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2 0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ie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of Public Library : Based on public/private libraries in Seoul region
Author
김보람
Alternative Author(s)
Kim, Bo-Ram
Advisor(s)
최원태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공/구립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디지털참고봉사를 조사·분석하여 이를 이해하고 파악함으로써, 디지털참고봉사가 이용자 편의의 측면과 관리의 측면에서 참고봉사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현재 서울지역 공/구립 도서관중 URL이 있는 46개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조사 및 분석은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도서관을 대상으로 디지털참고봉사의 운영분석, 내용분석, 유형별 현황분석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참고봉사의 운영분석은 명칭, 접근수준, 정책 등을 분석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의 운영분석 결과 각 도서관마다 메뉴 구성 및 방식이 다르게 서비스되고 있어 서비스 표준이 요구되었다. 또한 디지털참고봉사의 운영 정책과 방침을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참고봉사의 내용분석은 이용량, 질문유형, 응답비율과 응답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공/구립도서관의 경우 정보질의는 극소수였다. 이용량과 이용유형에서 많은 부진한 점이 발견되었고 이의 개선점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디지털참고봉사의 유형별 조사결과 제공현황이 저조하고 그 제공유형과 제공방법에서 통일성이 없이 부진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형별 디지털참고봉사가 활발히 이용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제공유형의 다양화와 모형개발에 많은 지원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서울지역 공/구립 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는 각 도서관 규모와 인력에 따라 제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공통적으로 서비스하여야 하고 제공하여야 하는 항목과 메뉴는 어느 도서관에서나 동일할 것이다. 이에 각각의 공공도서관에서 개발하고 연구하기보다 협력하여 표준적이며 이용자에게 편의적인 인터페이스와 메뉴들을 개발·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참고봉사는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며 그에 대한 연구는 계속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digital reference services try to give realistic offers to the users' and administrators' side, followed by making an inquiry and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which are served at public/private libraries in Seoul province. The studies' samples are chosen 46 libraries that have an URL system in Seoul region, and the research goes through the each library's homepage. Digital reference service of management, contents and type is analyzed based on these 46 libraries, and the analytics' contends and results are given as follow. First, digital reference service's operation is analyzed from name, level of accessibility, and policies, and is required standardized services because each library has its own menu and system. Also, there is needed exactly to indicate management policy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Second, digital reference service' contents is analyzed from frequency of use, type of question, response ratio and time. There are very few inquires in public/private library in seoul province. There could be found out lots of using frequency and type of insufficiency, and reformation is needed to as soon as possible. Last, there could be found out that shortage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response, and that level of status is very low because response type and that method do not have unification. Therefore, for the activity digital reference service, it needs various study of response type and model development. The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digital reference services are going to be served basically the same kinds of items and menus in any library, even though each library is offered own specific services which are depended on size of library and librarians. In the result, each library tries to build a proper and standardized interface and menus for users instead of each library develops own way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