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 0

남·북한 해금 교칙본 비교 연구

Title
남·북한 해금 교칙본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aegeum Manual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uthor
김송이
Alternative Author(s)
Kim, Song-E
Advisor(s)
김성아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necessity of researching and publishing Korean Haegeum(奚琴, fiddle) manuals for its promotion, and thereby investigate South Korea's Haegeum manuals in parallel with analyzing Haegeum manuals of North Korea, which has already established national music educ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Haegeum Sarang", South Korea's representative fiddle manual in comparison with North Korea's “A Collection of Joseon National Music Instruments - Haegeum” in terms of manual contents. As a result,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discoveries: First, in terms of music instrument overview, it was found that South Korea's Haegeum Sarang contained difference of tuning step, fingering and pitch extent in the section on Haegeum's origin and tuning system. However, it did not but didn't contain the goal and direction of instrumental improvement,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music notation of differences in tuning step, notation vs. actual tone, tone structure, timbre and how to keep instruments, which are all included in North Korea's Haegeum manual. South Korea's manual explained how to read Haegeum notation, while North Korea's manual accounted forhow to make Haegeum. This show the major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Haegeum manual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posture, it was discovered that South Korea's manual contained sitting posture and hand posture, i.e. Haegeum grip and stick grip. Nevertheless, the manual did not contain center of gravity upon sitting, sitting position, foot angle, how to hold Haegeum in one arm, how to grip Haegeum with one hand, how to grip stick, the posture and angle of hand and arm, and muscle work, which are all included in North Korea's Haegeum manual. Third, in terms of performance method, South Korea's manual contained explanation about contact point of stick with Haegeum as well as performance velocity and grip pressure in fingering, but didn't contain angle between stick and Haegeum, and arm motions in bowstring work of pulling, pushing and changing stick, which are all contained in North Korea's Haegeum manual. In terms of fingering, South Korea's manual contained variation method of high and low in tone, but didn't contain perpendicular/horizontal/lateral movement or combination of the 3 movements, or trembling movement in left hand, which are all contained in North Korea's manual. In regard to execution, South Korea's manual merely explained about tone and time of execution used in the notation of Jeong-ganbo. However, in addition to them, North Korea's manual contained further explanation about how to play stick and use hands for a variety of executions in Haegeum performance along with corresponding pieces for practice. Lastly, in regard to pieces for practice, South Korea's manual included pieces for fingering practice, while North Korea's manual contained even independent devised pieces for practice with execution added to time, together with pieces for practice of execu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 hope this study will help complement any insufficiency in South Korea's Haegeum manuals, and motivate follow-up studies to develop revised guidance and contain more systematic pieces for practice,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in Haegeum manuals for elementary learning of performance and execution..; 본 연구는 해금 교칙본 활성화를 위한 교칙본 연구 및 출판이 이루어져야함을 인지하고 이미 민족음악 교육의 체계를 갖은 북한 해금 교칙본을 분석하여 남한의 해금 교칙본을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남한의 『해금사랑』과 북한의 『조선 민족 악기 총서-해금』의 교칙본 내용을 중점으로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 개관으로 남한 교칙본은 유래와 조율체계에서 조율의 음정 차이와 운지법, 음역에 대하여 수록되었으나, 북한 교칙본에 수록되어있는 악기 개량의 목적과 방향, 악기의 특색, 조율의 음정차이에 대한 악보 표기와 실음 비교 악보와 음구, 음색, 악기보관법의 내용은 수록되어있지 않았다. 남한 교칙본은 악보 보는 법이 수록되었고, 북한 교칙본은 악기 제작법이 수록되어 교칙본의 수록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연주 자세로 남한 교칙본은 바닥에 앉는 자세와 악기 잡는 법과 활대 잡는 법의 손 자세가 수록되었으나, 북한 교칙본에 수록되어있는 의자에 앉을 때의 무게중심, 의자에 앉는 위치, 발의 각도, 악기 끼는 법에 대한 내용과 악기 잡는 법과 활대 잡는 법의 손과 팔 자세를 각도와 관절, 근육 움직임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있지 않았다. 셋째, 연주법으로 남한 교칙본은 운궁법에서 활대와 악기와의 접촉점, 속도와 압력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었으나, 북한 교칙본에 수록되어있는 활대와 악기와의 각도, 활운동으로서의 활을 당기는 방법, 미는 방법, 바꾸는 방법에 대한 팔의 동작이 수록되어있지 않았다. 손가락쓰기에서 남한 교칙본은 음의 높낮이 변화 방법에 대하여 수록되었으나, 북한 교칙본에 수록되어있는 수직운동, 수평운동, 측운동, 앞의 세운동의 복합운동, 손을 흔드는 운동인 왼손의 운동이 수록되어있지 않았다. 연주 주법으로 남한 교칙본은 정간보에 표기하여 사용되는 연주 주법의 음과 박자의 설명만 수록되었지만, 북한 교칙본에서는 악기 연주의 다양한 주법을 활쓰기와 손가락쓰임을 상세하여 설명하며 각각의 연습곡이 함께 수록되었다. 넷째, 연습곡에서 남한 교칙본은 운지연습을 위한 연습곡이 수록되었지만, 북한 교칙본은 연주 주법에 대한 연습곡은 물론 장단에 주법이 첨가된 독자적 연습곡을 만들어 수록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남한 교칙본의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고 개선 교습법을 연구하여 체계적 연습곡을 수록함으로 악기 연주 주법의 기초 학습을 위한 해금 교칙본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