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7 0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들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분석을 통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Title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들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분석을 통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uthor
박은진
Alternative Author(s)
Park, Eun-Jin
Advisor(s)
이상선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남부소재 중학교의 남녀 중학생 1, 2, 3학년 543명을 대상으로 생활습관과 식습관, 간식 및 청량음료 섭취실태, 영양지식과 영양교육프로그램내용의 중요도, 일반사항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식습관과 영양지식과 BMI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조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ronbach's α, χ²검정, One- way ANOVA분석,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 학생들은 전체 543명 중에서 남학생이 51.7%, 여학생이 48.3%이었고, 가족수는 대부분이 4-5명이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연령은 평균 41-45세였다. 아버지의 직업은 자영업자와 사무직, 어머니는 전업주부가 대부분이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 많고, 가정의 경제상태는 101-300만원, 학생들의 한달 간식비는 5만원 미만이 많았다. 2. 남학생들의 평균신장과 체중은 164.7 cm, 54.4 kg이었고, 여학생들은 159.1 cm, 47.5 kg이었다. BMI를 계산하였을 때 남학생은 평균 20.0±3.2 kg/㎡, 여학생은 평균 18.8±2.5 kg/㎡이며, 남학생은 정상군이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저체중에 속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식습관’, ‘영양지식’, ‘영양 및 식사지도 프로그램내용’ 척도에서 Cronbach-α=0.76이상으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4. 학생들의 생활습관에서 운동 횟수는 남학생은 ‘하루에 1번 이상’, 여학생들은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항목에 가장 응답이 높았고, 운동시간은 남학생들은 ‘20-40분’, 여학생들은 ‘20분 미만’ 한다고 하여 성별의 차이를 나타냈다. 등하교 수단은 ‘도보’, 방과 후에 학원유무는 ‘간다’, 저녁식사는 ‘집에서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은 5점 만점에서 전체평균이 3.18로써 보통 정도의 식습관을 갖고 있었고, “ 자신이 알고 있는 영양지식을 활용해서 식사를 한다”, “ 식사시 식품 배합을 생각해서 먹는다”가 평균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식습관은 남학생>여학생, 1학년>2학년>3학년, 어머니 학력이 고졸이상>고졸이하에서 더 좋게 나타났다. 5. 간식 섭취에서 간식종류는 남학생들이 ‘과자류’와 ‘우유/유제품’, 여학생들은 ‘과자류’와 ‘과일류’를 많이 먹었고, 간식횟수는 ‘있으면 먹고, 없으면 안 먹는다’, 간식을 먹는 시간대는 ‘정해진 때’, 간식을 먹는 이유는 남학생들은 ‘배고파서’, 여학생들은 ‘먹고 싶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식 선택 기준은 ‘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량음료 섭취횟수는 ‘한달에 2-3회’, 먹는 시간대는 ‘음식섭취시’, 청량음료선택 기준은 ‘맛’이 가장 높았다. 6. 영양지식도는 정확히 알고 있는 영양지식 정답률(CK)은 총점 25점 만점에 10.8점이었으며,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영양지식 인식률(PK)은 17.8점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7. 건강이나 식생활에 대한 지식을 얻는 출처는 남학생들과 여학생들이 ‘TV/라디오’, ‘가족/친구’, ‘인터넷’에서 주로 정보를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영양 및 식사지도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중요도에서는 ‘비만과 체중조절’, ‘올바른 식품의 선택’,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의 순서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8. 정확한 영양지식(CK)은 무기질 및 비타민영역에서는 여학생> 남학생, 단백질과 무기질 영역에서는 아버지의 학력이 대졸이상>고졸이하로 나타났다. 인지하고 있는 영양지식(PK)은 무기질 및 비타민 영역에서 여학생>남학생, 단백질과 무기질 및 비타민 영역과 총점에서는 아버지의 학력이 ‘대졸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9. 식습관과 영양지식 정답률(CK), 식습관과 영양지식 인식률(PK)의 각각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BMI 유형에 따른 영양지식 정답률(CK)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BMI와 영양지식 인식률(PK)과의 관계에서는 ‘지방’ 영역에서 과체중 학생들이 저체중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BMI 유형에 따른 식습관의 관계는 과체중 학생들의 식습관이 저체중 학생들의 식습관보다 좋게 나타났다. 10. 설문조사를 통해 영양교육 내용을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 ‘영양소의 기능 및 영양대사’, ‘비만과 체중조절’, ‘올바른 식품선택’으로 구성하였고, 특별활동 교육과정 시간을 영양교육시간으로 편성하여 한학기 기준으로 15주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Questionnaires about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were collected from 543 middle school students(1, 2 and 3^(rd) grad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12.0 program for χ²-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ronbach’s α value was determined for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study subjects were 543 students. Gender proportion was 51.7 % male, 48.3 % female. Average number of people per family was 4~5. Average age of parents was 41~45 years. Parents′jobs were mostly self-employed, office worker(paternal) and housewives(maternal). Many of the parents'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graduate. About 40% of family earned 1,010,000~3,000,000 won per month. Most of the students spent less than 50,000 won per month for snacks. 2.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male students was 164.7 cm, 54.4 kg. Average BMI of male students is 20.0±3.2 kg/㎡.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female students was 159.1 cm, 47.5 kg. Average BMI of female students was 18.8±2.5 kg/㎡. About half of male students(49%) were normal weight but about half of female students(48%) were underweight. 3. Cronbach-α value of questionnaire about food consumption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program were over 0.76. 4. Male groups exercised more than once a day, female group hardly did. Male group exercised 20~40 min per day, female group did hardly if did less than 20 min.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Most of the students went to school on foot, attended private institute after school and ate dinner at home. Scores of food consumption habits were 3.18 out of 5. Scores for applying nutrition knowledge and balancing food combinations were below the average. Eating habits were more regular in male>female, 1^(st)>2^(nd)>3^(rd) grade and in higher maternal educational background. 5. Male group preferred confectionery, milk and milk products, female group liked confectionery and fruits for snack. Timing of eating snack was between lunch & dinner. Being hungry made male group eat snacks, craving made female group eat snacks. The criterion of choosing snack was taste. Frequency of taking soft drink is 2~3 per month. Time of taking soft drink was during snack time. The criterion of choosing soft drink was taste. 6. Nutrition knowledge was classified by correct knowledge(CK) and perceived knowledge(PK). Scores of CK was 10.8 out of 25 and scores of PK was 17.8 out of 25. 7. Information sources for food and nutrition were TV/radio, friends/relatives and internet for both gender. The need priority in nutrition and diet-guidance program was “obesity and weight control”, “choosing the right food”, and “healthy dietary habits for the adolescent”. 8. Females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mineral and vitamin. Students with higher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high-protein foods and mineral regard to both CK and PK. 9. Dietary habits, CK and PK are interrelated. Students' BMI and CK showed no correlation. But BMI and PK showed positive correlation. Overweight students got higher score in dietary habits. 10.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15 hours per semester. Program was consisted of four parts, “healthy dietary habits for the adolescent”, “function of nutrients”, “obesity and weight control”, and “choosing the right foo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33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3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