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쓰기활동 분석

Title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쓰기활동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Writing Tasks in English Textbooks for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 Focusing on Writing Tasks of One or More Paragraphs
Author
김소이
Alternative Author(s)
Kim, Soh-Yi
Advisor(s)
이영자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쓰기내용을 한 단락 이상의 쓰기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해당 쓰기활동의 비중 및 그 구체적인 내용을 조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 중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뤄진 4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이를 3가지 단계를 걸쳐 분석하였다. 우선 첫 번째 단계로서 교과서 내 쓰기활동 전체 항목을 결과중심 접근법적인 과점에서 통제, 유도 및 자유작문으로 나누어 각각의 쓰기유형이 전체 항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았다. 이어 두 번째는, 분류된 세 가지 유형 중 통제작문을 제외한 유도 및 자유작문을 대상으로 한 단락 이상의 쓰기를 유도하는 항목을 다시 골라내고 전체 쓰기항목에 대한 이의 비중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 단락이상의 쓰기활동을 과정-장르중심 접근법적인 관점으로 분석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 전체 쓰기항목을 통제, 유도 및 자유작문으로 분류한 결과, 통제작문이 4종 교과서 평균 71%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어 유도작문(26%) 및 자유작문(3%)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앞서 분류된 유도 및 자유작문을 대상으로 한 단락 이상 쓰기활동에 해당하는 항목을 재분류한 결과, 한 단락 이상 쓰기활동은 그 전체 개수가 많지 않았으며 이를 전체 쓰기 항목의 수와 비교해 볼 때도 그 구성 비율이 4종 교과서 평균 7.7%에 불과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셋째, 마지막 단계에서 이들 한 단락이상의 쓰기활동을 과정-장르중심 접근법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쓰기의 과정 및 목적 두 요소 모두를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할 수 있도록 과정-장르중심 접근법에 기반을 둔 쓰기항목은 교과서별로 2~4개에 불과해 과정-장르중심 접근법에 기반을 둔 교과서 내 쓰기활동이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분석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내 쓰기활동의 통제, 유도, 자유작문의 구성비를 현재 통제작문의 절대적인 우세에서 일정 부분 비율을 맞춰 골고루 편성하여야 한다. 특히, 통제작문을 거쳐 이를 유도 및 자유작문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관련 문항을 배열하여 학습자가 쉬운 단계에서부터 서서히 한편의 글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한 단락 이상을 쓰는 쓰기활동을 보다 많이 포함시켜야 한다. 현행 교과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주로 문장 단위의 통제작문의 연습을 강조하고 있지만 진정한 글쓰기는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한 단락 이상의 글을 쓰는 것이라는 점에 비춰서 단락 이상의 작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더 많이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학습자들이 서론-본론-결론의 구성을 가진 한편의 완결된 글을 써보는 기회를 갖을 수 있도록 이를 교과서에 소개하고 쓰기를 유도하여야 한다. 셋째, 쓰기의 과정을 강조하는 쓰기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강조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이 쓰기를 단순한 결과물로서 생각하지 않고 각각의 과정별로 필요한 쓰기전략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쓰기과정에서의 각각의 단계 및 쓰기의 장르별로 필요한 쓰기전략을 교과서에 함께 명시하고 이를 학습자가 뚜렷하게 인지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장르의 글을 학습자가 쓸 수 있도록 특정 장르에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를 소개하여야 한다. 특히, 안부편지, 보고서, 광고문 등 일상생활에서 주로 접하게 되는 장르를 골고루 소개하며 해당 장르에 대한 쓰기전략 등을 같이 학습하도록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find problems concerning the writing content of textbooks for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ories of writing focused on various approaches are outlined. In addition, writing contect in the 7th curriculum is reviewed. The curriculum suggests that teachers encourage students to write about their opinion in one or more paragraphs rather than simply translating L1 texts into the target language.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new textbooks were introduced in 2003. In this study, four out of fourteen textbooks are analyzed in respect of writing tasks of one or more paragraphs. And the study takes three steps in narrowing down the target writing tasks as follow. First, the study categorizes the writing tasks in textbooks into controlled, induced and free writings, categories based on the product-based approach of writing. Then the study examines the proportion of each type of writing on account of the number of total writiong tasks in a textbook. Second, among the three types of writing tasks, the study looks into induced and free writing tasks to find the tasks that enable students to write in one or more paragraphs. After identifying those writing tasks, the proportion of them to the number of total writing tasks will be stated. Third, the study looks more closely at those writing tasks inducing one or more paragraphs writing and analyzes them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genre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categorizing all the writing tasks in textbooks based on the product-based approach, the average percentage of the controlled writings accounted for 71% in four textbooks. The portions of the induced writings and free writings were 26% and 3% respectively. Second, the number of writing tasks of one or more paragraphs was not many, which only accounted for the average 7.7% of the total writing tasks in four textbook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ose writing tasks inducing one or more paragraph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genre approach, the number of writing tasks which were designed based on the process-genre approach were only two to four items per a textbooks. Such number is insignificant when we consider there are more than a hundred writing tasks in each textbook. To improve this reality, we have to notice some points as follws: First, textbooks should include more of both induced and free writings as opposed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most of the writing tasks are controlled writings. Second, there should be more writing tasks that induce students to write in one or more paragraphs to provide enough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to experience real writing in the classrooms. Third, more writing tasks should be designed in adccordance with the process approach to emphasize the writing process in writing. The textbooks should introduce writing strategies for each writing genres to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writing skiils in the course of writing. Last, the writing tasks in textbooks should be based on more various genres. And with that, a writing skill for each genre, such as letters, reports, advertisements, should be introduced within the writing task to enable students to develop adequate writing skill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