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Title
한국 성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Other Titles
The Error Analysis of Korean Adult-Learners' English Pronounce : English Voiceless Plosives /p/, /t/, /k/
Author
박지혜
Alternative Author(s)
Park, Jee-Hye
Advisor(s)
강현숙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로 말하기를 힘들어하는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발음을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들과 비교분석하여 어떠한 음성 환경의 파열음을 발음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지 알아보고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이해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가장 빈번한 오류를 범하는 영어의 자음 중에서 파열음인 /p/, /t/, /k/의 발음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영어 파열음 /p/, /t/, /k/는 네 가지 음성 환경을 실험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p/, /t/, /k/가 음보어두, 어말, 비강세 모음에 선행, /s/에 후행하는 환경을 일컫는다. 피 실험 집단은 미국 영어 원어민 집단을 비교기준 집단으로 정하였고, 한국 성인 학습자는 외국 거주 1년 이상 집단, TOEIC 850점 이상 집단, TOEIC 600점 이하 집단인 세 집단으로 형성하였다. 우리나라 성인 학습자의 영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이고 공인 된 시험인 TOEIC을 집단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였고, 이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추가하여 총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피 실험 집단이 /p/, /t/, /k/를 각 음운 환경에서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슷하게 발음하는지를 비교분석하는 매개로는 VOT(Voice Onset Time, 이하 VOT)의 길이를 이용하였다. 각 피 실험자들은 특히 성별에 따라 VOT 길이가 달라 질수 있음을 예상하고 모두 남성으로 통일하였다.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성 녹음과 VOT 길이를 측정 하였고, 그에 따른 데이터를 Excel과 SPSS 12.0 프로그램의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통계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미국 영어 원어민 집단과 한국 성인 학습자 집단들 중 외국 거주 1년 이상 집단과 TOEIC 850점 이상 집단 간의 VOT 길이는 유사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하지만 분산분석 이후의 데이터 분석 결과, 미국 영어 원어민 집단과 한국 성인 학습자 집단 간의 유의확률 값이 0.05이하로 현저한 차이가 났지만, 한국 성인 학습자 세 집단 내에서의 유의확률 값은 각 음성 환경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이긴 했지만 대체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값은 아니었다. 이는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외국 거주 경험과 TOEIC의 고득점 획득은 영어의 파열음 /p/, /t/, /k/를 올바르게 조음하는데 있어 큰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영어 파열음 /p/, /t/, /k/를 조음하는데 있어 가장 빈번한 오류 및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영어 파열음 /p/, /t/, /k/가 /s/에 후행할 경우,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 집단은 /s/뒤의 /p/, /t/, /k/를 유기음(aspirated)으로 발음하지 않았지만 한국 성인 학습자 집단은 대체로 /s/뒤의 /p/, /t/, /k/를 유기음으로 발음하여 VOT 길이가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주목할 만한 다른 결과는 강세가 있는 모음의 뒤와 강세가 없는 모음의 앞에 단전음(flap 혹은 tap) 현상을 보이는 /t/가 나오는 어휘의 경우,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는 단전음 현상을 나타내며 발음 하지만, 한국 성인 학습자 집단은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와 상이한 VOT 길이를 보여주며 단전음을 정확하게 발음하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어말에 나오는 /p/, /t/, /k/의 녹음 자료를 분석해 보니,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 집단은 어말의 /p/, /t/, /k/를 대부분 비개방(unreleased)으로 발음하였으나, 한국 성인 학습자 세 집단은 모두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말의 /p/, /t/, /k/를 개방(released)하여 발음하였다. 이중에서 어말의 /t/는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세 파열음 중, 가장 개방하여 발음한 결과로 분산분석 테스트의 P값이 유의수준 값을 가졌다. 반면 어말의 /p/와 /k/는 상대적으로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슷하게 비개방하여 발음 하였다. 이는 한국 성인 학습자는 어말에 나오는 /p/와 /k/보다는 /t/를 발음할 때에 더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은 한국 학생들이 미국 영어 원어민 화자들과 동일한 발음을 조음해 내지 못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본 연구가 한국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nglish voiceless stop sounds /p/, /t/, /k/ are produced by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and shows the differences of these sounds between Korean adult-learners and American English native speakers. Specifically,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adult-learners often use the same phonetic sounds of /p/, /t/, /k/ regardless of phonological environments whereas American English speakers use different variants of the sounds in different phonological environments. For example, there are several allophones of voiceless stop /t/ such as [th], [T*], [tㄱ]. However Korean adult-learners either do not perceive different allophones in different environments or do not employ different pronunciations when they speak in English if they perceive the difference. To show the differences of pronunciation of these sounds, we measured VOT(Voice Onset Time) length of /p/, /t/, /k/ of four groups in the following phonological environments: Foot-initial (word-initial or before a stressed vowel), word-final, before an unstressed vowel, and after /s/. The four groups are an American English native speakers group, a group with more than one year experience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a group of the Korean adult-learners whose TOEIC score is 850 or above, and a group of the Korean adult-learners whose TOEIC score is 650 or under. TOEIC score is the standard test that is often used to evaluate Korean adult-learners' English ability. Praat, a sound analysis program, is used to record and measure VOT length of the subjects. Excel and ANOVA test of the SPSS program a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2 ways: (1) checking the 'Significant' value from the result of ANOVA test among the groups in 4 different phonetic environments; (2) comparing the mean VOT length of 4 groups in 4 different phonetic environments.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VOT length between American English native speakers group and three Korean adult-learners groups. For Korean adult-learners, the most difficult phonetic environments of /p/, /t/, /k/ were as follows: (1) when voiceless stops, /p/, /t/, /k/, occur after /s/, Korean adult-learners pronounce aspirated /ph/, /th/, /kh/ unlike American English speakers; (2) if /t/ precedes an unstressed vowel and follows a stressed vowel, native American English speakers pronounce it as flap. Most Korean adult-learners, however, produced aspirated /th/. (3) when /t/ occurs at the end of the words, it is usually pronounced as unreleased by American English native speakers but most Koreans pronounced it as releas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VOT length among three groups of Korean adult-learners.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staying abroad where English is spoken as first language and high score of the TOEIC test do not correctly reflect Korean adult-learners' pronunciation of Englis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