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

Title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
Other Titles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plan for Korean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Author
현정순
Alternative Author(s)
hyunjungsoon
Advisor(s)
이영숙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 한국어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교실에서 적용해보고 실질적인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어 작문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확장되어 왔으며 최근의 연구에서 초점이 되는 것이 무엇이고, 앞으로 작문교육에 대한 방향과 작문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최근의 작문 교육 이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 중심 교수-학습, 담화 구조의 교수-학습, 통합적 교수-학습 이론에 대해 각각 살펴보고 절충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알아보았다. 또한 학문 목적 글쓰기와 그 맥락을 함께하고 통합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TOEFL Writing의 평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어평가를 대표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쓰기영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한국어 교육 기관의 작문 교육 현황을 설문을 통해 조사 하였다. 또한 작문 교수-학습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파악한 요구분석 결과와 최근의 작문 교육 이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제 중심 교수-학습이론, 과정 중심 교수-학습이론, 담화 구조의 교수-학습이론, 통합적 교수-학습 이론을 절충하여 한국어 작문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각 단계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수-학습 모형의 의의를 알아 보기위해 교수-학습 모형을 교실 수업을 통해 적용해 보았고 교수-학습 이전에 실시한 중간고사 작문평가와 교수-학습 이후에 실시한 기말고사 작문평가를 비교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작문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수-학습 모형의 유용함과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실제 교수-학습에 참가한 학습자들과 교수-학습에 참가하지 않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교수-학습 모형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모형 적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글의 구성 전략에 대한 사전 학습이 필요하며 초급부터 체계적인 작문 수업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또한 교수-학습 상황에 따른 탄력적 적용과 운영을 언급하였다. 6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of practical Korean writing which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I have appli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learners in the classroom and have presented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of practical writing in my paper. In chapter 1, the goal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s supported by a discussion on Korean writing by a review of studies of recent research and to discover which direction we should take in writing education. In chapter 2, an examination of several teaching learning theories which are emphasized in recent writing on an educational theory for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of Korean writing was done. The theories were assignment-oriented teaching-learning, process-oriented teaching-learning, talk structure teaching-learning and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The theoretical base was investigated which presents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writing by compromising many methods. In chapter 3, an analyzation of the writing section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TOPIK)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assessment for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practical use of writing was completed. A survey of the current condition of writing education at Korean education institutes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A plan for developing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of extemporaneous Korean writing in classroom was designed. A discussion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blems of writing teaching-learning and effective ways which would solve them. In chapter 4, a study of the results of the requirement analysis via questionnaires was made. Suggestions for a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of Korean writing which uses components of assignment-oriented teaching-learning, process-oriented teaching-learning, talk structure teaching-learning and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To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I applied it to the class comparing the mid-term writing assessment before the teaching-learning model was used with final assessments after the teaching-learning was used. In addition, to objectively evaluate the usefulness of teaching-learning models and its problems,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learners who are participated in teaching-learning and the survey about learn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chapter 5, a suggestion is made on how to effectively and practically use the teaching-learning model. To elevate the efficiency of the model application, learners need a prerequisite study on the construction strategies of writ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 writing study from the beginner level is mentioned. Also, flexibility is us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class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In chapter 6, a summary of the subject that was discussed in this paper and a meaning of this study is shared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At last, in the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a suggestion for other studies are give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