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1 0

집단미술치료가 치매위험군 노인의 기억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itle
집단미술치료가 치매위험군 노인의 기억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Memor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Risk of Dementia
Author
김영희
Alternative Author(s)
Kim, Young-Hee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가, 치료에 앞서 예방이 더 긴급하고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치매위험군 노인의 기억력 향상과 우울 감소에 집단미술치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치매에서 가장 먼저 관찰되는 인지장애가 기억력 감퇴라는 점에서, 그리고 우울은 기억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해마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가성치매로의 이행이 우려되어, 노인에게 있어서 꼭 다루어야 할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서울 S구에 위치한 복지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재가노인 중 MMSE-K검사에서 ‘치매 의심 범위’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진 대상 13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로서 Rey-Kim 기억검사와 GDSSF-K 우울검사를 실시하였다.7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비교집단으로서 통제집단 6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두 집단은 t-검증을 통해 동질성이 인정되었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일주일에 1회, 60분씩 14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변화 비교를 위해 투사 그림검사인 K-HTP를 실시하였으며, 매회기 마다 집단미술치료 활동 중의 변화 파악을 위해 녹음을 하였고, 보조치료자는 관찰 기록을 하였다. 양 집단 모두에게 사후검사로서, 사전에 실시하였던 Rey-Kim 기억검사와 GDSSF-K 우울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든 결과는 첫째, 대응표본 기초통계를 통해 파악하였다. 둘째, 투사 그림검사와 개별 활동내용들에 관한 질적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치매위험군 노인의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즉, 실험집단의 경우, 기억지수(MQ)의 평균점수가 8.29점 상승하였고, K-AVLT 기억유지도는 35.05%, K-AVLT 인출 효용성은 6.43%, K-CFT 그리기/기억 일치도에서는 8.05% 상승하여 효과적이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치매위험군 노인의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t-검증 결과 99%(.003)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우울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을 말해준다. 셋째, MMSE-K 점수를 통한 변화 비교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치매위험군 노인의 인지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는 유지(1명)되거나 향상(6명)되었으며, 통제집단의 경우는 유지(3명), 향상(1명), 하락(2명)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집단에서 효과가 있음을 말해준다. 넷째, K-HTP 그림검사 결과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필압(筆壓)이 강해졌으며, 내용이 풍부해지고 지면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등 우울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회기별 집단미술치료 활동내용 및 결과 평가를 통해 본, 질적 변화는 초기단계에서 집단원 상호간에 관계형성이 이루어졌으며, 친밀감이 형성되었고 감정의 이완이 이루어졌다. 중기단계에서는 안전한 집단 내에서 문제를 표출하여 탐색하고 통찰을 가질 수 있었다. 후기단계에서는 현실에 적절하게 융화됨을 목표로, 전시회와 수료식을 통해 자연스러운 종료가 이루어졌으며, 활발하고 적극적인 모습과 타인에 대한 관심을 보여 우울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집단미술치료가 치매위험군 노인의 기억력 향상과 우울 감소에 효과적임을 실험연구를 통해 증명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Dementia has been one of the social problems along with the growth of older population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zing the urgency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rather than giving a therapeutic treatment- dementia. This study, therefore, was designed to prove how the Group Art Therapy improves the memory and the depression of the older people who has high chances of getting dementia. Considering that the decreasing ability to remember is the first-observed of the Cognitive disorder and that the depression causes the decrease in the hippocampa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mory, and could develop into Depressive Pseudo Dementia, these topics -the failure in memory and the depression- are indispensable when dealing with older populations. For this study, I picked 13 people, who are categorized as‘Suspected Dementia' according to the MMSE-K test, from the Social welfare Organs in Seoul. I had them tested in Rey-Kim memroy test and GDSSF-K depression test as a preliminary inspection. From them, 7 were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6 were controlled group to b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group. Both groups was proven to be identical by the ttest. For the experiment group, I carried out the Group Art Therapy once a weak for an hour for 14 times. I had the first and the last therapeutic activity compared using K-HTP; I had their sound recorded in every activities to observe their change in actions during the activities, and my TA recorded her observations. After all the activities, both groups took the same test that they took as a preliminary inspection -Rey-Kim memory test and GDSSF-K depression test. All the results, first, have been observed according to the Paired Samples Statistics. Second, I analyzed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their Projective test and individual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I could induc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elderly to improve their memory. For the experiment group, their average score for memory test improved about 8.29 points; K-AVLT memory maintenance improved 35.05%; K-CFT drawing/memory agreement improved in the average of 8.05%, which implies that the therapy is effective.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is beneficial for the depression of the olds with high chances of getting dementia. Comparing t-test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f 99%(.003). However, for the controlled group,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s indicates that for the people in the experiment group, who got the Group Art Therapy, the depression has diminished. Third, by comparing the change using MMSE-K score, I could find out that the Group Art Therapy helps the old people to improve their cognitive ability. The changes in before and after test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one case with no change(1 person) and improved cases(6 people). For the controlled group, there were 3 cases with no change(3 people), one improved case(1 person), and 2 cases with worsened conditions(2 peopl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Group Art Therapy has beneficial impact in preventing Dementia. Fourth, K-HTP drawing test has positive effect. Overall, the Strong of pencil got stronger; the contents got more creative. Also, using all the spaces was done more freely, which showed the tendency of diminishing depression. Fifth, by comparing the activities of every lesson and the evaluations of the results, the improvement in quality was detected. At the first phase, they formed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in the group and formed familiarity and relaxation of emotions. At the middle phase, they could find and solve for the problems inside the safe group and get some insight. At the last phase, aiming at relevantly fusing into reality, the Therapy ended naturally with the shows and awards. With more active attitude and the interests about other people showed diminished depression inside them. With the results above, I could find the meaning of this study in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in dementia to improve their memory and to reduce depression with the experim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