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9 0

한국분단영화에 나타난 분단의 의미변화 연구

Title
한국분단영화에 나타난 분단의 의미변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aning Changes i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presented in the Korean Division Film : Focused o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Author
김보경
Alternative Author(s)
Kim, Bo-Kyeoung
Advisor(s)
전성우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990년대 후반에 나타난 남북관계의 변화는 분단현실을 재조명할 것을 제안했다. 다양한 관점이 개입하면서 분단의 의미를 재정의하려는 노력이 분단영화에도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이 새롭게 등장한 분단영화를 주목했고 학문적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 역시 분단영화에 대한 학문적 관심에서 비롯된 연구이다. 분단의 의미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변화한 이유는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연구대상은 <쉬리>, <공동경비구역 JSA>, <태극기 휘날리며>, <웰컴 투 동막골>이다. 분단영화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서사구조분석방법을 적용했다. 그리고 의미변화에 관여하는 구조를 국가, 자본, 제작, 관객의 네 범주로 구성했다. 이들은 각각 구조적 특수성을 보이며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단영화의 의미는 구성되고 재구성된다. <쉬리>는 남한과 북한의 적대적 대립, 남한에 의한 평화유지라는 기존 반공영화의 틀을 변형적으로 차용한다. 그 결과 경제적 대립 구도 안에 분단을 배치한다. <공동경비구역 JSA>는 남북한 기득권에 의해 분단이 유지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들은 국제질서의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남북한 스스로의 힘으로 분단을 해결할 수 없다. <태극기 휘날리며>는 가족의 관점으로 분단을 다룬다. 분단은 가족을 위협하는 대상이다. <웰컴 투 동막골>은 외세의 개입으로 인해 민족의 염원이 분열된다고 보았다. 민족의 이상향을 제시하지만 외세에 의해 파괴될 위험에 놓인다. 이렇듯 분단현실에 개입하는 주체들은 변화하고 ‘적’의 개념도 달라진다. 그에 따라 분단은 남북한의 문제에서 국제질서의 산물로 확대된다. 진전된 남북관계라는 사회적 변화는 분단영화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는 환경적 기반을 조성한다. 더불어 영화를 산업으로 육성하고자하는 국가구조의 변동은 분단영화의 제작환경에 변화를 가져온다. 대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유입으로 자본구조에 진동이 발생한다. 젊고 새로운 제작인력이 진출하면서 제작구조도 변형된다. 이들은 대부분 전후세대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관객집단이 다양한 층위로 분화된다. 자본구조는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익성 있는 영화에 자본을 분배한다. 한편의 영화에 다양한 자본들이 분배 투자되면서 영화의 규모를 키운다. 변형된 제작구조는 보편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분단영화를 제작하고자한다. 관객은 외국영화와 같은 흥미를 갖추거나 그것과는 구별되는 자국의 영화를 원한다. 국가, 자본, 제작, 관객의 요구는 ‘한국형’블록버스터로서의 분단영화를 출현시켰다. 한편, ‘이념’의 문제로부터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었던 <쉬리>는 오히려 이념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이것은 상업적으로 포장된 영화일지라도, 그것이 분단영화라는 명칭으로 다가선다면 이념에 무관할 수 없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분단영화가 남한과 북한 어느 한쪽을 지지할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작구조와 관객구조 사이에 ‘이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이후에 출현한 분단영화의 주제에 영향을 주었다. 북한을 협력의 대상으로 끌어오고 비어있는‘적’의 자리에 다른 대상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분단영화의 플롯은 ‘적’이 ‘민족’의 염원을 파괴하는 비극적 구성을 취하고 ‘이념’을 제거한다. 그러나 비어있는 ‘적’의 자리에 ‘무엇이 들어오는가’에 대한 또 다른 논쟁이 발생한다. 사라진 ‘이념’의 자리는 ‘볼거리’로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1990년대 후반 이후의 분단영화는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을 배제한 보편적 ‘전쟁영화’로 변형된다.; The change in the South-North relation occurring in the latter half of 1990’s suggested re-highlighting the reality in division. As diverse perspectives intervened, the efforts to re-define the meaning of division occurred in the Korean division film. Many people have paid attention to the division film, which has been newly introduced, and the academic interest has also gradually increased. This thesis is also the study arising from the academic interest on the division film. It analyzed the change of direction in terms of a meaning of division and its reason of change. The research coverage included , , , and . To draw the meaning of a film on division, the author applied the method of analyzing an epic structure. And the author formed the structure relating to a change of meaning in four realms of a nation, capital, production, and audience. Theses factors interact each other, showing their respective structural peculiarity. Through such a course, the meaning of a film on division is formed and reconstructed. adopted in a transformed manner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anti-communism film such as an antagonistic confrontation betwee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nd maintenance of a peace by the South Korea. As a result, the division is arranged in a composition of an economic confrontation. < Joint Security Area > recognizes the maintenance of a division by way of vested rights i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Since these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an interest of an international order, the division cannot be resolved by way of only a sole power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 Taegukgi > deals with the division in a perspective of a family. The division is a subject threatening a family. < Welcome to Dongmakgol > saw that a national desire was divided due to an intervention of a foreign power. Although a nation’s utopia is suggested, it is in jeopardy of a demolition by a foreign power. Likewise, the subjects intervening the reality of division are changed and the notion of an ‘enemy’ is also changed. Accordingly, the division is expanded from an issu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o a product of an international order. A social change such as a progressed South-North relation constructs an environmental base to reconstruct a meaning of the division film on division. In addi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a country that desires to cultivate a film as an industry brings a change to a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division film. With the introduction of a capital by a large enterprise and a financial capital, a tremor in a capital structure occurs. As young and new production forces enter the stages, the production structure is also transformed. They mostly consist of a post-war generation. Lastly, the audience group is divided into a diverse level. The capital structure distributes a capital to a film, which is profitable, to reduce a burden of risk. As various capitals are allocated and invested in a piece of a film, the size of a film grows larger. The transformed production structure wants to produce the division film in a new perspective, which can shape a common response. The audience hopes to have a film in its country equipped with the same interest as and differentiated from that of a foreign country. The request from a country, capital, production, and audience has brought into existence the division film as a ‘Korean-style’ blockbuster. On the other hand, that intentionally kept a distance from an issue of ‘ideology’ caused a dispute on ideology. This can be understood that even if it is a movie commercially packaged, if it approaches in the name of the division film, then it cannot be independent of an ideology. It is all the more true if the division film supports on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In such a respect, it seems that a difference in terms of recognition on ‘ideology’ exists in between a production structure and an audience structure. Such phenomenon has influenced a theme of the division film introduced later. The North Korea is invited as an object of cooperation and another object is deployed in a vacant seat of ‘enemy’. Subsequently, a plot of the division film takes a tragic composition that an ‘enemy’ destructs a wish of a ‘nation’ and eliminates an ‘ideology’. However, another dispute occurs in respect of ‘what will come into’ the vacant seat of ‘enemy’. The vanished seat of an ‘ideology’ is packed with ‘spectacle’. Consequently, the division film after the latter part of 1990’s has been transformed as a general ‘war film’ that excluded a historical peculiarity in Kore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0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6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