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3 0

동북아 안보환경과 한국공군의 항공우주력

Title
동북아 안보환경과 한국공군의 항공우주력
Other Titles
The Security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and the ROKAF's Aerospace Power
Author
이강녕
Alternative Author(s)
Lee, Kang-Nyoung
Advisor(s)
김경민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우주공간은 그 자체의 무한한 시·공간적 속성으로 인해 보다 신속한 전지구적 차원의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질적으로 전장의 지리적 제약에서 자유로운 우주영역은 탈냉전 이후 경험한 걸프전, 코소보전, 아프가니스탄전, 이라크전 등에서 전쟁수행 전반에 걸쳐 정보수집과 지휘통제 분야의 핵심으로 자리하였고 이 분야에서 우월적 지위를 선점한 국가들은 분명 새로운 전략적 고지를 확보하게 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더불어 각국의 첨단과학기술은 지난세기 항공기의 등장이 그러하였듯이 우주공간도 머지않아 단순한 정보수집뿐만 아니라 다양한 우주무기체계의 직·간접적 운용으로 독립된 전장이 될 것임을 예상하게 한다. 실제로 현 시점에서 군사적으로 운용 또는 개발 중인 우주력의 척도가 되는 무기체계는 다양한 용도로 세분화된 군사위성은 물론 로켓 등 우주발사체가 대표적이며 그 외 탄도미사일, 우주공간 또는 지상과 공중에 배치된 각종 우주무기가 이에 해당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군사위성은 이미 여러 차례의 실전을 통해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고 최근에는 조기경보, 감시, 정찰, 통신, 기상, 해양 및 공격위성 등 위성체의 군사적 활용범위가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어서 국가 안보의 핵심전력으로 자리하고 있다. 한편 새로운 밀레니엄이 시작된 지금 국제사회는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 세계 질서의 재편, 전쟁 양상의 변화, 중국의 급부상과 일본의 군사대국화에 직면하고 있다. 비록 과거와 달리 세계적 차원의 동·서 대립은 사라졌지만 국제테러, 대량살상무기 등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이 더욱 증가하였고, 특히 한반도가 위치한 동북아 지역은 미국과 러시아, 중국, 일본 등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 상호 이해관계의 상충과 전략적 경쟁으로 인한 갈등이 적지 않다. 미국과 러시아는 이미 별도의 우주군을 편제에 두고서 군 주도하에 민간 우주기술과 자산을 통합하여 미래 우주전에 대비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역시 독자적 위성개발 및 발사 능력을 지닌 경험 많은 우주선진국이다. 이와 더불어 북한 핵문제 역시 남·북한의 각종 교류협력 사업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안보환경을 더욱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미래의 한반도는 점차 불특정·비군사적 위협이 증대하는 한편, 군사적으로는 자국의 이익을 보존하기 위한 국지전이나 제한전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전장의 범위는 우주영역에까지 확장될 것이다. 이러한 미래 전장의 확장에 대비하기 위하여 한국군은 한반도 위기상황별로 초기 신속한 대응과 전략적 융통성을 보장하기 위한 공세적 전력 운용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평소 국익이 미치는 모든 범위 내 잠재 위협에 대한 감시와 정찰활동을 보장하고 유사시 즉각적으로 투사 가능한 군사력으로써 실시간 지휘통제와 정밀타격능력을 지닌 항공우주력이야말로 가장 효과적 수단이라 할 것이다. 한국공군은 이러한 우주 전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재의 제한된 영공방위 수준에서 벗어나 장차 전략적 항공우주군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또한 뒤늦게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을 시작한 한국과 달리 주변 강대국 모두 오래전부터 다양한 위성체계와 발사체 등 우주무기체계의 전력화를 추진하여 운용하는 안보환경 역시 항공우주력 확보의 당위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의 실천을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현실적 어려움이 상존하는바 장기간의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우주무기체계를 바라보는 대내·외의 막연한 시각 차이가 크고 여타 전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非긴급 소요로 인식되는 등 장기적 관점에서 점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항공력과 우주력을 구분하여 항공력은 광역·장거리 전장감시체계, 첨단 지휘통제체계, 정밀공격체계가 융합된 메타전력체계를 구축하며, 우주력은 한국의 지정학적 현실과 정부 주도의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일정에 맞추어 우주감시체계, 위성정찰체계, 위성통신체계, 우주기상 지원체계, 위성항법체계, 우주무기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보하고 운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Today's aerospace enables faster military operations at the global level due to its nature of infinity in time and space. Aerospace that is free from the geographical limitations thanks to its nature, has become the center in the areas of intelligence gathering and command control in the wars that took place after the Cold War at the Gulf, Kosovo, Afghanistan, and Iraq. Countries with prominent position in those areas demonstrate that they have secured a new strategic ground. In addition, it is predictable, as with the advent of aircraft in the last century, that the high-technologies of countries will make aerospace an independent battlefield in the near future since they enable direct and indirect operation of various aerospace weapons systems as well as simple intelligence gathering. Currently, weapons systems that are considered as a key barometer of aerospace power under the operation or development include military satellites of various purposes, projectiles such as rockets, ballistic missiles, and aerospace weapons of various kinds that are stationed on the ground, in the air and aerospace. Among others, the efficiency of military satellites has been proved in a number of real warfare. As the utilization of satellites has expanded into early warning, surveillance, reconnaissance, telecommunication, meteorology, oceanography, attack satellites these days, they have become the core power in the national security. In the era of new millennium,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facing the paradigm shift in civilization, rebuilding of international order, the change in war conditions, the rise of China, and Japan's military expansion. Even though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has long gone, non-military and supranational threats such as the international terrorism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ave increased. In particular, Southeast Asia where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witness conflicts caused by the clash of interests and the strategic competition of big powers such as America, Russia, China, and Japan. America and Russia are preparing for future aerospace wars through the military-driven integration of civil aerospace technology and assets with their aerospace force that is already organized under their military formation. China and Japan are already known as advanced countries in this area with the ability and experiences of developing and launching satellites on their own. Besides, the nuclear issue of North Korea is aggravating the security environment of South Korea despite various effort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Under the circumstances, unspecific and non-military threat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eantime, local wars or limited warfare to maintain each nation's interests may occur more frequently and the scope of battlefield will be expanded into aerospac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expansion of future battlefield, the Korean Air Force should be able to display aggressive operation ability of its military strength to make sure prompt response at an early stage and strategic flexibility in each different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aerospace power equipped with real-time command control and precision strike abilities the most effective means to ensur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activities against all potential threats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national interests are involved and to be promptly utilized in an emergency. With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aerospace, the Korean Air Force aspires to take leap forward to become a strategic aerospace force from the limited territorial air defense of today. The security environment of which strong n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secured and operated aerospace weapons including various satellite systems and projectiles, which is unlike Korea that belatedly started civil-led aerospace development, attests why Korea should secure aerospace power. In realizing the aspiration, a gradual approach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should be taken as there are many practical difficulties and different views on aerospace weapons systems that require huge and long-term investment, and aerospace power is not considered as urgent element compared to other forces. As part of specific action plans, it is recommended to build meta-power systems that incorporate a wide and long-range battlefield monitoring system, a high-tech command control system and a precision strike system for air power. On the other hand, for aerospace power, it is recommended to secure and operate, by stages, an aerospace surveillance system, a satellite reconnaissance system,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 aerospace meteorology support system,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an aerospace weapon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geopolitical situ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ster Plan of Mid and Long-term Aerospace Development" driven by the govern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4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88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