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형-
dc.contributor.author최두호-
dc.date.accessioned2020-04-13T16:43:48Z-
dc.date.available2020-04-13T16:43:48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65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476en_US
dc.description.abstract단지계획과정이 경제·정치논리 등 외부적 요인의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계획적 의도가 반영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면서 주거단지계획이 계획 요소에 따른 방법론의 추구와 적용 등에 따른 개선 방안을 강구하기 보다는 도시설계, 지구단위계획, MA방식 등의 제도적, 도시공간구성방법에 따른 변화만을 받아들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단지계획이론의 변화와 그에 따른 계획요소의 특성을 밝혀 계획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과 주거지를 둘러싼 도시조직과의 연계, 각 공간의 기능적 분리와 복합 등의 새로운 계획개념의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거단지계획과 관련된 시대상황을 이해하고 계획과정이 사회현상에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고찰하고 주거단지계획을 결정하는 계획이론과 설계수법 등의 변천특성을 계획 체제 정립과 주거단지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공간구성의 논리로 정립하였다. 연구의 전개는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시기구분과 시기별로 일반화되었던 계획기법을 파악하고, 국내 주거단지계획에 영향을 미친 주거단지 계획이론 및 해외 사례를 문헌 조사를 통해 각각의 설계수법과 계획요소들을 정리하였고, 국내 주요 주거단지계획에 적용된 계획요소 및 수법의 관점변화에 근거하여 변천과정을 정리·기술하였다. 그 결과 현대 주거단지이론의 주요계획관점은 보행성의 강조로 보행자 위주의 가로설계와 상호 연결된 격자형 Network에 의한 차량분산, 보행 편리성을 추구하였으며, 복합용도개발에 의한 다양한 범위의 형태·크기의 주택 보급과 높은 이동성 때문에 주민들이 지속적이고 강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운영에 의해 친환경적 개발이 가능한 생태적인 도시환경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처럼 단지계획이론은 근린주구론 이래로 최근의 지속가능한 도시 및 주거계획이론인 어반빌리지운동, 뉴 어바니즘 운동, TND, TOD 등의 세계적 경향과 맥을 같이해왔다. 국내 주거단지계획의 주요 변화 흐름은 새로운 주거단지의 출현, 근린주구론 개념의 등장, 생활권 개념과 대단위 주거단지 계획, 도시차원 개념의 계획, 종합적 사고에 의한 도시공간계획,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개발 계획 그리고 통합설계방식을 도입한 커뮤니티 중심계획의 새로운 전개로 변화되어 왔다. 특히 현대 주거단지 계획요소의 특성은 이동성 증가에 따른 생활권 계획, 지역 연계로써 확대된 장소성 계획, 물리적 공간의 개별성 계획,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계획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개에 따른 단지 계획 요소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권계획에 대한 장소의 차별성개념을 확보하기 위한 네트워크 형성과 IT산업발달로 인한 U-City개념 등의 생활권 영역의 재정립과 교통계획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으로서의 획지규모와 가로망 계획이 보다 보행자의 안정성과 편리성이 확보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둘째, 외부공간 녹지체계는 선형녹지체계의 계획으로 하여 고밀도 계획에 따른 단지의 폐쇄성을 저감시키고 통경공간 확보를 통한 조망권 확보와 바람길·조류이동통로 등 생태환경 측면과 보행가로와 연계된 이용의 편리성과 접근의 용이성을 강화된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주거동 및 층수 계획은 주민 공유공간과 접목된 주거형식으로 주거 문화적 성격에 따라 공유집합주택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전시킴으로써 주변 요소들의 유형화를 통한 다양한 층수계획과 주거유형의 개발으로 단지의 독자성, 커뮤니티의 활성화, 장소성 및 지역성의 인지도에 관련된 개념들이 확대대고 있다. 넷째, 토지이용의 복합화와 블록단위개발은 주거지내의 도시형 집합주택인 블록형 집합주택의 개발이 논의되어야 하며, 블록 내에서의 계획기법도 기존의 계획방식을 탈피하여 필요시 특정블록을 대상으로 개발밀도만 정하여 효율적인 토지이용과 도시공간구조의 재편, 지속가능한 커뮤니티계획으로의 논리로 변천되어 왔다. 주거단지와 주거단지로 구성된 도시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택정책 및 법적제도의 변화, 이동성 증가와 생활권 계획의 전진, 지역연계로써 확대된 장소와 생활, 물리적 공간과 주생활·주의식의 변화,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로써의 복합화·입체화 개념과 블록의 개별성 등으로의 계획 요소 변천과정을 규명하여 도시와 주거단지와의 관계를 정립하고자 하였으나 본 연구는 단지계획이론 및 사례단지들을 제한된 계획 요소들만을 보는 설계자의 관점과 그에 따른 연계의 틀을 국한하여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한계를 보였다. 이는 택지개발계획이 갖고 있는 2차원적인 토지이용계획수립, 평면적인 용도규제, 주거단지별로 배분되는 계획지표 등의 문제에 대한 상관관계의 해석부족이라 생각되므로 계획 요소와 설계수법(도시설계, MA방식의 통합설계)의 정책·제도와의 연관성을 밝혀내는 것이 추후 주요 연구과제라 생각된다.; The process of residential planning has been subjected to increasing exterior influences from economic and political sectors.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possibilities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Research into residential planning methodology and its implementation has been replaced by regional city planning and the MA method. Under these premises, the research is an inquiry into the changes in residential planning theory and design which suggests a connection between the urban fabric surrounding the residential district and the functional division of space to create a new planning strategy. As a starting poi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ocial situation and how the process of planning has adapted to constantflux of social conditions over time. In addition, factors that have exerted great influence on residential planning such as planning theory and design methods are systematized with multi-family housing theory into a thesis.