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6 0

국어과 수행평가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Title
국어과 수행평가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Some Suggestion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Subject
Author
김슬아
Alternative Author(s)
Kim, Seul-A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reviews how the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has introduced 9 years ago, is being carried out at the education frontline, as well as whether it is considered among teachers a proper evaluation method for its original purpose. In addition, it studies on the problems appeared during the introduction phase, and on the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under present condition. For this research, a set of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eachers and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unggi Province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review the defini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Second, to understand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subject. Third, to diagnose problems with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examples at the education frontline. Fourth, to find proper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in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has not been firmly established as evaluation model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study shows that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subject is focused on outcome, contrary to its original purpose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that feedback on the evaluation result was utilized properly. This is caused by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nd lack of method develop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Most schools are placing weight 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about 20% to 25%, making no distinction among students. In addition, criteria for grading were not clear enough to wipe out the trend of distrust amo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mutual evaluation among students and self-evaluation, which could b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were not widely adopted. Followings could be suggested for a better utiliz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Firs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hould be improved to reflect the purpose of Korean subject class and that of its evaluation. Current education environment Second, training for teachers and aid package should be prepared by education authority to develop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standards. Third, clear and reasonable measures for performance evaluation should be presented to students. Forth, constructive efforts of teachers are required to make the standards for performance evaluation to be more systematic. Thu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subject has been examined and suggestion for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Unfortunately, wider range of schools could not be included for investigation. Besides, schools often carry out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its learning units, and this implies there are numerous points to be improved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subject. Hereafter, it appears some follow-up research should be followed to make performance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approach in conformity with its aim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본 논고는 도입 9년째를 맞고 있는 국어과 수행평가가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수행평가의 시행 목적에 맞는 평가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수행평가의 시행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무엇이고, 현재 교육여건 하에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인천, 경기도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의 정의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에 대해 분석한다. 특히 국어과 수행평가에 대해 교사와 학생이 제기하는 문제점을 파악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실시·적용된 국어 수행평가의 사례를 통하여 수행평가의 문제점을 진단한다. 넷째, 중·고등학교에서 교육평가모델로 정착되지 않은 수행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조사 결과 국어과 수행평가는 초기의 도입취지인 과정위주의 수행평가와는 달리 결과 위주의 평가 수단으로 머물러 있었으며 평가 결과의 피드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그 원인으로는 교사의 1인당 학생수가 과다하고, 수행평가의 도구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각 학교에서는 수행평가의 비중을 20%~25%(조사 대상 학교인 2군데는 10%~15%적용하고 있음)이내로 적용하고 있었는데 학생들이 받는 수행평가의 점수의 차이도 5점 이내이기 때문에 변별력이 없었다. 또한 채점 기준이 불명확하고 모호한 기준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의 불신이 생기고 이 불만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 중의 하나인 학생 상호간 평가와 자기평가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이상과 같이 파악된 수행평가의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을 찾아 제언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학교의 국어 수업 목적과 평가 목적이 입시에 반영될 수 있는 교육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의 교육 환경은 인지적인 능력을 위주로 학생을 평가하는 성향이 강한 만큼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의 본질이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제작 및 올바른 척도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육당국은 교사들의 연수 및 지원책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교사 1인당 학생수의 감소, 행정적인 업무의 지원, 수행평가를 위한 예산 확보 등 교육 여건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학생들에게 신뢰가 가는 국어과 수행평가 척도안을 제시해야 한다. 수행평가는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학습자의 내적성장을 돕는 교육평가라는 점을 인지시키고, 다양한 교육체험을 할 수 있는 평가라는 인식을 심어 주어야 한다. 넷째, 체계적이지 못했던 수행평가의 준거를 설정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수행평가는 단지 과제를 제시하고 평가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 평가의 신뢰도 및 객관성을 어떻게 문서화할 것인가를 체계화하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이상의 내용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를 분석해보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를 작성하면서 아쉬움이 남는 부분은 조사 대상의 학교가 제한적이므로 깊이 연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조사를 하면서 학습단원에 부합하지 않는 국어 수행평가를 진행하고 있는 학교의 사례가 많아 국어의 각 영역별 수행평가의 과제를 제시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여전히 국어과 수행평가에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수행평가가 학습목표에 가장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적 평가’라는 본질에 맞는 평가가 될 수 있도록 유용한 후속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4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