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0

중이 진주종 조직에서 EGFR의 발현 및 미세혈관밀도에 관한 연구

Title
중이 진주종 조직에서 EGFR의 발현 및 미세혈관밀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xpression of EGFR and microvessel density in middle ear cholesteatoma tissue
Author
진봉준
Alternative Author(s)
Jin, Bong-Joon
Advisor(s)
박철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이 진주종은 각화성 편평상피가 비정상적으로 중이강 내에 존재하는 질환으로, 과증식된 상피세포와 상피하 염증세포의 상호작용으로 골조직을 파괴한다. 하지만 진주종의 성장 기전 및 양상에 대하여서는 아직도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진주종 조직의 성장은 진주종 기질과 상피하 결체조직의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에 의한 세포증식과 신생혈관생성이 그 기전의 일부로 생각되고 있다. 진주종에서 세포증식과 관련된 EGFR의 과발현이 보고되고 있고, 신생혈관 생성 및 혈관형성인자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진주종성 중이염으로 수술 중 채취한 중이 진주종 조직과 정상 후이개 피부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염색하여 EGFR의 발현 부위와 발현 정도를 분석하고, CD31 과 Factor VIII으로 미세혈관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간의 연관성을 평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GFR은 정상 후이개 피부조직과 비교할 때 진주종 조직에서 발현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123). 상피를 기저층과 기저상층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는데, 기저층에서는 정상 후이개부 피부조직과 진주종 조직 모두에서 음성 혹은 약양성으로 염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고(p=0.714), 기저상층에서는 진주종 조직에서는 중등도 양성 및 강양성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33). 2. CD31로 측정한 미세혈관밀도는 정상 후이개 피부에서는 14.1±4, 진주종 조직에서는 27.6±13.2로 진주종 조직에서 높았고(p<0.001), Factor VIII에서도 각각 8.7±4.0, 18.9±8.9로 진주종 조직에서 미세혈관밀도가 높았으며(p=0.005),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3. EGFR 발현을 약양성 이하 발현군 및 중등도 이상 발현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을 때, CD31을 이용한 미세혈관 밀도는 약양성이하 발현군에서는 20.36 ± 10.82, 중등도 이상 발현군에서는 38.23 ± 8.37로 중등도 이상 발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Factor VIII을 이용한 미세혈관밀도 약양성이하 발현군에서는 15.00 ± 7.01, 중등도 이상 발현군에서는 24.77 ± 8.26로 중등도 이상 발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본 연구의 결과 중이 진주종 조직은 정상 후이개 피부군과 비교하여 EGFR의 과발현과 미세혈관밀도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EGFR의 과발현과 미세혈관밀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ddle ear cholesteatoma is the disease of abnormal presence of keratinizing squamous epithelium in the middle ear cavity, and it destruct bony tissue by the interactions of hyperprolative epitheial cells and subepithelial inflammatory cells. But, the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of cholesteatoma was not yet identified clearl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ellular proliferation by cytokines and growth factor produced from matrix and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and neovascularization is thought to be the mechanism of the growth of choleasteatoma. Overexpression of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the middle ear cholesteatoma was reported frequently. Because the increment of blood supply is needed for the growth of the cholesteatoma, much studies are focusing on the neovascularization and angiogenic factor in cholesteatom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EGFR, and count the microvessel density using CD31 and Factor VIII, by the immunohistochemistry in 37 cases of cholesteatoma and 7 cases of normal postauricular skin obtained during middle ear surgery, and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EGFR and microvessel den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overall expression of EGFR was more strong in cholesteatoma than in postauricular ski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23). At the basal layer, the expression of EGFR was negative or weakly positive in both cholesteatoma and normal postauricular ski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p=0.714). At the suprabasal layer, the moderate to strong positive expression of EGFR was found in cholesteatoma,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identified (p=0.033). 2. MVD(microvessel density) using CD 31 was 14.1±4.3 in normal postauricular skin, 27.6±13.2 in cholesteatoma. MVD using Factor VIII was 8.7±4.0, 18.9±8.9 respectively. So, high MVD was identified in cholesteatoma, and at both methods, the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CD31, p=0.005 in Factor VIII). 3. We divided the expression of EGFR in two group, weakly expressed group (negative or weak positive) and highly expressed group (moderate to strong positive). Microvessel density using CD31 was 20.36 ± 10.82 in weakly expressed group and 38.23 ± 8.37 in highly expressed group,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 .001). Microvessel density using Factor VIII was 15.00 ± 7.01 in weakly expressed group and 24.77 ± 8.26 in highly expressed group,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overexpression of EGFR and neovasculariza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growth of cholesteatom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8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