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0

동일 주제와 형식의 시사 고발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 주체에 따른 공정성과 심층성 비교 연구

Title
동일 주제와 형식의 시사 고발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 주체에 따른 공정성과 심층성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fairness and depth for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 of same issue and form on production subject
Author
하유미
Alternative Author(s)
Ha, You-Mi
Advisor(s)
한동섭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PD 저널리즘과 기자 저널리즘을 대표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시사 고발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심층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유는 방송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인 객관성과 공정성을 중요한 덕목으로 삼는 기자들은 PD들의 저널리즘에 관한 인식에 동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자들은 PD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은 공정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반면 PD들은 애매모호한 결론보다는 제작진의 판단이 들어간 ‘주장’을 선호하는 편이고, 심층취재를 지향한다. 그렇기 때문에 PD들의 인식은 공정한 객관보도를 중시하는 기자들의 인식과 충돌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PD들 또한 기자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은 심층성이 부족하다고 반박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자 저널리즘을 대표하는 시사 고발 프로그램은 과연 ‘심층성’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또한 PD 저널리즘을 대표하는 시사 고발 프로그램은 균형감각을 잃어버린 이유와 더불어 ‘공정성’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했던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공정성과 심층성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대상을 설정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좀 더 정교하게 진행하기 위해 동일한 주제를 가진 동일한 시사 고발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공정성 측정을 위해 동일한 주제 중에서도 갈등적 사안을 다룬 주제만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선정된 주제는 ‘한미 FTA'와 ‘대통령 탄핵‘이었다. 이들 주제를 다룬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우선 서사 구조와 구성요소 분석을 하였다. 이들 분석이 선행되어야, 그것을 바탕으로 기자와 PD가 제작한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심층성의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정성과 심층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분석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공정성은 여러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하위 개념들만을 분석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항목으로는 크게 적절성, 균형성, 다양성, 해석 저널리즘의 공정성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심층성은 국내외 문헌을 참고하여 ‘심층보도’에 대한 개념을 종합하여, ‘심층보도’의 범주에 속하는 개념들을 정의해보았다. 집중보도, 해석 보도, 대안제시, 상황중심적 기사, 다양한 정보원 취재가 심층성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항목에 해당된다. 앞에서 언급한 연구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후 살펴본 분석 결과는 매우 의미 있었다. 기자들은 심층적인 취재에 있어서 제약점이 따른다는 일반적인 정설과는 달리 기자 저널리즘을 대표하는 시사 고발 프로그램에서는 보다 심층성이 강한 보도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으며, 특히 집중보도와 해석 보도에서는 PD 못지않은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PD역시 그들의 주관적 견해가 한 쪽으로 지나치게 개입되어, 공정하지 못한 보도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나, 연구결과에서는 적절성과 다양성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균형성에서는 편향된 보도로 인한 지적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균형성에서는 기자 역시 간접적으로 편향성을 드러내었기 때문에, PD 집단만이 균형성이 떨어진다고 절대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기자는 무조건 심층성이 부족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PD는 공정성이 결여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고는 보여 지지 않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우려했던 부분들에서 생각보다는 많은 가능성이 보였다. 기자들이 제작한 프로그램 의 경우에는 중요한 사안들의 배경을 설명하고, 그 원인을 밝혀내어 그에 대한 해석을 하고 있다는 자체가 해석 보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로 상황 중심적인 보도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심층성 측면에서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반면 PD같은 경우에는 다양성과 적절성 부분에서는 매우 큰 가능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가 이들 집단이 통합되어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며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이들이 발전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nalyzed fairness and depth of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which represent PD journalism and reporter journalism. The study tried to figure out the way for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which represent reporter journalism to pursue depth. Moreover, the research studied why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which represent PD journalism lost its balances and tried to find out the way for those programs to strengthen fairness in detail. Because reporters who value objectivity and fairness object to PD journalism. In this reason, reporters point out fairness insufficiency of producers' programs. The other side, producers want to achieve social justice by protecting the weak. They prefer insistence including production team's judgement and depth reporting to ambiguous result. That's why producers' perception clashes with perception of reporters who value fair objective report, so producers point out depth insufficiency of reporters' programs. . The research targets for studying fairness and depth were chosen carefully. Same kinds of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which had same subjects were chosen for detail research. Especially, the subjects about confliction were chosen only. As a result, 'Korea-US FTA' and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were chosen as research targets. At first, the study analyzed narrative and composition elements of those programs. Because differences between programs made by reporters and producers could be found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ult was very meaningfu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porters had been trying to strengthen depth in their program. It was different from general idea that reporters would be weak in depth reporting. Reporte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many parts of the research. Especially, in saturation reporting and interpretive reporting, reporters were as good as producers. It is general view that producers couldn't report fairly because of their subjective opinion but they showed very positive results in relevance and diversity parts. Producers showed possibility of biased reporting but reporters also showed same problems indirectly, so biased reporting wasn't just producers' problem. As a result, reporters haven't produced only programs which dept was insufficient in and producers haven't produced programs without fairness. Many positive possibilities were shown in the parts that people usually worried about. Explaining of important cases, finding out and analyzing the original reasons in the reporters' programs are the ways for interpretive reporting. Mostly, their programs were composed of circumstance-centered reporting, so there were possibilities to strengthen depth. In the case of producers, people need to have positive view about producers' program because they showed many possibilities in diversity and relevance parts. Therefore, I expect this study to be a guideline for both of groups to respect each other's specialities and make an effort for their positiv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1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8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