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1 0

아산 온양역 주변 상업지구 복합용도개발에 관한 설계 연구

Title
아산 온양역 주변 상업지구 복합용도개발에 관한 설계 연구
Other Titles
A Design Study on MXD-Use Complex in Business District in the Vicinity of Onyang Station in Asan
Author
김재삼
Alternative Author(s)
Kim, Jae-Sam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아산시는 우리나라 중서부에 위치하여 입지적으로 수도권과 충청남도, 서부지역을 연결하는 지역 중심지로 서해안 개발시대의 배후도시로서 서해안 고속도로,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으로 개발 잠재력 풍부한 지역이다. 그러나 아산 구도심은 천안·평택시 등의 큰 도시와 인접하고 아산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에 있어 이로 인한 구도심의 경쟁력은 제약받고 있다. 교외부의 신시가지개발(배방, 탕정, 음봉, 둔포)로 인한 아산 구도심에서의 주거 이동으로 구도심부의 상권의 쇠퇴와 인구감소·공동화 문제가 초래하게 되었으며, 도심공간은 지역간 간선도로와 장항선에 의해 서로 단절 되어있고, 토지이용에 있어서도 장기간 미개발로 인하여 건축물 및 기반시설, 오픈스페이스 등은 노후·전무한 실정이다. 토지이용 또한 무질서하게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여서 주거환경 및 도시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설계연구는 아산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해 아산 온양역 주변 시가지에 대한 설계를 시작하였으며, 구도심 지역의 보존과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설계안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기존의 도심 개발은 그 지역의 특성을 무시한 채 경제적 논리에 의한 대규모의 단일용도 개발에 편중되면서 또 다른 도시문제를 야기 시켰다. 본 연구는 도심을 개발함에 있어서 도시 맥락(Urban Context)을 유지하면서 미래의 기능과 수요에 적응할 수 있는 개발방법과 복합개발을 통해 도심활동의 활성화와 물리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심공간을 구상,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를 해석하는 다양한 관점 가운데 ‘공간도시규범(Spatial City Paradigm)'에 의한 새 도시상을 바라보는 발상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계획대상지구의 현황조사 및 분석, 복합용도개발의 이론연구를 통해 개발방향을 설정, 이를 토대로 아산 기성시가지 구역에 도심복합공간 개발구상(안)과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새로운 도시공간으로서 도시코어(Urban Core)의 역할과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을 종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융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심시설로 복합공간을 구상하였고, 이러한 도심공간이 지역이나 지구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대상지구의 현황과 특성을 반영하였다. 2. 기존의 도시적 맥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블록단위의 계획 개발을 지향하면서, 개별 블록의 상황에 부합하는 단계별 개발수법을 적용하였다. 3. 복합용도개발과 함께 입체보행가로, 건물내부로의 ‘도시가로’등과 연계한 개발을 구상하고 이러한 요소들을 입체적으로 상호 연계시키는 복합공간을 제시하였다. 4. 토지이용효율의 향상과 기존 활성화되고 있는 재래시장을 함께 고려하여 계획하였고 이용과 기능측면에서 연계되는 재개발을 구상하였다. 또한 온양역사와의 연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Deck를 활용하여 보행동선을 유도하였다. 점차 도심이 쇠퇴해가고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도심의 개발방법과 도심환경의 제안에 대한 연구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변화하는 미래의 도심공간에 대한 관심과 가치를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Asan, located in mid-southern area of Korea, is a city behind the development of West coast, geographically connecting Metropolitan area, Chungnam area, and Western area and also has a high potential development with the opening of West coast express high way and Kyeongbuk ktx. However, this old Asan city is adjacent to big cities such as Chunan or Pyeongtak and Asan's new city is expected to come, restricting the competitiveness of Asan's old city. Because of development in new residential areas on outskirts of Asan such as Babang, Tangjeong, Uembong, and Dunpo, which led to migration from Asan's old city, decrease in commercial districts and population arose and urban space ended up being isolated by interzonal high ways and Jang-hang rail way. Also when it comes to land use, it has been under development for a long time and, therefore, architecture, infrastructure, and open space etc. are wholly lacking. With Land used in a confused mass, city environment including residential environment is left behind. To get over this situation, the design study is intended to design Onyang station area in Asan in order to revitalize Asan's old city and to suggest urban development planning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old urban area. Previous urban development ign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focused on just one single use on a large scale following economic principle, leading to another city problem.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new city spatial design to revitalize the city and improve the physical conditions with complex development and methods adaptable to future function and demand while maintaining urban context. Also in this study, a turning thought into images of a new city is speculated by Spatial City Paradigm among various viewpoint on city. Therefore, the study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into current situation of the target area and theory study on MXD use development. Based on this, it suggested a design and model of urban complex spatial development. This shows roles and patterns of Urban core as new urban space.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designed complex space with urban facilities which can be flexible with the change of city and society and reflect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rget area so that this urban space can be a center of the area or the district. 2. This study adopted step-by-step developmental method, aiming for block design & development so that previous urban context can be maintained. 3. This study designed development connection with dimensional walking bridge and 'urban bridge' within building, along with MXD development and suggested complex space which connects those elements interactively and dimensionally. 4.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 to enhance the land use with revitalized traditional markets and designed the redevelopment in the aspect of use and function together. Also it brought waking circulation using Deck so as to increase the connection with Onyang station. At this point when some problems arise as the city declines, the study on the new methodology of urban development and suggestion of urban environment are desirable and attention to and value of future urban space are highly consider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6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