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3 0

豫備軍 隊員의 팔로워십 類型이 예비군 지휘관의 리더십 效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Title
豫備軍 隊員의 팔로워십 類型이 예비군 지휘관의 리더십 效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Reserve Forces Members′ Followership Styles on Reserve Forces Commanders′ Leadership Effectiveness
Author
김찬수
Alternative Author(s)
Kim, Chan-Soo
Advisor(s)
심원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급변 다변적인 국제 안보환경 하에서 자국의 안보를 위해 어느때보다 예비전력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예비군의 역할이 핵심적인 이슈(issue)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우리도 이러한 예비군 조직을 지금과 같은 든든한 예비전력의 하나로 만드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던 것은 다름아닌 1968년 예비군이 창설된 이후 예비군지휘관들의 보이지 않는 아픔과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무엇보다도 군과 사회를 잘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예비군부대가 전국에 산재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예비전력분야의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원들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우리는 이러한 ‘리더(Leader)’인 예비군지휘관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일 수 밖에 없었다. 누가 어떤 리더십 기술(Leadership Skill)을 습득하여 어떻게 리더로서 앞장서 제 역할(Role)을 하는가에 초점이 모아졌었던 것이다. 이끄는 사람, 앞장선 사람, 곧 리더인 예비군지휘관만이 중요한 것인 양 여겨져 왔던 것이다. 그러나 따르는 사람, 곧 팔로워(Follower)인 예비군대원도 매우 중요하다. 이들이 적절한 역할을 해주지 않으면 예비군지휘관의 리더십 성과는 나타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팔로워의 효과적인 행동은 곧 성공적인 리더십의 투영된 이미지(Image)라고 할 수 있다. 리더란 팔로워가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며 리더십이란 팔로워십이 있으므로 해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팔로워십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효과적인 예비군지휘관의 리더십에 전제가 되는 효과적인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을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리더십의 개념(특히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을 중심으로)과 연관시킴으로써 조직의 유효성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예비군지휘관-예비군대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인 방법과 설문지법을 이용한 실증분석 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적인 방법에서는 기존 연구문헌들의 개관을 통하여 전반적인 리더십관련 이론과 팔로워십 관련 이론들을 정리하고, 아울러 지금까지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간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인천광역시 중구 지역예비군 대원을 대상으로 2006년 10월25일부터 11월3일까지 일반예비군훈련시 해당 교관(동대장)과 예비군대원의 협조하에 총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배포된 300부중 275부가 회수되었으며, 미회수 25부,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기록내용이 불성실하거나 누락정도와 중심화 경향이 심한 14부를 제외한 26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응답률 : 87%). 본 연구는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1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실증분석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처리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 Oneway ANOVA,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중 순응형은 예비군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중 카리스마, 지적 자극에 대하여, 모범형은 개별적 배려에 대하여 각각 인식이 강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고,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중 수동형은 예비군지휘관의 거래적 리더십 하위요인중 상황적 보상에 대하여 인식이 강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둘째, 예비군지휘관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는 점점 더 증대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 예비군지휘관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는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중 모범형일 때가 더 높을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넷째, 예비군지휘관이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는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중 수동형일 때가 더 높을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헌연구 및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과 예비군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하위요인간에 유의적인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중 카리스마, 지적 자극과 팔로워십 유형중 순응형이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개별적 배려에서는 모범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상황적 보상과는 모범형이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예비군지휘관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예비군지휘관이 변혁적 리더십보다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가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변혁적 리더가 그렇지 않은 리더보다 팔로워의 조직몰입도를 더 높여준다는 선행연구와는 정면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셋째, 예비군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이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는 모범형 예비군대원이 유의한 영향을 끼침으로써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예비군대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예비군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에 있어서도 모범형 예비군대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수동형 예비군대원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예비군지휘관이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예비군대원의 직무만족에 수동형 예비군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소외형 예비군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예비군지휘관의 거래적 리더십이 예비군대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는 가설대로 팔로워십 유형중 수동형 예비군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지금까지의 리더십 연구들이 리더십 과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가져온 팔로워의 역할과 팔로워십의 중요성을 관련문헌 연구 및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함으로써 조직의 유효성 극대화를 위한 효과적인 팔로워십의 필요성과 그 개발를 다음과 같이 제기한 것이다. 첫째, 학문적인 측면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이 예비군지휘관의 리더십 유형과 잘 연계될 때 비로소 예비군조직의 유효성이 향상될 수 있었으므로 예비군지휘관의 역할 못지않게 예비군대원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특히 대다수의 구성원이 예비군대원들로 이루어졌으며, 관료적이고 형식적이며 한시적인 조직문화를 가진 예비군조직을 대상으로 한 팔로워십 실증분석은예비군조직에 유입된 다양한 인적 특성을 가진 예비군대원에 대한 관심제고와 예비군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실무적 길라잡이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실무적인 측면이다. 본 연구결과가 예비군지휘관들이 예비군조직의 유효성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리더십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한 리더십은 팔로워 유형별로 상이하게 존재하므로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을 감안하여 그 유형에 맞추어 예비군지휘관이 예비군조직에 적합한 바람직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하여야 예비군대원의 행위와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예비군조직의 유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예비군조직내에서 예비군대원이 효과적인 팔로워십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는 예비군대원의 개인적인 자질이나 성격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일종에 비상설조직의 성격을 띠고 있는 예비군조직의 불안정과 불확실성, 관료적이고 형식적인 분위기, 규정과 규칙을 강조하는 통제된 조직풍토, 주소지 이전으로 인한 조직구성원의 빈번한 교체 등 조직적인 영향이 주요한 원인으로도 작용한다. 