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6 0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네오러다이트 현상 연구

Title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네오러다이트 현상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Neo-Luddite Phenolmena Appeared on Contemporary Textile Fashion Design
Author
박옥미
Alternative Author(s)
Pak, Ok-Mi
Advisor(s)
이수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네오러다이트의 개념과 그 특성으로 나타난 오가닉 문화의 특징을 체계화시키고,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을 분석하여 네오러다이트 현상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자는 이를 위하여 네오러다이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네오러다이트현상이 반영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실증적 사례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및 네트워크, 논문과 전문서적, 그리고 신문, 잡지 등의 대중매체의 내용을 조사하여 고찰하였다. 위의 자료를 토대로 '인간성 회복'과 '자연으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네오러다이트'에서 나타나는 오가닉 문화를 추구하는 환경친화적 현상들을 문화트렌드로 규명하고, 소재는 섬유 분류를 중심으로, 스타일과 컬러는 2004-5 F/W부터 2006-7 F/W까지의 패션컬렉션지를 중심으로,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의 실증적 사례를 추출하고 섬유패션디자인을 분석하여 네오러다이트 현상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오러다이트(Neo-Luddite)는 현대에서의 '러다이트' 경향의 그룹을 지칭하며, 러다이트에 '네오'(neo-) 혹은 '테크노'(techno-)란 접두어를 붙여, 디지털 시대의 미래에 의혹과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이를 맹렬히 비판하는 사람들 혹은 이념을 가리킨다. 첨단 기계문명에는 반대하면서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을 용인하되 그것이 지닌 문제점을 비판하며 전면적으로 거부하지는 않는 사람들을 가리켜 '소극적 네오러다이트'라고 하며, 인류가 모든 기술을 완전히 버리고 원시시대와 같은 자연으로 회귀할 것을 주장하면서, 과학기술 문명에 적극적으로 맞서는 사람들을 '적극적 네오러다이트'라 한다. 둘째, 네오러다이트의 특성은 그 역사적 전개 과정에 따라 반기계주의적, 반테크놀로지적, 그리고 휴머니즘적 요소로 나뉜다. 셋째, 네오러다이트 운동에 따라 적게 소유하고 함께 나누는 소박한 삶, 가치 지향적이며 자유로움과 여유를 추구하고 자연의 이치에 따라 마음의 피로를 풀고 유기농식품들로 식단을 꾸미는 등의 인간성 회복과 자연으로의 회귀에 삶의 가치를 최고로 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네오러다이트 현상이 반영된 라이프스타일은 '슬로비'(Slobbie), '다운쉬프트'(Downshift), '웰루킹'(Well-Looking), '네오웰빙'(Neo Well-Being), '로하스'(LOHAS), '매스티지'(Masstige)등의 시대적 코드로 설명된다. 넷째, 필요와 요구에 따라 모든 문화 현상에서 자연을 중시하고, 자연과의 동화를 추구하는 네오러다이트 현상은 현대 문화트렌드에서 '오가닉(Organic) 문화'로 특징지어진다. 네오러다이트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현대 문화트렌드는 섬유패션에서는 편안함과 기능성을 추구하고 천연 소재의 개발 및 이용의 강화 현상이 나타나며, 뷰티헬스에서는 식물성 원료사용과 심신을 안정시키는 요법, 인테리어에서는 자연과 건강을 고려한 친환경 소재와 환경친화적인 컨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푸드에서는 자연 그대로의 재료 이용과 가공의 최소화 현상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트렌드는 네오러다이트의 세 특성인 반 기계주의와 반 테크놀로지, 휴머니즘적 요소로 함축된다. 다섯째,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을 소재는 섬유 분류로, 스타일과 컬러는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네오러다이트 현상은 섬유패션디자인에 있어 근원이 된다고 할 수 있는 소재 부분에서는 반기계주의, 휴머니즘적 요소로 나타났으며, 스타일과 컬러에 있어서는 반기계주의, 반테크놀로지, 휴머니즘적 요소로 나타났음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소재에 있어서 반기계주의적 요소는 덜 가공된 듯한 이미지, 천연 소재의 사용 등으로 원료에 있어 종전부터 직물의 원료로 사용되어왔으며 자연주의적인 것에 중점을 두어, 죽섬유, 종이섬유, 옥수수섬유 등과 같은 생분해성 섬유와 녹차섬유가 있다. 또한, 좀더 몸에 좋은 소재를 사용하자는 의미에서 면, 마, 모 등 천연섬유의 사용이 늘어나는 정도에 머물렀던 것이 단순히 천연섬유만이 아니라 여기에 몸에 좋은 다양한 성분을 더해 건강성을 강조하여 대두섬유, 은섬유, 우유섬유, 천연미네랄섬유, 기능성대마섬유, 텐셀, 키토산섬유 등의 소재와 같이 자연친화적이면서 자연치유의 효과까지도 누릴 수 있다고 본다. 한편, 휴머니즘적 요소로는 황토섬유, 오가닉코튼, 참숯섬유, 시셀 등의 인간을 먼저 생각하는 인간중심으로 인간이 착용함으로서 편리성과 기능성, 내구성 면에서 우수하다. 스타일에서 반기계주의적 요소는 대량생산에 의한 획일성과 속도감을 탈피한 니트, 자수, 비드 등의 수공예적인 표현으로 시즌 S/S(15%)보다 시즌 F/W(24%)에서 높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시즌 F/W에 니트를 선호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연도별로 계속 상승하는 것으로 보아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에서 반기계주의적 요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테크놀로지적 요소는 인공적이거나 형식적인 과장이 없는 자연적인 유기적 형태의 실루엣으로 나타나며, 시즌 F/W(16-17%)보다 시즌 S/S(26%)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 현상은 시즌 S/S 디자인에 나타나는 부드럽고 얇은 소재의 사용으로 부드럽게 흐르는 자연스런 실루엣이 잘 표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휴머니즘적 