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2 0

조합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조합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form Measures for the Cooperative Tax System
Author
최병곤
Alternative Author(s)
Choi, Byeong-Gon
Advisor(s)
이우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기업환경을 보면 경쟁력의 원천이 유형자산에서 무형자산으로 전환되고 있고 기업가치 역시 물적자산에서 인적자산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제상황이나 기업환경이 매우 복잡 다양해짐에 따라 기업의 형태 또한 조직과 과세의 경직성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기업의 형태를 보면 각 개인이 단독으로 사업주체가 되는 개인기업과 다수의 사람이 모여 법인격을 부여 받아 설립된 법인이 사업주체가 되는 법인기업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다수의 사람이 모여 공동사업을 하는 경우에도 법인을 설립하지 않고 사업을 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법적의무사항으로 법인을 설립하지만 벤처기업이나 전문 인적용역 법인 또는 단기 프로젝트형 법인, 투자펀드와 같은 금융회사 및 소규모의 사단법인 등에 있어서는 실제로 개인 또는 조합의 성격으로 운영되는 회사도 상당수 있다. 법인기업은 개인기업과는 달리 엄격한 법적용을 받기 때문에 소규모로 큰 제약없이 기업활동을 하려는 경우에는 장애가 되고 있다. 조합형태의 기업은 설립이 자유로우며 운영상에도 융통성이 많아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진 소수의 전문인이나 친지들이 자유롭게 모여서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급변하는 경제상황과 새로운 기업환경의 변화를 감안할 때 이러한 조합기업의 활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세법상으로도 다양한 경제주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과세제도의 정비 등 적극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민법에 규정된 조합은 2명이상이 서로 출자하여 공동사업을 경영할 목적으로 결합한 단체이지만 그 구성원과 독립하여 별개의 인격을 가지지 못하는 단체이다. 개인과 법인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세법 규정상 이러한 조합이라는 기업형태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은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이런 이유로 조합에 해당될 수 있는 단체들이 상법상의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회사 등의 다른 기업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법인격을 부여 받는 이들 회사는 법인세 과세대상이 되는 등 원래의 사업형태가 아닌 다른 사업형태를 취하게 되면 과세상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조합기업은 개인기업과 법인기업 이외의 기업형태로서 자금 또는 기술의 일시적 협력이 필요한 사업이나 인적요소가 강한 기업에 적합하다. 법인 설립시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그 이용의 폭이 넓어 새로운 기업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조합기업 운영시 현행 세법상 적용기준이 모호하고 불분명하여 체계가 잡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사전에 조세비용을 예측할 수 없는 등 많은 제약이 따른다. 현행 세법에서 조합에 대한 과세제도의 문제점 도출은 조합형태의 기업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세제도의 확립을 전제로 한다. 그 이유는 경제주체들이 어떠한 형태의 기업활동을 하든 세법은 이에 대한 명확한 과세이론을 정립하는 것이 당연하다. 근본적 이유는 국가는 법률의 근거없이 조세를 부과·징수할 수 없고 국민은 조세의 납부를 요구받지 않는다는 조세법률주의의 원칙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사법적인 제도로는 조합이 있으나 조합은 법적인 권리의무의 주체로서 인정되고 있지 않아 세법에서도 공동사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포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등 조합과세에 대한 세법상 명문규정이 미비되어 있다. 국세기본법상 “법인으로 보는 단체”로 분류되어 일정 요건을 갖춘 단체는 법인세법을 적용하고 그 외의 단체는 소득세법상의 “공동사업장”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격 있는 조합”과 조합의 성격을 가진 상법상 합명·합자회사 등은 일반법인과 동일하게 법인세법을 적용받고 있어 논리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납세의무자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조합과세제도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합의 실체인정 여부에 관한 도관이론과 실체이론의 비교를 기초로 현행 조합과세제도 현황과 각국의 제도를 살펴 보았다. 이제는 새로운 기업형태의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경제적 실질에 부합하는 기업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시점이다. 세법상 조합이론으로 도입하여 조합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조합에 대한 과세규정을 별도로 신설할 필요가 있다. 공동사업의 경우에는 자산의 공유 또는 합유의 경우에만 공동사업장 규정을 적용하도록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조합에 대한 회계처리기준의 제정 등 회계제도의 정비, 민·상법에서의 조합에 대한 규정의 보완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recent business environment, the source of competitive strength is changing from tangible to intangible assets, while corporate value is shifting from material to human resources. On the other hand, as economic conditions or business environment is very complicated and diversified, corporate behaviors are developing to be relieved of the rigid organization and taxes. The corporate forms may well be divided into individual businesses owned and operated by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consisting of multiple persons but acting as independent legal entities.