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9 0

중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직업선호도 연구

Title
중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직업선호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ob Valuation and Job Preferen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
허순혜
Alternative Author(s)
Heo, Soon-Hye
Advisor(s)
이상민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3 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 및 진학지도 자료로 쓰기 위해 중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직업 선호도 연구를 거주 지역, 성적, 아버지 직업 등의 변인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진학지도를 목적으로 고교 입학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 동대문구와 강남구에 있는 중학교 각각 1개교씩을 선택하여 동대문구 거주 학생 254명, 강남구 거주 학생 191명 총 445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3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일반적인 진로의식을 묻는 문항은 다른 설문지를 참고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직업가치관과 직업 선호도를 묻는 설문지는 Ginzberg가 분류한 직업 가치관의 세 가지 상위영역을 기본으로 10가지 하위 영역으로 분류한 양한주 논문의 검사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 및 성적, 아버지 직업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강남구, 상위권 성적, 전문직과 행정 관리직 직업을 가진 집단에서 특목고에 진학 의사가 높으며 이 학생들은 특목고가 상위권 학생들의 내신 성적에 대한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좋은 수업 분위기 때문에 진학하려고 하며 고등학교 진학이 자신의 진로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상위권 학생들과 전문직 집단에서는 자신의 진로 문제를 부모님과 주로 상의하는 것으로 나타나 하위권 집단이나 판매 및 서비스직, 생산 및 단순 노무직 집단에서 친구나 선배와 주로 상의하는 결과와 달랐다. 둘째, 거주 지역 및 성적, 부모님 직업에 따른 직업가치관의 경향을 규명해 본 결과 직업가치관에서는 동대문구에 거주하고 하위권인 학생 집단에서 내발적 영역의 봉사성, 독립성, 욕구충족성 및 자아실현성 보다는 독창성, 지도성에 대한 가치관 점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대문구에 거주하고 하위권인 집단에서 외발적 영역의 수익성, 존경성, 안전성 및 장래성 모든 영역에서 강남구에 거주하고 상위권 집단의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나 이들은 경제적 대가를 얻거나 남에게 품위있게 보이는 것, 안정적으로 일 할 수 있는 것에 보다 중요한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직업에 따라서는 행정 및 관리직, 전문직 집단의 학생들이 타 집단에 비해 독창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계속해서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일보다는 명백한 규칙이 있는 일에 더 큰 가치를 두는 것으로 보여 지며 생산 및 단순 노무직, 서비스직 집단의 학생들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내가 하고 나면 보람을 느끼는 일을 하는 것에 큰 가치를 두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발적 영역에서는 다른 부문의 가치관 차이는 미비하였으나 존경성 부문에서 생산 및 단순 노무직 집단의 학생들의 점수가 가장 높아 다른 사람에게 품위 있게 보이고 존경 받는 일에 큰 가치를 두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거주지역, 성적, 아버지 직업이라는 변인에 따라 직업선호도의 차이를 규명해 본 결과 뚜렷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다만 성적이 상위권 학생 집단에서 독창성, 욕구 충족성 및 자아실현성 수익성, 존경성, 대인관계 등 겉으로 들어나는 외발적 요인 그리고 부수적 요소조차 꼼꼼히 따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버지 직업이라는 변인에 따른 직업선호도의 차이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지 않아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업과 아버지 직업과는 관련이 적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performed the job preference analysis and the job values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everal variables such as a residential district, a score, a father occupation in order to use as the data for guiding entrance a higher stage of education of the third year class. Especially, 1 middle school each from Dongdaemoon-gu and Gangnam-gu that show different aspect on purpose to guide students in terms of entering a higher course of education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o speak more precisely, 445 middle school students, 254 students from the Dongdaemoon-gu and 191 students from the Gangnam-gu were chosen as a sampl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divided into 3 sections. a researcher made questions asking about general course awareness by referring to other questionnaires, and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about job values and job preference used test questions in the thesis of Hanju Yang classifying three upper areas of job values classified by Ginzberg into 10 lower area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a difference of course awareness according to a residential district, a score, and father’s occupation, students who lived in the Gangnam-gu, had a high score, and had a father at an administrative position showed strong will to enter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se students are willing to enter a specialized high school because of a good academic atmosphere although it has severe competition on the high school records, and they thought that entering a high school w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courses. In addition, students who were ranked at the top range and had parents of a professional job mainly talked to their parents about their course. It was different from a result of other students who were not good at school scores and had parents of sales, service, production, or labor working job. The latter students mainly talked to their friends or seniors about their cours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of job values according to a residential district, a score, and parents’ occupation, students who lived in the Dongdaemoon-gu and ranked at the lower score range showed the very high values level on originality and leadership rather than service mind, independency, desire satisfaction mind, and self-realization which are in the internal area. However, such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in all external areas such as profitability, respectability, safety, and possibility than other students who were ranked at the top score range and live in the Gangnam-gu, so they put much higher importance on an economic reason, a high-grade job, and job stability.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students who has a father working in the administrative or professional field showed lower originality than other groups, so they seemed to put much higher importance on a job having clear rules rather than a job continuously solving new problems. On the other hand, student who had parents working in the labor working and service field were turned out not to put much importance on an occupation letting them do desired tasks and feel the fruits. Also, in the external area,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ut respectability had the highest level from students who had parents working in the labor and production field meaning that they put much importance on a job can be considered as a refined job and respected by others.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a job preference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a residential district, a score, and father’s occupation,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However, the student group making a good score at school closely considered external factors such as originality, desir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profitability, respectabili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ven additional factors. Especially, a difference of job preference according to the father's occupation variabl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so it is believed that very little corelation between a desired job of students and their fathers' job exis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