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 0

여가활동과 과외학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여가활동과 과외학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School Adapt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
이진화
Alternative Author(s)
Lee, Jin-Hwa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보내는 여가 시간과 과외 시간, 여가 만족도가 아동의 학교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적응으로 학습 습관, 학습 태도, 급우 · 교사에 대한 태도를 상정하였고, 심리적 적응으로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을 상정하여 아동의 1주일 동안의 여가 시간과 과외 시간, 여가 만족도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는 여가 시간과 학교 적응 변인, 심리적 적응 변인과의 관계를 일차 확인하고(연구문제 1), 과외 시간과 학교 적응 변인, 심리적 적응 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연구문제 2). 또한 여가 만족도는 여가 활동의 지속과 흥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본 연구에서는 여가 만족도와 학교 적응 변인, 심리적 적응 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연구문제 3). 더 나아가 여가 만족도 수준에 따라 과외 시간이 학교 적응 변인과 심리적 적응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연구문제 4), 여가 시간 수준에 따라 과외 시간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달라지는지(연구문제 5)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개 학교에서 13학급을 선정하여 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 시간은 학습 습관의 하위 변인 중 학습 기술 적용, 자율 학습 변인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심리적 적응 변인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즉, 여가 시간은 학교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심리적 적응과는 유의한 관련이 없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과외 시간은 학교 적응 변인 중 학습 습관과 학습태도 변인들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심리적 적응 변인 중 학업 스트레스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과외 시간이 길수록 주의 집중, 학습 기술 적용, 자율 학습, 학습 태도가 좋을 수 있으나 학업 스트레스는 많이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여가 만족도는 학교 적응 변인과 심리적 적응 변인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인의 여가 생활에 대해 만족 할수록 학습 습관과 학습 태도, 교사 · 급우에 대한 태도가 바람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긍정적 안녕감은 높여주고, 부정적 안녕감은 낮추어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여가 만족도와 과외 시간에 따른 학교 적응의 이원 변량 분석 결과, 여가 만족도와 과외 시간은 학습 습관 및 학습 태도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학습 습관 및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조건 과외 시간을 늘리기보다 아동들에게 만족스러운 여가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섯째, 여가 만족도와 과외 시간에 따른 심리적 적응의 변량 분석 결과, 여가 만족도와 과외 시간은 부정적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여가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여가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과외 학습에 대한 부정적 심리적 안녕감을 덜 느낀다는 것이다. 여섯째, 여가 시간에 따른 과외 시간이 스트레스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량 분석 결과, 과외 시간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여가 시간이 높은 집단 보다는 낮은 집단에서 더욱 크게 나타내었다. 이는 여가 시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가 시간과 과외 시간이 아동의 학교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특히 여가 만족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나친 과외 학습으로 인해 삶의 여유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받고 있는 아동들에게 만족스럽고 충분한 여가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녕감을 주는 것은 물론 학교 적응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isure time, extracurricular time and leisure satisfaction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this study, school adaptation means learning habit, learning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classroom friends and teacher, psychological adaptation means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shows that children's leisure time and extracurricular time during one-week and leisure satisfaction will have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tudy 1,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its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tudy 2.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time and its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tudy 3.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tudy 4.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time as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on the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tudy 5.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time as the level of leisure time on the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350 children from 13 class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which was selected random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isure tim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learning skill application and self-learning among the learning habit. And leisure time did not have any meaningful correlation to psychological adaptation. Second, extracurricular time showed statistic correlation to learning habit and learning attitude among the school adaptation and learning stress amo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Therefore the more extracurricular time that children have, the more they will pay attention, learn skill applications, apply self-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 but they will be under stress. Third, leisure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 correlation to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more children were satisfied with their leisure activities, the more they displayed a positive learning habit, learning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school friends and teacher. Also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crease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as a result of a two-way anova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extracurricular time and school adaptation, leisure satisfaction, extracurricular time showed statistic correlation to learning habit and learning attitud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habit and learning attitude, it should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enjoy satisfied leisure time rather than push the extracurricular study. Fifth, as a result of a two-way anova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extracurricular tim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isure satisfaction, extracurricular time showed statistic correlation to negative psychological adaptation. A group of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felt less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a group of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Sixth, as a result of a two-way anova between leisure time, extracurricular time and stress, the effects extracurricular time had on stress were more obvious in a group of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than the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how leisure time and extracurricular time affect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especially showed leisu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sent a theoretical basis that upon allowing students to have leisure time and creating a high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stress will be reduced and they have psychological well-be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2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