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0

족부 제1열의 운동성 측정을 위하여 고안된 기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Title
족부 제1열의 운동성 측정을 위하여 고안된 기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Other Titl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ustom-made device; For the checking of the mobility of the first ray of the foot
Author
황승근
Alternative Author(s)
Hwang, Seung-Keun
Advisor(s)
박예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족부 제1 족근 중족 관절의 운동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기구의 타당도와 관찰자 내, 관찰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도에서 중증도의 무지 외반증이 있는 69족(43명의 환자)을 대상으로 Lee와 Young이 고안한 Eulji Medical Center(EMC) 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Fritz등이 개발한 변형된 Coleman block을 이용한 결과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검정과 Pearson상관계수를 이용하였고, 3명의 서로 다른 관찰자들이 같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호 정보의 교환 없이 EMC 기구를 이용하여 2회 측정한 결과를 대응 표본 t-검정, 분산분석과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과 관찰자내, 관찰자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다. 결과: EMC 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제1 열의 운동성의 평균은 8.31㎜(범위 : 4.3∼12.3㎜)이었고, 변형된 Coleman block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한 제1 열의 운동성의 평균은 7.36㎜(범위 : 3.4∼10.3㎜)이었다. Pearson 상관계수는 0.84로 연관성을 보였으나 대응 표본 t-검정 결과에서는 이 두 가지 검사방법을 이용한 계측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EMC 기구를 이용한 관찰자 내 대응 표본 t-검정결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2, 0.58, 0.96),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76, 0.79, 0.80이었다. 관찰자간 측정치에 대한 분산분석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p=0.96). 관찰자간 측정치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83, 0.84, 0.86이었다. 결론: 족부 제1열의 운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EMC 기구를 사용하여 얻은 측정 결과는 변형된 Coleman block을 이용하여 측면 단순 방사선 사진을 통해 얻은 결과와 비교하여 타당도가 있고, 관찰자 내, 관찰자 간의 측정치 또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intra-observer,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a specially designed custom-made device for the checking of the mobility of the first ray of the foot. Materials and Methods: Sixty-nine cases (43 patients) of mild to severe hallux valgus foo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r an analysis of the validity of the Eulji Medical Center(EMC) device developed by Lee and Young, the dorsal mobility of the first ray of the foot was measured by the modified Coleman block test developed by Fritz et al and also measured with EMC device were compared. Two-tailed Student’s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compare the two values. For evaluation of intra-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EMC device, three independent observers who did not know each other’s results measured the dorsal mobility of the first ray of the foot twice.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wo-tailed student’s paired t-test for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the ANOVA test for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software. Results: The mean values measured of the dorsal mobility of the first ray of the foot by EMC device were 8.31㎜(range; 4.3∼12.3㎜) and 7.36㎜(range; 3.4∼10.3㎜)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C device and modified Coleman block test (p<0.05). Both measured data, however showed good correl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 0.84). Paired t-test for intra-observer validity wa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observer (p= 0.52, 0.58, 0.96,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76, 0.79, 0.80). ANOVA testing for inter-observer reliabi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96)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83, 0.84, 0.86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MC device is reliable and valid for measuring of the mobility of the first ray of the foo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5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4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