더우기 예비군대원 당사자가 예비군복무를 병역의무로 인식하기보다는 현역복무 후 귀찮게 부가되는 부가적 의무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예비군대원의 팔로워십 유형을 보다 많이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을 수용하고 보다 자율적인 조직풍토(예비군훈련시 자치제 실시 등)의 활성화가 되도록 하는 등의 예비군조직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다. 아울러 바람직한 팔로워십 유형의 예비군대원들과 협력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십의 발휘도 필요할 것이다. 한편 급변하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안보환경과 점차 글로벌화 되어가는 정치 · 경제 · 군사 · 문화 등을 고려할 때, 그동안 상비전력의 보조수단이라는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예비전력은 이제 국가방위의 중심전력으로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가고 있다. 그에따라 이 예비전력의 핵심인 예비군조직의 재정적 ·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혁신적인 개혁의 문제는 별론으로 하고 예비군조직내의 조직구성원인 예비군대원의 예비군복무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다. 이러한 상황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예비군조직내 조직구성원인 예비군대원의 역할과 그에따른 팔로워십 유형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군조직문화의 문제점에 대한 예비군대원의 태도가 더욱더 전향적이 되도록 바람직한 팔로워십 유형을 개발 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방향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일시적인 지각에 의한 횡단적 연구가 아니라 시간적인 변화에 따른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리더가 팔로워로 하여금 바람직하지 못한 팔로워십 유형을 지양하고, 바람직한 팔로워십 유형을 갖출 수 있도록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지표 내지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주어진 상황과 여건에 따라 팔로워십 유형에 맞춘 적합한 리더십을 적용 · 발휘함으로써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오랜 기간동안 수없이 많은 연구와 관심이 집중되어 온 기존의 전통적인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에서, 향후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변혁적 리더십 연구의 경험 축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Researches for leadership have been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relationship itself between the leader and the follower, instead of taking it as a situational variable lately. Moreover, the followership theory initiated by Kelly stresses that the follower′s acceptance of leader effectiveness rests on the follower himself(herself).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a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develo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periment the fact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lls back on leadership styles which are differently applied to followership styles. Otherwise, this study goals to experiment the influence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ik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ppear the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nging on followership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mmed up as follows : First,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leadership factors like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contingent rewards depending on followers' followership styles. Secon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and effectiveness in the degree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llowers depending to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ird, examination of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llowers, leading to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followership sty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the distinction of followers' perception, conformist followers among followership styles were tightly connected to the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ive followership styl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contingent rewards factor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econd,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ere effective to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tightly related to transactional leadership rather tha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rd, in the hypotheses on the moderating effectiveness of followership styles was effective to job satisfaction. In passive followers,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more effective to leadership was more effective to job satisfaction. In passive followers,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more effectiv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consequenc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that effective followers are more effective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conformist, pragmatist, alienated, and passive followers among followership styles. Normolly, reserve forces organizations emphasize predictability, stability, which are similar to mechanical structure characterized with formulation, red tape, hierarchy regulated with statute, so that a leader's authorization of rewards is extremely restricted. therefore, the followers' perception toward the leader is tightly connected with passive followers rather than effective followers. Most former studies of leadership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verlooking followers' followership style and concentrating on supervisors' leadership style. however, it can be suggested that followers' role as well as supervisors' role is important to boos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cause the fitness between supervisors' leadership styles and followership styles escalate it. The research findings make it better for supervisors to understand leadership styles contributing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eneral, managers are likely to misundersta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the best in every situations, because of the prior study result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is more effectiv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But this study consequences suggests that this is the only average condition and that desirable leaderships exist differently according to followership styles. To be brief, supervisors should apply to desirable leadership styles differently depending on followers' followership styles, so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welled highly by changing followers' behavi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68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2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BUSINESS ADMINISTRATION[E](산업경영대학원)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