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5 0

피아노 연주자의 연주복 구매행동과 디자인 선호도

Title
피아노 연주자의 연주복 구매행동과 디자인 선호도
Other Titles
Purchasing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of Dress for Piano Performance
Author
이수정
Alternative Author(s)
Lee, Soo-Jung
Advisor(s)
박명자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경제가 발전하고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공연예술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관객들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 공연예술문화를 즐기고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서 공연 정보를 쉽게 접하게 되었으며 친숙하게 생활의 한 부분으로 여기게 되었다. 공연예술문화 가운데서도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음악 공연은 현대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음악공연을 보는 관객들은 음악이 주는 청각적인 요소와 무대의 크기, 공연 분위기, 조명, 연주복 같은 시각적인 요소를 함께 감상한다. 시각적인 요소 중에서도 연주복은 관객들로 하여금 연주자에 대한 첫인상을 심어주고, 곡의 분위기, 무대의 효과, 연주자의 이미지를 부각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본 연구는 피아노 연주자들의 연주복 구매행동과 연주 형식에 따른 디자인 선호도와 차이를 파악하여 연주복 시장의 발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연주 형식에 맞는 다양하고 기능적인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피아노 전공자 여성으로 연주 경험이 3회 이상인 자들로 한정하여 조사하였고, 자료 수집은 설문지 응답 방식으로 총 364부가 조사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χ²-test,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과 사후 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연주복의 구매동향에서 연주복 마련은 주로 연주복 전문점에서 대여하였고 연주복 대여 가격으로 10만원 이하, 구입 가격으로 15~30만원 사이가 적절하다고 하였다. 구입 시기는 연주하기 2주 전이 가장 많았으며 3~4곳의 매장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연주복에 관한 정보는 주변 사람들을 통해서 얻었고, 연주복 선택 시 소요시간은 1~2시간 정도였다. 주로 가족과 친한 친구와 함께 동행 하였으며 연주복의 불편한 부분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편의 정도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주형식에 따른 태도에서 연주회의 규모와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디자인이 다르며, 독주, 중주, 듀엣, 협연 등에 따라서도 연주복을 다르게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주나 듀엣 연주 시에 연주복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연주복의 전문점선택기준은 다양한 디자인 구비, 색상의 구비, 판매원의 친절함, 여러 연주복을 입어볼 수 있는 것 순으로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였다. 이에 반해 전문점 분위기, 점포위치의 근접성, 연주장까지의 배달의 용이성, 새로운 매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덜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연주복의 제품선택기준으로 대체적으로 모든 항목을 다 중요하게 고려하였고 특히 디자인, 색상, 착용감, 기능성, 신체결점 보완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연주복의 구매 후 만족도에서 주변의 평가, 무대 위에서의 아름다움, 자신의 이미지와 부합에서 가장 만족하였고 디자인, 가격, 개성표현에 대한 만족은 비교적 낮았다. 둘째, 연주형식에 따른 연주복의 디자인 선호도에서 색상이 가장 차이가 많이 나타나 독주일 경우 비비드한 원색, 중주일 경우 검정색, 듀엣일 경우 파스텔 계열을 선호하였다. 소매는 모두 소매 없는 형을 선호하였고, 네크라인의 경우 모두 캐미솔 네크라인을 선호하였으며 독주일 경우 탑형 네크라인을 약간 선호하였다. 실루엣은 프린세스 실루엣을 선호하였고 페티코트 넣은 크리놀린 실루엣은 선호하지 않았다. 스커트 길이는 바닥정도의 길이를 선호하였고 독주일 경우만 바닥에 끌리는 정도의 길이를 약간 선호하였다. 소재는 공단, 실크, 쉬폰 순으로 모두 선호하였으며 장식은 비즈나 구슬을 가장 선호하였고 독주일 경우만 레이스와 리본 장식에 대해 약간 선호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연주복 구매행동과 디자인 선호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낮거나 대학 재학생일 경우 대여 및 구입가격을 낮게 책정하였고 기성복 구매보다는 주로 대여하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연주를 앞두고 1~2주 전에 구입하였고 가족과 함께 동반하였으며 연주복의 정보는 상대적으로 인터넷과 주변사람들로부터 얻었다. 또한 연령이 낮거나 학생일 경우 상대적으로 전문점의 분위기와 부가서비스, 위치의 근접성, 새로운 매장에 의해 전문점을 선택하였다. 구매 후 만족에서 연령이 만 25~29세의 경우 대체적으로 모두 만족하였다. 넷째, 연주 횟수에 따라 연주복 구매행동과 디자인 선호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주 횟수가 많을수록 기성복 구매나 맞춰 입었고, 기존의 경험을 통해 연주복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연주복 선택 시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주로 혼자 가서 선택하였다. 연주복 전문점선택기준으로 연주 횟수가 적을수록 부가서비스를 더 고려하였으며 제품선택기준으로 연주 횟수가 많을수록 품질, 소재, 착용감, 세탁 상태 등을 고려하였다. 구매 후 만족도에서 연주 횟수가 많을수록 주변의 평가와 연주곡과 부합에서 만족하였다. 디자인 선호도에서 연주 횟수가 많을수록 소매 없는 형과 캐미솔 네크라인을 선호하였고 연주 횟수가 적을수록 페티코트 넣은 크리놀린 실루엣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을 살펴보면 첫째, 연주복에 관한 정보를 대체적으로 주변 사람을 통해 얻는데 연주복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정보 전달에 관한 홍보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 인터넷으로 세부적인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주복의 가격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앞으로의 개선점에서 많은 연주자들의 적절한 가격을 요구하는 점으로 미루어 연주복의 가격 책정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주자들이 다양한 디자인, 색상, 착용감, 기능성, 판매원의 친절함, 입어볼 수 있는 정도, 무대 위의 아름다움, 자신의 곡과 어울림, 개성표현, 가격 등을 매우 고려한다는 행동 특성을 살펴 연주복 시장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독주, 중주, 듀엣의 연주 형식에 따라 선호도가 다른 점을 파악하여 연주형식에 맞는 기능적이고 심미적이며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대상자들이 주로 대학 4학년이라는 점에서 연령층을 폭 넓게 확보하지 못했으나 앞으로는 다양한 연령과 계층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 연주복 구매행동과 관련한 다른 변수들을 구체화시켜 연주복 연구 분야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 the public art culture grows, people have more chance to enjoy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performance also has been improving. Audiences can get information easily on mass media not only from papers also web and such information becomes part of people’s life. Among those performances, especially share of music becomes bigger and the quality of musical performance becomes more modernize and being professional. Audiences normally get not only music itself