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 0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에서 성찰노트의 제시유형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에서 성찰노트의 제시유형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way presenting the reflective journal to th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programming ability for the programming studying in PBL
Author
이현정
Alternative Author(s)
Lee, Hyun-Jung
Advisor(s)
김동식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성찰노트의 제시유형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에서 성찰노트 제시유형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2는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에서 성찰노트 제시유형이 프로그래밍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찰노트의 제시유형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안양시 K정보산업고등학교 인터넷정보과 2학년 127명,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4개 학급을 각각 2개 학급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명령어를 선택하게 된 이유, 선택한 명령어 사용 시 오류발생여부, 오류수정을 위한 조치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하도록 하였다. 통제집단에게는 프로그램 개발 후에 프로그램의 디자인, 소스코드 등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두 집단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해 37개 문항으로 구성된 김용신의 검사 도구를 프로그래밍 교과에 한정된 내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신뢰도 검증 후에 부적합한 6개 문항을 제거하여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자의 동학년 동교과 선생님들과 협의과정을 거쳐 프로그래밍 능력 검사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래밍 능력 검사지의 문제는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과 유사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학습자들이 프로그램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안도 함께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에서 성찰노트 제시유형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명령어를 선택하게 된 이유, 선택한 명령어 사용 시 오류발생여부, 오류수정을 위한 조치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개발 후에 프로그램의 디자인, 소스코드 등을 기록한 통제집단보다 자기주도 학습능력 점수가 4.31점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찰노트 제시유형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성찰노트 제시유형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연구기간이 짧았던 것으로 해석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래밍학습을 위한 PBL에서 성찰노트 제시유형에 따라 프로그래밍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과 개발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개발 후에 프로그램 개발 결과만을 기록한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래밍 능력 점수가 5.72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찰노트를 기록할 때, 프로그램 개발 결과만을 기록하는 것 보다 학습의 과정 중에 일어나는 사건에 관해서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결과를 함께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 프로그램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how the reflective journal affects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programming ability in PBL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127 K-11 students who are majored in Internet information at K high school located at Kyung gi provinc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two classes was asked to record specifically why they had chosen their commands in programming process, whether the commands are accompanied with an error and how they would deal with the errors. Control group was required to record design and source code of the program after programming process. To test group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t-test on the related abilities test scores between group wear conducted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questionnaire had 31 questions. The programming ability test items constructed by several teachers were utilized. The test consists of practical situation. And an evaluation standard as a reference in programming was given to learn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way of presenting the reflective journal for the programming studying in PBL did not affect th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required to record specifically why they had chosen their commands in programming process, whether the commands are accompanied with an error and how they would deal with the errors scored greater 4.31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required to record design and source code of the program after programming proces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way presenting the reflective journal hardly affects to th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lso that experiment duration was too short to let the reflective journal affect to th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way of presenting the reflective journal for the programming studying in PBL affects to the programm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orded specific cause and effect through programing process scored greater 5.72 in the programm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who recorded only the effect after programming process. This result shows that ,while recording the reflective journal, recording both program developing process and results through learning process affects to the programming ability more significantly than recording only development resul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3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