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2 0

수도권 도농통합시의 중심지 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Title
수도권 도농통합시의 중심지 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entral place system : The case of Namyangju City
Author
이수암
Alternative Author(s)
Lee, Soo-Ahm
Advisor(s)
이주형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농통합시가 출범한지 1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도·농간 생활의 격차가 심화 되고 있다. 도농격차의 심화됨의 원인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농촌인구의 감소와 노령화, 농촌생활권의 광역화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원인은 도시지역으로의 이농현상으로 볼 수가 있다. 이농현상이라는 사회적 인구이동 때문에 농촌에서는 소득기회가 충족되지 못하며, 생활환경의 편의성이 도시에 비해 열악하기 때문에 인구유출이 가속화되고 교통발달과 개별교통수단의 보유의 보편화됨에 따라 농촌주민의 이동성은 급격히 향상된 반면 농촌인구의 과소화로 인해 각종시설입지의 최소시장규모 및 공간적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생활권이 시·군 중심에서 중·대도시로 광역화되는 추세이다. 수도권 도농통합시의 문제점은 공간적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생활권이 시·군의 수위 중심도시 나아가서는 중·대도시로 광역화 되어지는 추세로 ‘중심도시(시·군청 소재지)-농촌기초중심지(읍면소재)-마을’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3계층의 중심지 체계가 무너지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생활환경의 편의성이 도시에 비해 열악하여 인구의 유출이 가속화되고, 교통의 발달과 농촌주민의 기동성 향상에 따라 각종 시설입지의 최소 시장규모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농촌지역의 광역화는 농촌주민의 원거리 이동에 따른 교통비용 증가, 생활불편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광역화도시의 추세에 맞추어 새로운 도농통합도시의 중심지 체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과거와 현재의 중심지의 변화를 기능지수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군 지역에서의 중심성지수는 정체된 반면 시 지역에서의 중심성지수는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도·농간의 균형적인 개발을 하지 못하고 있어 도·농간의 양극화 해결에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동별로 중심성지수를 분석 하였을 때, 어느 한곳의 뚜렷한 중심지 체계가 잡힌 것이 아닌 기능별 특성에 따라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뚜렷한 중심지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정책대안으로 중심도시, 기초중심지, 마을로 연결되는 기존의 도농통합적 정주체계에서 공간통합의 1차적인 중심도시를 설정하고, 도시와 농촌의 특성을 살려 도시지역에는 행정, 경제시설의 입지와 농촌지역에 교육, 문화, 의료·복지 등의 시설을 배치하여 기능의 특성에 따른 중심지를 설정하여 특화개발을 하고, 도시간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교통체계를 개선하는 것이다. 1차중심 도시와 기능별 특성에 맞는 특화된 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도로체계를 계획하여 중심도시의 기초중심지가 제공하고 있는 시설 및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향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도시와 농촌이 다른 공간이 아닌 하나의 공간 체계 안에서 개발 되어야만 도농통합시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ity and the rural areas are originally a notion of one space. They design balanced development of a country as they share the mutual functions. However, our country has focused on the city development only based on the industry-oriented policy. Therefore, cities and rural areas have been thought as separate space notions. That's why our land is not developed in balance right now.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 cities causes a lot of problems and the decrease of population in rural areas causes various kinds of facilities becoming obsolete and lagging behind due to dualistic development of cities and rural areas. Like this, there are various problems due to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may unify living space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try to ease the gaps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reduce the costs of administrations,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government unify cities and rural areas and tried to make one administration starting Namyangju city in 1995. So, now there are 52 city-rural combination cities over the country. Even though the city-rural combination cities were founded over 10 years ago, the living gap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still grows lager and larger. Through literature reviews, it is shown that the gap has been caused by population decrease, aging, and conurbation in rural areas. The root cause of these problems is like people moving from the country into cities. Because of people moving from the country into cities, opportunities of income are not satisfied fully in rural areas. Also, people moving to cities faster since living in rural areas is less convenient than in cities. In addition, people in rural areas moving increase sharply because transportation development and their possessing individual transportation are generalized. But, depopulation rural areas enlarge minimum market scale of various facilities location and space. So it makes living zones from city-county to middle cities or metropolis. Therefore the traditional 3 steps of center-system, main city (which has the city or county hall-rural basic center (in town or myeon)-village, fell apart. Furthermore conurbation in rural areas leads to increasing transportation costs due to long-distance commute, living inconvenience and other problems. On this, new center-system in city-rural combination cities is necessary to keep pace with conurbation cities. It is shown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f changes of centers in city-rural combination citi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function index, centers in town are not changed but center index in cities increases gradually. This is because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so polarization in cities and rural areas is not solved. However, the bigger problem is that there is not noticeable center-system but functional peculiarities center-system when analyzed center index as kinds of dongs (block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could been three alternative plans. First, the first main city could be founded from the traditional system that has main city, basic center, and the village. Second, we can keep the peculiarities of cities and rural areas, and then arrange administrations and economic facilities in cities, and also education, culture,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So, it could elevate the competitiveness as city-rural combination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Last, we can improve the transportation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cities. The cities can share facilities and service s together due to road system that could connect the first main city and the functional specified areas. In conclusion, it is shown that the city-rural combination city could develop in balance as far as the city and rural areas should be developed as in one space system, not different spac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6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