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s a three step process. First step is to interpret generalized periodic design methodology. The second step involves research to analyze design processes and case studiesbased on oversea projects. Finally, the last step is an inquiry into local design methods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evelopment. As a result, the main design issue of contemporary residential districts focuses on the pedestrian. Recent residential developments create networks of roads that separate pedestrian circulation from vehicular circulation. Another factor in contemporary residential districts is the multi-use development of typologies. The variety of typologies and residences foster the development of a neighborhood community and allows the evolution of ant ecological urban environment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Korean residential design theory has followed sustainable international trends including the urban and new urbanism movement, TND and TOD. Korean multi-family housing planning has followed the recent changes of the new residential district, Neighborhood theory, neighborhood concept, big scale residential development and design focused on community program. Contemporary residential development elements include neighborhood planning based on movement, location in relation to regional context, individuality of physical space and sustainable community plan. First, to distinguish and emphasize the identity of the neighborhood planning, network is established along the U-city concept with security and convenience acting as an importantfactor in increasing the size of property and infrastructure. Second, green system of outdoor space is designed in a linear strip to increasethe distance between residential blocks and to create view corridors that allow, ecological functions such as wind roadsand bird ways. Furthermore pedestrian circulation is simplified for access and convenience. Third, housing system and skyline planning is connected to common spaces imbedded with cultural programs to create theidentity of housing block, vitality of community and recognition of regional elements. Fourth, complex of land-use and block unit development should be discussed as a block style housing unit in the city. The block development should be analyzed to adjust the density based to allow efficient land-use, reconstruction urban space and creation of a sustainable community plan. This study attempted to focus on the changes of legal parameters in housing policy, increase in movement of neighborhood planning, increase in living standards due to natural connections, changes in life style and physical space, and shifts in urban development in relation to urban and housing districts. However due to their limitations the case study is based on a designer’s perspective. This limitation is based on the lack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the 2 dimensional land-use and design guidelines of housing district with the land use design. The next step may create a clear relationship of design elements and design method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주거단지 계획 이론의 변천과 계획요소의 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Transition of the Multi-Family Housing The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ning Elements : Focused on Korea Multi-Family Hous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최두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Doo-H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개발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개발경영학-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