요소는 편안함과 실용성, 기능성을 표현한 아우트로 패션스타일로 나타나게 되었고, 모든 시즌에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현상은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에서 격식보다는 기능성과 편안함, 실용성을 추구하는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컬러에 있어서는 반기계주의적 요소에서는 G색상은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으며, R, YR, Y의 색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무채색의 사용 분포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무채색 White, Gray 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반 테크놀로지적 요소에서는 반기계주의적 요소에서 보다 G색상의 증가가 조금 나타나며, R, YR, Y색상의 사용이 여전히 폭넓게 나타나며, 유채색의 사용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휴머니즘적 경향의 컬러는 B색상의 사용이 증가한 분포를 나타내며, 유채색의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네오러다이트 현상이 나타난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의 소재에서는 자연친화적이며 인간을 위한 소재로 질적으로 향상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 내면의 세계가 표현되었다. 이것은 친환경적이며 인간중심주의적인 것이 되어, 보다 편안하고 풍요로운 인간의 삶을 추구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타일에서는 반기계주의적 요소, 반테크놀로지적 요소, 휴머니즘적 요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 섬유패션디자인은 현대적인 감성과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며 발전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컬러 분포의 결과는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에서는 내추럴한 색상 R, YR, Y색상을 중심으로 한 자연의 컬러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YR, GY, B, RP색상의 사용으로 점점 더 다양한 컬러가 사용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오러다이트 현상은 현대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계속 확대되어 나갈 것이며 현대 섬유패션디자인에 나타나는 소재, 스타일, 컬러의 보다 체계적인 분석,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섬유패션디자인에 새로운 표현 영역의 자료 확대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were to study the concept of Neo-Ludditism, to identify the organic culture from one of Neo-Ludditism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Neo-Luddite phenomena in the contemporary textile fashion design. I reviewed the Neo-Ludditism theory and applications in real life u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from publications, treatises, web sites, and mass media such as papers, journals. On the basis of researches, I defined the pro-environmental phenomena, pursuing the organic culture in the Neo-Ludditism which urges to retrieve the humanism and return to nature, as one of cultural trends. With sampled applications of the comtemporary fashion designs to real life using fashion collections from 2004-5 F/W to 2006-7 F/W, and categorizing textile materials, I analyzed textile fashion design of styles, and colours, and materials reflecting the Neo-Ludditism phenomena respectively. First, "Neo-Luddite," which means the contemporary group showing a tendency to the 'Luddite,’ was invented by adding 'neo-’ of 'techno-’ to 'Luddite.’ Neo-Luddite is based on the doubt and criticism to the digital society in the future. Some of them, called the negative Neo-Luddite, not only object to the high-tech mechanized civilization but also accept the advent of new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y criticise its negative aspects. The positive Neo-Luddite argues human beings give up all of technologies and return to the primitive nature, and oppose to the civilization of technology drastically. Secondly, Neo-Luddite consists of anti-mechanical, anti-technological, and humanistic factors depending on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irdly, there appeared new life styles to possess less and share more, to be value-oriented, to seek freedom and composure, to live a comfortable life, and to make out a menu with organic food, that is to regard retrieving the humanism and returning to the nature as a first priority in life. These Neo-Luddite life