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상우-
dc.contributor.author김종삼-
dc.date.accessioned2020-04-13T16:46:40Z-
dc.date.available2020-04-13T16:46:40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1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09en_US
dc.description.abstract민주화 과정과 지방자치제의 실시 그리고 경제 발전 등으로 우리나라의 복지정책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양극화, 저출산 및 고령화 등 각종 사회문제가 복지정책의 변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사회문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힘만으로 해소 할 수 없는 실정이 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도 자원봉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원봉사정책을 다각도로 진흥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복지사회는 사회제도나 특정 계층의 노력만으로 이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국민이 사회복지에 대한 가치를 갖고 공동의 삶의 질을 위해 노력할 때 진정한 복지사회는 실현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복지사회를 위한 길은 얼마나 많은 국민이 자원봉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참여하느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원봉사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위치에 있는 지방정부는 이에 대하여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음은 말 할 나위 없을 것이다. 특히 지방정부는 소속기관을 포함한 지방정부 자체에 대한 공공자원봉사 분야 개발, 시민의 자원봉사활동 지원 그리고 소속공무원이 자원봉사자를 모집· 관리·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하여야 하는 3대 임무를 지고 있다. 이렇게 자원봉사에 대하여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는 지방정부가 소속 공무원들의 자원봉사를 제고해야 할 시점에서, 본 연구는 지방정부 소속공무원들이 자원봉사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여 공무원의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 되었다. 이를 위하여 강남구, 강동구, 서초구, 노원구, 도봉구 및 양주시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공무원의 참여실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자의 참여 실태를 보면 자원봉사활동을 자발적으로 참여한다가 36.8%, 지역사회에 참여 하기 위하여가 25.2%, 청소 세탁 목욕 등 단순노력봉사를 한다가 36.4%, 자원봉사관련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했다가 44.8%, 자원봉사 참여기간 1년 이내가 48.7%, 최근 1년간 활동시간이 10시간이내가 59.7%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험자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다소 만족과 매우 만족을 포함한 만족의 응답이 46.7%, 공무원의 자원봉사활동이 지방정부 이미지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은 다소 긍정과 매우 긍정을 합한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64.7%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상의 문제점으로는 공무원의 자발적 참여의지 부족이 38.7%로 각각 나타났다. 셋째, 경험자와 무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활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78.1%, 비활성화 이유로는 공무원의 인식부족이 36.9%, 자원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조직내 봉사문화 부재로 인한 타인의 시선문제(25.6%)로 각각 나타났다. 넷째, 공무원이 자원봉사활동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시민사회 발전에 필요하기 때문에 라는 응답(3.82), 자아실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3.60)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의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자녀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3.87)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지역주민과의 유대관계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3.76)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으로서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보험 가입(3.68), 자원봉사활동 시 최소경비 지원(3.47)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 직원의 자원봉사 의무화는 가장 낮게(2.51)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공무원의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에서 다음과 같은 함의를 보여준다. 첫째, 지방정부 소속 공무원은 시민의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정책의 실시, 관리·지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자원봉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자원봉사 의무제 도입을 지양하고 공무원들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의 조성과 교육`훈련 등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사회의 구성원이자 지역복지와 자원봉사활동의 지원을 맡고 있는 공무원으로서 시민과 함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자원봉사문화를 형성해 가는데 공동으로 동참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하겠다.; As the effectiveness of the local administration is based on the democratic participation, actual citizens' participations must be increased. For this reason, Korean government enacted 「Voluntary Activities Act」Constructing welfare society requires voluntary activities not only by citizens but by civil servants. Furthermore, voluntary activities by civil servants could expedite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citizen to the voluntary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find and suggest some policy alternatives promoting the civil servants' in the process of local self-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In order to attaining the aims, arguments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from field survey by questionaire asked to the civil servants of local governments who has the experience of voluntary activities or not.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36.8% of respondents participate voluntarily to the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ocial welfare programs. 44.8% of respondents had never had any educations or trainings on voluntary activities. Second, 46.7% of respon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voluntary activities most of whom believe that their voluntary activities would contribute to making the good images of local governments. Third, 78.1% of respondents has optimistic views on the effect of voluntary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local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But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the lack of recognition, they are not so active on participating voluntary activities. Fourth, many of the respondents expect voluntary activities to contribute to be successful in self actualization, children education and strong relationship among neighbors. Fifth, in order to promoting the civil servants' voluntary activities, limited subsidies would be helpful. From the above results, followings could be suggested as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new concept and recognition on voluntary activities of the civil servants are required. Second, widening affirmative culture, educations and trainings on voluntary activities are required. Lastly, various programs and organizations are to be developed in which civil servants participate together with citizen.-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무원의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Voluntary Activities of Civil Servant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종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m, Jong-Sam-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행정·자치대학원-
dc.sector.department사회복지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