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 0

한국 일부 지역에서 시행한 간단 신체 수행 검사에 대한 예비 연구

Title
한국 일부 지역에서 시행한 간단 신체 수행 검사에 대한 예비 연구
Other Titles
A Preliminary Study on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in Korean Rural Community
Author
홍대종
Alternative Author(s)
Hong, Dae-Jong
Advisor(s)
박시복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서론 노인에서 신체 기능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첫째로 노인의 신체 기능 저하를 조기에 발견하여 이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함이며, 둘째로 장애와 관계없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신체 기능 평가 방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검사의 대부분은 아직까지 유용성에 대한 연구나 표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에 보고된 노인 신체 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도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1990년대 미국 국립 노화 연구소의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for the Elderly에서 채택하고 사용하여 이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려진 간단 신체 수행 검사를 국내의 노인을 포함한 일반 성인의 신체 기능 평가에 적용하고 이를 분석하여, 노인 및 성인의 신체 기능 평가 도구로서 간단 신체 수행 검사의 임상적인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한국인의 간단 신체 수행 검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5년 8월과 9월에 한양대학교 ○○군 지역 사회 보건센터의 코호트 검진사업에 참가한 일반인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신체계측을 통해 나이, 성별, 최종학력 및 고혈압, 당뇨, 하지 골절 등의 질병력, 체질량지수, 마른체중, 체지방량, 체지방율 등을 조사하였다. 간단 신체 수행 검사는 균형 검사, 보행 속도, 의자 일어서기 등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균형 검사는 일반 자세, 반 일렬 자세, 일렬 자세를 10초 이상 유지할 수 있느냐로 평가하고, 보행속도는 4m 거리를 걷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평가하며, 의자 일어서기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5회 일어서고 앉기를 반복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으로 평가한다. 각 항목 당 4점, 총 12점을 만점으로 하였다. 또한 30초 동안 Medianceⓡ (Human-Tech Inc, Korea)를 사용하여 정적 평형감각검사를 시행하여 자세 치우침과 흔들림을 검사하였다. 위와 같이 얻어진 모든 변수를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ney 검정, Kruskal-Wallis H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 편상관분석, 교차분석, 일반 선형 모델 일원배치 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512명중 24명의 제외대상을 뺀 488명을 분석하였다. 이중 남자는 151명, 여자는 337명이었고 남녀 각각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50대 여성, 60대 여성, 70대 여성의 총점은 같은 연령대 남성의 총점에 비해 의미 있게 낮았으며, 또한 전체 여성군의 총점은 전체 남성군의 총점과 비교하여 의미 있게 낮았다. 또한 연령대별로 분류한 군에 따른 총점의 차이가 60대 이상은 60대 미만 연령대보다 의미 있게 낮았다. 전체 피검자의 간단 신체 수행 검사의 총점은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체지방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마른 체중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성별로 분석한 결과, 여성에서는 간단 신체 수행 검사의 총점과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및 체지방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남성에서는 어떠한 변수와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교차 분석을 시행한 결과, 나이가 들수록, 여성인 경우, 체질량 지수가 증가할수록, 고혈압 및 당뇨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 의미 있게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하지 골절 병력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 대상자를 간단 신체 수행 검사의 총점을 기준으로 10점에서 12점은 저위험군으로 1군, 7점에서 9점은 중위험군으로 2군, 6점이하는 고위험군으로 3군 등으로 각각 분류한 후 비교한 결과 고위험군 및 중위험군인 3군 및 2군의 마른 체중은 저위험군인 1군에 비교하여 의미 있게 낮았고, 3군 및 2군의 체지방량 및 체지방율은 1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게 높았다. 또한 3군의 체지방율은 2군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각각의 변수에 대한 단순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노화, 여성, 저학력, 높은 체질량 지수, 높은 체지방량, 높은 체지방율, 낮은 마른 체중, 고혈압의 병력, 당뇨의 병력 등이 간단 신체 수행 검사 총점의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변수였다. 위의 의미 있는 모든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 회귀 모형을 후진 단계 선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화, 저학력 및 높은 체지방량 등이 간단 신체 수행 검사 총점의 감소를 독립적으로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수였다. 60세 이상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변수에 대한 단순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노화, 여성, 저학력, 높은 체지방량, 높은 체지방율, 낮은 마른 체중 등이 간단 신체 수행 검사 총점의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변수였다. 위의 의미 있는 모든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 회귀 모형을 후진 단계 선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화, 저학력 및 고혈압의 병력 등이 간단 신체 수행 검사 총점의 감소를 독립적으로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연령이 60대, 70대 및 80대인 군의 총점이 다른 연령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게 낮았는데 이는 70대 뿐 만 아니라 60대에도 간단 신체 수행 검사의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간단 신체 수행 검사 총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노화, 저학력 및 높은 체지방량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0대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간단 신체 수행 검사 총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노화, 저학력 및 고혈압의 질병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적 검사를 통한 노인의 기능 변화와 간단 신체 수행 검사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 연구와 더불어 국내의 현실에 적합한 검사 항목의 변화 및 표준화 작업 등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더 유용한 노인의 신체 기능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usefulness and characteristics of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SPPB) in Korean rural community and to obtain a preliminary data of SPPB in Korea. A total of 488 persons aged 22 to 82 with no disability, interviewed and administered a SPPB and a balance test using Medianc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high(less than 6 points), medium(7 to 9 points) and low(10 to 12 points) risk groups according to SPPB score. Lower extremity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SPPB including assessment of standing balance, a timed 4-m walk, and timed test of rising 5 times from a chair. Chronic condition were ascertained as self-report of past disease histor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elf-report of past history of disease, limb load asymmetry, postural sway and SPPB scor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In a multivariate analysis of all subjects, older age,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high body fat mass were associated independently with poor performance. In a multivariate analysis of subjects aged 60 or older, older age,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history of hypertension were associated independently with poor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specially tailored intervention for disability prevention in this subgroups. And this study provides the preliminary evidence that a SPPB is a useful tool in evaluating Korean elderly who are not disabled but have poor lower extremity performa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8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7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