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multiple subjects do not form a corporation but operate a common business. Multiple subjects' business is obligated to be formed into a corporation, but the type of individual business or cooperative replaces corporation in a considerable number of cases such as venture businesses, professional services, short-term projects, investment funds and other financial businesses, small-scale group business. Unlike individual businesses, corporations are subject strictly to law, and so a corporative form would be an obstacle to small-scale companies who want to do their businesses without being reigned by law. A cooperative business is free to be established, while being operated more flexibly, and therefore, a small number of professionals with fresh ideas or a small group of relatives and acquaintances may form a cooperative freely for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rapidly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and business environm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encourage such cooperative business activities. So, the tax system needs to be reformed to be efficient and positive enough to support a variety of economic actors. As specified by Civil Code, a cooperative is a group formed by more than one person to do a common business, but it does not possess an independent legal personality separate from its members. Namely, it has a legal nature somewhere between individual and corporation. The biggest problem is that our tax codes are not effective enough to support such a business form. For this reason, many groups which could be cooperatives seem to have been formed into such business forms specified by Commercial Code as unlimited partnership, limited partnership, limited responsibility company, etc. Such companies given a legal entity are subject to the corporative tax, so if they should be turned into other business forms, they would be taxed in an unreasonable way. The cooperative business, other business form than individual or corporative business, may be adequate to the business requiring a temporary financial or technological cooperation or featuring the strong human elements combined. It saves time and cost for its establishment, while being used for a wider range of purposes, and thus, it is being developed as new viable business form. However, since our current tax codes specify this business form neither clearly nor systematically, its establishment seems to be much limited primarily for the reason of the tax costs not clearly estimated. Under our current tax system, the problems of taxing the cooperatives should be identifi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should be more promoted. Tax codes should clearly specify the conditions for any form of business, because of the legal taxation principle that the government should not levy any tax ungrounded legally and citizens should not be requested to pay tax without legal ground. While the cooperative is specified by Civil Code, it is not admitted by the code as subject of rights and responsibilities, while being treated comprehensively by the tax codes using the term 'common business'. In short, our tax codes do not specify the cooperative tax. The Basic National Tax Code classifies the cooperatives into 'groups regarded as corporations', and thereby, applies the Corporate Tax Code to the groups possessing certain conditions and 'Income Tax Code to other groups as 'common workplaces'. But such an approach seems to lack a logic only to confuse the tax payers because "the cooperatives of legal entity" established by special codes and such cooperative businesses specified by Commercial Code as limited or unlimited partnerships are subject to Corporative Tax Code. With such problems of the cooperative tax system in mind, this study reviewed our and foreign cooperative tax systems in reference to theories about cooperatives: Theory of Conduit and Theory of Substantial Entity. Now, it is deemed necessary to rearrange the system for diverse economic actors or business forms to choose their optimal business forms matching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this context,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se the tax codes to clearly specify the scope of cooperatives and the conditions for the cooperative tax. And it is deemed desirable to apply the concept of 'common workplace' only to the businesses owned jointly or by entiretie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arrange the accounting criteria and system for cooperatives, while revising Civil and Commercial Codes to more clearly specify the nature of cooperativ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4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S](행정대학원) > DEPARTMENT OF TAX MANAGEMENT(세무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