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8 0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연계방안 연구

Title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연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nkage Strategy of Old Built-up Areas by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Author
김홍석
Alternative Author(s)
Kim, Hong-Suk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들어 신도시 또는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쇠퇴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즉, 정부에서 낙후된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과 기반시설 확충 및 도시기능 회복으로 도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신도시나 신시가지는 토지와 주택을 공급하고 지역의 도시환경 개선 및 고용창출 등 여러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기존의 도시가 변화·발전하면서 외곽 신도시 건설과 신시가지 개발이 확산되고 있으며, 구시가지는 노후지역 재개발 등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개선, 즉 기반시설의 정비보다는 주거시설의 공급이 도시개발의 중심이 되어 신시가지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이에 반해 기성시가지의 정비 및 관리는 소홀해 짐에 따라 기성시가지의 불량 및 노후화는 더욱 심각하게 되었으며, 신시가지 개발 후에 신·구시가지간 경제적·사회적 격차 발생으로 인한 지역격차로 주민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신시가지 개발에 편중되어 기성시가지의 열악한 환경은 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부족과 많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신도시가 건설되면 기존도시의 공간구조 및 기능에 커다란 변화가 나타나는 등, 기존도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신시가지 개발은 기성시가지 정비와 연계되는 방향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이는 기성시가지 전체가 활력을 잃는 등의 결과로 인하여 도시 내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역간 격차 해소로 도시전체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의 상호 관련성을 고려하여, 신시가지 개발의 영향으로 기성시가지 변화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로써 신·구시가지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연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성시가지 현황으로 대규모 도시개발이 이루어진 지역을 인구적·물리 환경적·도시 경제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시간적 변화에 따른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지역의 예상되는 변화를 조사·분석하여 기성시가지에 대한 계획적 정비를 통해 신·구시가지의 균형적 발전과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변 신시가지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유출되었으며, 상주인구의 감소로 종사자수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들이 타지역으로 전출하고, 공장업체수가 급감하는 등 투자부족으로 인하여 지역 경쟁력 약화로 경제적 쇠퇴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지역의 경제적 쇠퇴는 시가지에 대한 정비 미흡으로 도시기반 시설의 저하와 노후화가 발생하였다. 주변 시가지들은 빠르게 변화하지만, 이에 대응하여 변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교통혼잡과 주차시설 부족 등이 유발되었다. 향후 도시개발은 신시가지 개발에서 기성시가지를 정비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정비 및 관리로 변환하여야 한다. 또한 신시가지 개발은 기성시가지가 안고 있는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기성시가지의 정비를 통해 신시가지에 부족한 부분을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기성시가지 정비와 신시가지 개발은 상호보완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d developed new city and newly building area by various purpose. New city or newly building area supplies lands and houses and is causing several effects like improvement of the city environment and job creation etc. While existent city is changed and developed, outer new city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are spreading. Also old built-up area are mainly done by superannuated area redevelopment. So supply of residing equipment better than re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is mainly focusing in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On the other hand, as adjustment and administration of old built-up area become negligent, badness and dilapidation of existing city became more seriously. After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the discord between inhabitants are occurred by economical and social difference between new city and old city. Poor environment according to centralizing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is caused by many social problems which are shortage of public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s, as so on. If new city is built, existent city is influenced by many effects which are space structure and function of existing city, as so on. Therefore,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should be made up to associate with improvement of old built-up area. This can prevent imbalance phenomenon in city by result of loosing vitality of old built-up area, and can improve balanced development of whole city to resolve the regional disparity. In this situation, it is considered about relation between old built-up area and newly building area and this study focuses change of old built-up area under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of newly building area. There is the purpose to present linkage strateg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old built-up area and newly building area. In this study, large scale urban development region based on present condition is searched by the sides of popula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city economy and analyz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 chan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linkage strategy about newly building area and old built-up area throug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 expected change of area that are pressured by development and the planned improvement of old built-up are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6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