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6 0

인지된 노동강도 및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간의 관련성

Title
인지된 노동강도 및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간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labor intensity, job stres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uthor
김인아
Alternative Author(s)
Kim, In-Ah
Advisor(s)
송재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grade of labor intensity according to type of industries or occupation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intensity, job stress & psychosocial well-being and finally, to grasp the path that perceived labor intensity and job stress have effect on psychosocial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12,077 study subjects (or employees) were recruit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labor intensity, job stress, psychosocial well-being, personal factors and job characteristic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labor intensity, job stress and psychosocial well-being with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Absolute and relative labor intensity’ were the highest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health and social work' and 'manufacture of motor vehicles, trailers and semitrailers'. ‘Flexibility’ was the highest in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surance'. The labor intensities were higher in 'professionals' and 'technicians and associate professionals' and in the company with 300-999 employees. ‘Absolute labor intens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ll subscales of job stress (β=0.29-0.73) and psychosocial well-being (β=0.38), respectively. But relative labor intensity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insufficient job control'(β=-0.22), and positive associations with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 and 'occupational climate'(β=0.21-1.44), respectively. ‘Flexibil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ack of reward'(β=-0.33), but positively with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and 'job insecurity'(β=0.16-0.52).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cording to the scale of company, gender and level of job stress showed the path that labor intensity has effect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directly and job stress has, intermediately. In the group with high job stress, the direct effect of labor intensity was prominent, and vice versa. Conclusion: ‘Labor intensity’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industries, occupations, and individual & job characteristics. Changes of work environments due to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had positive effect on some subscales of job stress, but mostly negative. ‘Labor intensity’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via job stress on psychosocial well-being. Therefore the change of labor intensity, such as work time, work density or in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psychosocial well-being or to decrease job stress according to industries, occupations, and individual & job characteristics.; 연구 목적 : 다양한 업종과 직종에서의 노동강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노동강도의 수준 및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간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또한 인지된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한다. 연구 방법 :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전국조사연구’를 통해 확보된 12,077명을 대상으로 인지된 노동강도의 수준, 직무 스트레스, 사회심리적 건강, 개인적 요인과 직무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 절대적 노동강도와 상대적 노동강도는 ‘도소매업’, ‘보건복지업’과 ‘자동차, 트레일러 제조업’에서 가장 높았으며, 유연화는 ‘금융/보험업’에서 가장 높았다. 직종별로는 ‘전문가(보건전문직 포함)’과 ‘기술공 및 준전문가’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300인-999인 규모의 사업장의 노동강도 수준이 가장 높았다. 절대적 노동강도는 8개의 직무스트레스 영역과 사회심리적 건강과 유의한 관련성(β=0.29-0.73)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대적 노동강도는 직무 자율성은 높여주고(β=-0.22), 관계갈등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와는 양의 관련성(β=0.21-1.44)을 나타났다. 유연화는 보상부적절(β=-0.33)과는 음의 관련성을,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불안정과는 양의 관련성(β=0.16-0.52)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해 본 결과 전체 모형, 사업장 규모에 따른 모형, 성별과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모형 모두에서 노동강도의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하였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는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경로보다 노동강도의 사회심리적 건강에 대한 직접 경로가 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노동강도 수준은 업종과 직종, 개인적 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으로 인한 노동조건의 변화는 일부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직무 스트레스를 악화시켰다. 또한 노동강도 및 직무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향후 노동자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고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 시키기 위해 업종과 직종, 개인적 특성과 직무 특성을 고려하여 직무 스트레스뿐만이 아니라 노동 시간의 감소와 노동 밀도의 저하, 고용 불안정의 개선과 같은 노동강도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3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