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0

정상 치은 조직으로 배양한 각화세포에서 Cyclosporine A에 의한 MMP-1, TIMP-1, TGF-β1의 발현에 관한 연구

Title
정상 치은 조직으로 배양한 각화세포에서 Cyclosporine A에 의한 MMP-1, TIMP-1, TGF-β1의 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for the expressions of MMP-1, TIMP-1, and TGF-β1 induced by cyclosporine A in keratocytes cultured from normal gingival tissue
Author
강학수
Alternative Author(s)
Kang, Hag-Soo
Advisor(s)
황경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목적 : Cyclosporine (CsA)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로 신장 이식과 같은 이식수술 후 환자의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장기간의 CsA 투여는 전신적인 부작용와 더불어 국소적으로 치은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일으킬 수 있다. 기존의 CsA와 관련된 치은증식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결합조직 내 섬유아세포에 초점을 맞춰왔으나 실제 조직학적으로는 상피층의 변화도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CsA에 의한 상피층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정상 치은에서 각화세포를 배양하여 CsA를 처리하였다. 여기에 상피층 교원질 대사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cytokine인 MMP-1, TIMP-1 그리고 TGF-β1의 mRNA 발현을 관찰하여 CsA에 의한 치은의 비정상적인 증식 기전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정상인 4명에서 얻은 구강 치은 조직에서 각화세포를 각각 배양하였다. 치은 각화세포에 CsA 농도 0, 250, 500, 750, 1000, 1500, 2000 ng/ml를 처리하여 그에 따른 MMP-1, TIMP-1 그리고 TGF-β1의 mRNA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 1. 배양된 치은 각화세포에서 MMP-1은 CsA 농도에 따른 발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배양된 치은 각화세포에서 TIMP-1은 CsA 농도 500 ng/ml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배양된 치은 각화세포에서 TGF-β1은 CsA 농도에 따른 발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배양된 치은 각화세포에서 CsA의 농도에 따른 TIMP-1의 발현이 CsA 500 ng/ml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CsA에 의한 치은증식은 치은각화세포에서 분비되는 TIMP-1에 의한 교원질 대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Cyclosporine A (CsA) is a versatile immunosuppressive agent used to prevent graft rejection syndrome and treat various autoimmune diseases. One of the major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CsA is the abnormal gingival hyperpla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s of the MMP-1, TIMP-1, and TGF-β1 and the concentration of CsA in cultured normal gingival keratinocytes. Materials & Methods : The keratinocytes were obtained from gingival tissues of 4 healthy donors. The cultured gingival keratinocytes were incubat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sA (0-2000 ng/ml) for 24 hours, and the expressions of mRNAs of MMP-1, TIMP-1, and TGF-β1 were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 The expression of MMP-1 and TGF-β1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sA. The expression of TIMP-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CsA concentration of 500 ng/ml. Conclusion : We consider that the gingival hyperplasia induced by CsA was more related with TIMP-1 than MMP-1 or TGF-β1 on gingival collagen metabolis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8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4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