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다미-
dc.contributor.author이나영-
dc.date.accessioned2020-04-08T17:16:12Z-
dc.date.available2020-04-08T17:16:12Z-
dc.date.issued2007-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8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51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영어를 제 2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 학습자들의 과거형, 진행형을 중심으로 한 동사적 형태소(verbal morphemes)의 습득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 가설(aspect hypothesis)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상 가설은 초기 언어 학습자들이 과거형, 진행형과 같은 동사적 형태소를 모든 동사에 고루 사용하지 않고 특정한 어휘상을 가진 동사들에 편중하여 사용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 유창성에 따라 학습자들을 상,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이들 58명의 영작문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 유창성에 따라 동사적 형태소와 어휘상의 선호 관계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형은 달성, 성취 동사에 집중되어 나타나다가 점차 다른 동사로 확대되어 간다는 상 가설과 대체로 차이를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상, 하위 그룹에서 모두 달성(achievement) 동사에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 가설의 내용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그러나 상 가설의 내용과는 달리 과거형이 성취 동사에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히 이것은 선행 연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결과로, 학습자들이 성취 동사가 지니는 지속성이라는 의미 자질이 이미 완료된 사건을 표현하는 과거형과 결합되어 나타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학습자의 영어 유창성이 높아져도 과거형은 달성 동사에 여전히 편중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점차 다른 동사로 확대되어 나타날 것이라는 내용도 입증되지 않았다. 둘째, 진행형의 경우, 학습자들은 행위 동사에 집중되어 나타나다가 점차 다른 동사로 확대되어 나타나지만, 상태 동사에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상 가설을 대체로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행형은 상, 하위 그룹에서 모두 행위 동사에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상태 동사에 거의 나타나지 않아 상 가설을 따르고 있었다. 그러나 과거형과 마찬가지로 학습자의 영어 유창성이 높아질수록 행위 동사에 나타난 비율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점차 다른 동사로 확대되어 나타나는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곧 학습자들이 과거형, 진행형을 특정한 어휘상과 연관시키려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한국의 교실 상황에서 동사적 형태소의 교수-학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이 동사적 형태소를 특정한 의미 자질을 가진 동사에 편중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동사적 형태소가 여러 어휘상에 활용된 많은 언어적 입력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동사적 형태소와 어휘상의 관계에 대한 문법적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업을 수업 중에 제시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동사적 형태소 습득 정도는 학습자들의 영어 유창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학습자들의 현재 언어 능력 수준에 맞추어 지도하여 학습자들이 다음 단계로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cquisition of English verbal morphemes focused on past and progressive by Korean spea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Aspect Hypothesis. The Aspect Hypothesis asserts that early language learners tend to mark verbal morphemes with verbs that have a specific lexical aspect. In order to investigate if learners show differences in a relationship between verbal morphemes and the lexical aspect, 58 English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freshmen and they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did not support all the claims of the hypothesi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ers tended to use the past marking predominantly with achievement verbs, but unlike the claim of the hypothesis, accomplishment verbs showed the lowest rate with past marking. This has not been observed before, and it might be because learners recognize that the durative semantic feature of the accomplishment verbs cannot be related to past marking which expresses perfected action. Also the rate of marking past on achievement verbs was still higher even though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increased, so the predicted extension of past marking was not observed. Second, the progressive marking was encoded mainly in activity verbs, and the spread of progressive marking to state verbs was not observed, and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However, the rate of marking progressive on activity verbs did not decrease as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increased. That is, the extension of progressive marking was not observed. These findings impl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irst, given that students tend to use verbal morphemes with a specific lexical aspect, sufficient examples of verbal morphemes with an evenly distributed lexical aspect should be provided. Second, since it is possible for such enhanced input to go unnoticed by learners, grammatical consciousness-raising tasks should be provided for learners. Third, as developmental pattern differs across the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proficiency, it is advisable that teachers should design different instructional materials and strategies for different group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시제 습득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Acquisition of English Tense by Korean Speake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나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Na-Y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어문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영어교육-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