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 0

브루너의 표상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감상수업 지도방안 연구

Title
브루너의 표상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감상수업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Establishing the Guideline for Appreciation Class Based on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at middle school
Author
임소미
Alternative Author(s)
Yim, So-Mi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브루너(J.S.Bruner)가 제시한 지식의 구조를 습득하는 방법인 표상 이론을 음악 교과에 적용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음악 교육의 가장 기초인 감상 수업을 이용해 중학교 감상 수업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음악교육은‘감상’으로부터 시작된다는 말이 있듯이 학교 교육에서 감상 교육은 지나치고 갈 수 없는 넓고 큰 가치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한 중학교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피아제(Jean Piaget 1896-1980)의 인지발달단계의 마지막인 형식적 조작기에 속한다. 이 단계에서의 인간은 신체적, 지적, 감정적 측면에서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며 특히 논리적, 추상적 사고력이 급속히 발달한다. 또한, 이 시기에 결정된 음악의 개인적 취향은 앞으로 인생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음악 교육은 학생 스스로 마음의 노래가 존중되고, 악곡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감상과 연주 활동을 통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보다 높은 수준의 음악 문화권에 속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음악교육 중 중요한 감상 교육의 효율적인 방법으로 브루너의 표상이론을 적용하여 보았다. 표상 이론은 어떤 지식이든지 세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인간의 인지 발달순서와 마찬가지로 지식 습득 과정을 동작, 영상, 상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효과적인 학습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동작적 표상양식은 지식이 어떤 결과에 도달하는데 거쳐야 할 일련의 동작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고, 영상적 표상양식이란 지식은 개념을 완벽하게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대체로 전달하는 영상이나 도해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징적 표상은 지식이 명제를 형성하고 변형시키는 이론적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상징체제로서의 상징적 또는 논리적 명제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동작적, 영상적, 상징적 영역이 음악 교육에 적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 세 가지 영역을 활용한 지도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표상 양식들을 이용함으로써 좀 더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막연한 개념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개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둘째, 수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를 이용한 동작적 표상 양식과 시각화 되어 제시되는 영상적 표상 양식은 학습자의 주의력과 집중력을 높이기에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감상이라는 한 영역을 상위 목표에 놓고 수업을 진행 하는 동안, 가창, 기악의 영역을 활용함으로써 음악 개념의 습득을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도 방안은 여러 지도 방법 중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교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응용하고 재구성하는 것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브루너의 표상 이론을 적용한 감상 지도 방안이 음악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적용되어 학생들의 음악적 취향이 보다 수준 높은 단계에 이르기를 바란다.; The study, with a goal of applying the J. S. Bruner’s theory of appreciation for acquiring the knowledge structure, was intended to set up the guideline to be applicable to appreciation class, the basic course for musical education, at the middle schools. The musical education was said to start with the ‘appreciation’, stressing the value of appreciation class at school. As one of efficient approach to the musical education, the theory of representation developed by J.S Bruner was employed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theory, the education of representation, whatever the knowledge is, can be expressed in three different ways. Like the sequence of development of awareness, effective learning can be achieved when applying the enactive, iconic and symbolic coursesin order. An enactive representation indicates that the knowledge can be expressed in a series of actions that are required to be able to reach the specific outcome, and an iconic representation refers that the knowledge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image or diagram that roughly conveys the concept, instead of completely defining the whole concept. And a symbolic representation asserts that the knowledge can be expressed in a symbolic or logical proposition as symbolic system that is controlled by theoretical rules in which the knowledge forms or modifies the proposition. Based on such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was aimed at looking for the way of applying the enactive, iconic and symbolic territory to the musical education, as well as proposing the guideline incorporating the three territories. As a result, the conclusion described below could be developed. First, better and easier approach is achievable when using such representation patterns. Instead of explaining the vague concept, it allows the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class to grab the concept. Second, various factors that will cause th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class were found. An enactive representation using physical actions and visualized iconic representation were able to enhance the students’attentiveness and concentration. Lastly, giving the territory of appreciation to the top priority to be accomplished as well asmaking use of the category of singing and playing the instrument, various activities to help acquire the musical concept could be obtained. The proposal aforementioned is one of the many ways that can be employed for the musical education, and the teachers thus will have to apply and modify them based on their own expertise. Hopefully, the guideline developed based on Bruner’s theory will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musical education at the schools so as to eventually lead the students to the level upgraded a notc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