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동수-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20-04-13T16:52:39Z-
dc.date.available2020-04-13T16:52:39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8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83en_US
dc.description.abstract배경 및 목적: 베체트병은 임상 증상에 따라 진단하는 원인 불명의 염증질환이며. 국제 연구회의 진단기준과 일본에서 제시된 진단기준이 주로 사용된다. 이 연구는 베체트 장염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 기준에 부합하는 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베체트 장염의 임상경과와 질병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6년 5월까지 베체트병을 의심하여 대장내시경을 한 사람들과 소화기 증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결과 의미있는 궤양병변이 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대장내시경에서 궤양이 확인된 총 38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40.9세였고 남녀 비는 1:1.1이었다. 일본 진단기준 적용시 불완전형 20명, 의심형 8명, 가능형 6명이었으며, International Study Group of Behcet’s disease 진단기준 적용시 11명이 베체트병에 합당하였으며, 17명에서 베체트병이 의심되었다. 4예에서는 베체트병을 시사할 만한 임상양상이 없는 단순 궤양이었다. 베체트병의 전신증상으로 반복적인 구강 궤양이 89.5%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들 환자군이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가장 주된 이유는 복부통증이 63.2%로 가장 많았다. 궤양은 아프타 궤양(50.0%)이 가장 많았으며, 국소단일형(42.1%)으로 주로 회맹부 주변(91.19%)에 위치하였다. 추적 대장내시경에서 치료 약제에 따른 병변의 호전 여부에 차이는 없었으며, 4예에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었다. 결론: 베체트 장염이 의심되는 환자들은 일본 베체트병 연구위원회의 진단기준 적용시 좀 더 많은 환자들이 베체트병에 부합하였다. 베체트 장염이 의심되나 베체트병으로 진단되지 못한 환자군에서 임상적 특성이나 경과, 치료결과는 베체트 장염 환자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단순 궤양 환자군을 베체트 장염의 진단 아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 For the diagnosis of Behcet’s disease, we used clinical criteria of International Study Group of Behcet’s Disease (ISBD) and Behcet’s Disease Research Committee of Jap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criterias and to recognize the clinical features and course about intestinal lesion of probable Behcet’s disease. Materials & Method: We analyzed a retrospective review of 38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and had intestinal lesions associated with Behcet’s disease. Results: Of the thirty-eight patients (18 male/20 female), the me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40.9±13.6 years. By Japanese criteria, they were 20 patients in incomplete type, 8 in suspected type, and 6 in possible type. 4 patients had only intestinal lesion without Behcet’s manifestation at the time of diagnosis. By ISBD criteria, 11 met Behcet’s disease, and 17 were suspected as Behcet’s disease. The most common symptom was recurrent oral ulcer(89.5%). Characteristics of intestinal lesions were aphthous ulcer(50.0%), localized single(42.1%), distribution, and ileocecal area location(91.9%). Nineteen patients underwent a second colonoscop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t clinical outcomes after prescribed medication. Four patients had operation during treatment period. Conclusions: In the case of intestinal Behcet’s disease, application of Japan’s criteria was more suitable than ISBD for clinical diagnosi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intestinal Behcet’s disease patients and patients who cannot categorized as Behcet’s disease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course, and outcomes. We thought simple ulcer as subtype of intestinal Behcet’s diseas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베체트 장염의 임상양상과 경과-
dc.title.alternativeClinical features and course of intestinal Behcet's diseas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지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E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내과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