Community, Clique. RQ 1 is appeared by theoretical discussion. Firstly, I modify the concepts of OSMU and window effect in the perspective of substitutive and supplementary relations. Based on these relations and compatibleness among products, OSMU is understood in multi-perspectives. Furthermore, I have considered discussion on how OSMU is operated practically and promote synergy effect. RQ 2 is to examine how OSMU is managed in visual industry. Practical cases in Korea a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comparison on the case of U.S. and Japan.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know the flow on how contents develops and reorganizes. It is shown that source exchange is limited among the contents in visual industry. It means that elements in sub-category are not linked with others in another field. OSMU has a basic hypothesis constructs active and dynamic relations. However, the conditions to satisfy a basic proposition stand lower level than U.S. and Japan do. RQ 3 should promote revised solution in the hypothetical level. To link between relative industries, it needs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dequate industry which is easy to link with other industrial fields or not. Also, it needs to have strategies to link between distance industrial fields. It is a question whether it is consisting of integrated supply chain among different industrial fields or not. Also it needs to avoid risky situation encounters with contents products. Timing to circulate contents product is also pivotal. To avoid this risk, it should be considered time-gap to present contents products. And the attribution of the risk is should be considered additive one. This study points out that present researches on both contents products and OSMU are not conscious of market conditions. I want to analyze how OSMU is constructed in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s. The word OSMU in the part of visual contents industry is used and applied by subjective criteria. This research have been fulfilled with meanings to decrease such frames in present researches. This research should examine of how sub-category industries are consisting. OSMU should accept all of concepts related with visual contents industry field. That is a weak point of present researches. These researches are possible to increase practical adequacy, presenting how partner communities are consisting of and its manual to depict the situ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1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2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