also visions such as the size of performance hall, environments of hall, lightings and performance dress. Especially, performance costume is main core of first impression and makes mood, effect of stage, image of performer better to audiences. The interests for costume are getting bigger theses days but the study of them is just getting started and specific researches by instruments are done rarely. Especially not many studies done for actions, attitudes and satisfactions when they purchasing dresses. In this research, piano performer’s dress purchasing behavior and the preference differences by performing typ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to study of musical performer’s purchasing behavior and to give the information for better performance costume market based on that result. The main focus is to find 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y numbers of performance. The target for the survey is limited only for above 4th grade women student and have experienced more than three times of performances. Total 364 questionnaires a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SPSS (Version12.0) is used for the analysis with frequency, x²-test, t-test and ANOVA. For the confirmation, Duncan-test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of place of purchasing, specialty shop for musical performance shop was the most. The most group for the budget that they spent was under 100,000 Won. Rational price for costume would be 150,000~300,000 Won. Most people purchase costume before 2 weeks and compare 3~4 stores mostly. There were not many complaints about being comfort for costume itself. The preference for costume was different depends on not only scale of performance but also whether solo, duet or trio or more. Also harmony with other person costume was most consideration factor when they perform duet or more. For the choice of shop factor following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various selections, kindness of sales persons and possibility for trying various costumes. But locations of shop or delivery service were not important relatively. For the choice of costume factor, design color, comfort and functionality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ut price, quality and decoration were not. For ‘the satisfaction after purchase costume’ factor, people’s opinions, best appearance on the stage and meeting image with themselves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econd, on the subject for ‘design preference of costume based on type of performance’, people chose different color of dress depends on what types of performance. In case of solo, they prefer vivid primary color; in case of trio or more, they prefer black; in case of duet, they prefer pastel tone. As for preference of sleev design, all of them prefer non-sleeve type. Third, there are differences purchasing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case of younger or lower academic background groups have lower budget and prefer rentals than purchasing ready-made costumes. Those groups have their costumes 1 or 2 weeks before performance and shop with their family. They get information form web or friends and relatively prefer shops close to their location or have additional services, good store environments. In case of satisfaction after purchase costumes, 25~29 ages groups overall satisfied their choices. In case of people who has jobs satisfy at ‘people’s opinions’ factor.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purchasing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numbers of performance time. Bigger numbers groups have ready-made costumes or custom-made one and they rely on their own experiences. They spent more time than fewer performance groups and they shop by their alone. Fewer performance groups considered additional services more than other groups. Bigger numbers of performance groups considered more about quality, materials, comfort and cleanness of costumes. In case of design satisfaction factor, bigger numbers performance groups prefer in non-sleeve, camisole neckline and fewer performance groups prefer crinoline silhouette with petticoat. By analyzing above result, I suggest that firstly, better inform system should be made for right choice for example to have better web site. Also, detail price guide line should be provided. Secondly, shop owners should have more understanding about performer’s purchasing behaviors, they should get ready for what consumer want and what they satisfy and what they not. Thirdly, more variety of functional and aesthetic design for costumes should have made by knowing that there preference difference based on what types of performance such as solo, duet or more.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mainly 4th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so that there is some limitation regarding ages. Wider range of demographic research should have been made next time and other factors regarding purchasing behaviors should also take concrete shap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