style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periodic codes of 'Slobbie', 'Downshift’, 'Well-Looking', 'Neo-Well-Being', 'LOHAS', and 'Masstige'. Fourthly, Neo-Ludditism which make much of nature in all cultural phenomena and seeks to assimilate into nature is characterized to organic culture in comtemporary cultural trends. The contemporary cultural trends of the Neo-Luddite summarized as follows; (1) to seek comfort and functionality, (2) to develop and use the natural materials in textile fashion, (3) to use phyto-materials and soothe mind and body in the beauty area, (4) to use pro-environmental materials positively considering nature and health, and (5) to use the natural materials and minimize the processing process in sitology. These cultural trends conclude to three of characteristics of anti-mechanicalism, anti-technology, and humanism. Fifthly, the categorization of materials and analysis of results confirmed that anti-mechanicalism, and humanism of Neo-Ludditism had effects on materials taken in consideration as root of textile fashion design, and anti-mechanicalism, anti-technology, and humanism of Neo-Ludditism affected styles and colors. Anti-mechanicalism in materials had been shown as incomplete manufactured images, and usage of natural materials focused on naturalism, for instance, decomposable textiles made of bamboo, paper, corn, and green tee textiles. In favor of design, it is changing to give more comfort and mimic natures. Using not only natural textiles such as cotton, linen, and wool advantaging to body but also nuovo ones made from beans, silver, milk, mineral, functional hemp, tencel, and chitosan leaded to nature-friendly and natural curing impacts as well. Humanism was represented in textiles made from brown soil, organic cotton, charcoals and seacell, which are taking consider of human first. These textiles make people to feel comfortable and are superior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endurance. Anti-mechanism in styles showed in season F/W(24%) rather than season S/S (15%) using the handicrafts and manual arts like knitting, embroidery, and beading against standardization and haste as a result of mass production. More frequencies of knitting in season F/W and annual increase implied the continuos usage of anti-mechanism in contemporary textile fashion design. Anti-technological elements appeared as silhouette of naturally organic patterns without artificial or formal exaggerations in season S/S (26%) rather than F/W(16-17%). In other words, soft and thin materials in season S/S design might express more natural silhouette. Humanism of the outro fashion styles expressing comfortableness and practicality showed even distribution over all seasons. It implied the continuous design in quest of functionality, comfort, and practicality rather than formality. In contemporary textile fashion design, the result of color distribution was seen basically with colours of nature centering around the natural colours of R,YR, and Y series. Moreover, usage of colours of YR, GY, B, RP made the variety of colours. In terms of materials, the inner world is expressed seeking the qualitative life by an way of the natural and practical materials for humans. This comes to be pro-environmental and man-centered, to seek the more comfortable and more abundant life. Neo-Ludditism may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emporary life styles, and can be used as one of efficient materials for new expression in the textile fashion desig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14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7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TEXTILE & FASHION DESIGN(섬유패션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