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9 0

남성 생식기계에서 고환외 라이디히 세포의 분포 및 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남성 생식기계에서 고환외 라이디히 세포의 분포 및 양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Distrivbution and Pattern of Extratesticular Leydig Cell in Male Genital System
Author
장시형
Alternative Author(s)
Jang, Si-Hyong
Advisor(s)
박용욱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인체의 많은 장기에서 이소성 조직 및 세포들의 존재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남성 생식기계에 있어서 고환외 라이디히세포에 대한 국내 보고는 찾아볼 수 없다. 라이디히세포는 정상적으로 고환 사이질에 존재하며 스테로이드 합성, 안드로겐의 합성 및 분비, 정자 생성 유지 등의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고환외의 남성 생식기에 분포하는 이소성 라이디히세포의 빈도와 분포 및 양상을 파악하여 병리학적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고, 나아가 진행된 전립샘암종과 악성 라이디히세포종양을 포함한 악성고환종양의 전이 병소와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저자는 1991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고환절제술을 받은 147예 중 연구목적에 부합하며 조직표본의 보관상태가 양호한 86예를 대상으로 조직표본을 재검색하여 고환의 피막, 고환그물, 고환주위 연부조직 및 부고환 등에 존재하는 라이디히세포를 관찰하고 분포 및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86예 중 63예 (73.3%)에서 이소성 라이디히세포가 관찰되었다. 혈관막 (tunica vasculosa)에서 가장 높은 빈도 (52.5%)로 라이디히세포가 관찰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백색막 (tunica albuginea) (29.3%), 고환주위 연부조직 (11.9%), 고환그물 (rete testis) (4.3), 부고환 (epididymis) (2%) 순이었다. 분포 양상은 혈관주위에 존재하는 경우가 54예로 가장 많았으며 신경과 관련된 예가 가장 적었다. 이소성 라이디히세포의 수나 군집의 수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해부학적 위치가 고환실질과 멀어질수록 군집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이소성 라이디히세포가 존재하는 위치는 피막 중 고환실질에 해부학적으로 인접한 혈관막에서 가장 흔하였으며, 양상은 혈관주위에 존재하였다. 그러나 고환실질에서 먼 거리에서는 신경내 또는 신경주위에 위치하는 증례가 많았다. 이것을 이소성 라이디히세포의 발생기전과 연관해 생각해 볼 때 Nelson 등이 주장하였던 바와 같이 라이디히세포가 아메바양 이동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신경주위에 위치하는 양상을 보인 점 등은 이전 연구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소성 라이디히세포는 해부학적으로 어느 한 곳에만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많은 경우에서 다양한 형태로 중복하여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거의 대부분 적은양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존재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거나 소홀히 취급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병리의사가 반드시 인식하고 있어야 할 병리학적 기초자료로 생각되며 나아가 악성 라이디히세포종양을 포함한 고환종양과 진행된 전립샘암종의 전이병소에 대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 Leydig cell has essential role in muscularization and reproduction in the male such as steroidogenesis, androgen synthesis and secretion, and maintenance of spermatogenesis. Leydig cells are normally present in the interstitium of the testis. They are also present in extratesticular tissues such as testicular tunicae, rete testis, epidididymis, spermatic cord, and adjacent soft tissue in the male genital system. Although existence of heterotopic tissue or cell other than extratesticular Leydig cell in the human orga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study on heterotopic Leydig cells in the male genital system is rarely found and did not describe their existence in the Korean literature. These heterotopic Leydig cells are usually present as small numbers and are usually unrecognized or overlooked because of their small numbers. Heterotopic Leydig cells may be confused with metastatic prostatic adenocarcinoma or extratesticular spread of testicular tumors because of morphologic similarity between them. Therefore, awareness of their existence may be helpful in the evaluation of orchiectomy specimens of testicular tumors or advanced prostatic adenocarcinoma. Overall data concerning heterotopic Leydig cell may use as basic reference in pathologists.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eighty six cases of orchiectomy specimens for the treatment of prostatic adenocarcinoma, testicular tumors, cryptoorchidism, and testicular infarction including rupture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of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are reviewed for this study. Parameters evaluated include age, underlying disease, and location, distribution, pattern, and cell count of heterotopic Leydig cells. Routine hematoxylin and eosin stained sections were reviewed by light microscopy. Results : Age range of patients was 1 to 81 (mean 39.4 years). Underlying diseases were 13 cases of testicular germ cell tumor (mixed germ cell tumor 7, seminoma 3, embryonal carcinoma 2, cystic teratoma 1), 25 cases of advanced prostatic adenocarcinoma, 38 cases of cryptoorchidism, 10 cases of testicular infarction including rupture. Heterotopic Leydig cells were found in 63/86 cases (73%). The most common site of heterotopic Leydig cell was testicular tunic (54 cases, 86%). Multiple sites were involved in 27 cases (42.9%). The most common site of multifocality were the tunicae and rete testis (15/27). Heterotopic Leydig cells were usually associated with vessel and small nerve fibers. Combined form of perivascular and isolated cells was the most frequent finding seen in 42 cases. Quantity was <10 cells ( 6 cases, 9.5%), 10-50 cells ( 25 cases, 39.7%), 50-100 cells (9 cases, 14.3%), 100-150 cells (13 cases, 20.6%), and >150 cells ( 10 cases, 15.9%).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overall findings in heterotopic Leydig cells in the male genital system and may suggest almost always presence of these cells in the everywhere of the extratesticular tissue with varying distribution and pattern. These results would be use as basic reference and pathologists should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heterotopic Leydig cells in the evaluation of orchiectomy specimens for advanced prostatic adenocarcinoma and testicular tumors. When large numbers of these cell are intimately associated with small nerve fiber and/or vessels, they may be misdiagnosed as perineural or vascular invasion by the tum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8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