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 0

집중호우시 산사태 원인 분석 및 보강대책에 관한 연구

Title
집중호우시 산사태 원인 분석 및 보강대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Landslide diagnosis and study of reinforcement countermeasure at localized downpour : Focused on a Landside Case in a school Site in GanGw on-Yeongdong Province
Author
정정일
Alternative Author(s)
Chung, Chung-Il
Advisor(s)
천병식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면붕괴와 관련된 자연재해(산사태, 옹벽붕괴, 매몰 등)는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를 포함하여 호우의 집중강도가 높아지는 등 기상학적 원인에 의해 매년 발생하고 있다. 특히 7∼9월의 우기철에 집중적으로 산사태 등 사면붕괴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어떤 요인보다 강우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산사태 등 사면붕괴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산사태 발생을 미리 예측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사면 붕괴는 주요 원인이 집중 강수에 있으므로 강우특성을 고려한 배수계획에 대한 연구와, 지형조건 및 토질특성, 지반조사, 현장시험 및 불연속면의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02년과 2003년에 발생한 강원 영동지역 교사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1)산사태 발생요인과 특성을 규명하고 2)현장조사 결과 및 실내실험에서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3)대책공법의 선정과정 및 선정된 대책공법의 안정성 확보와 관련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강우조건과 산사태의 관계 규명에서 강우량, 강우강도 등의 경우 제한된 자료이지만 산사태 발생시간이 거의 일치하고 있는 점과 붕괴형태 및 특징, 산사태 발생 면적 및 토질 등에 관한 현장조사 결과로 미루어 산사태는 집중 강우와 누적강우량, 강우강도 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면붕괴 사례를 토대로 앞으로의 사면안정화를 위한 개선방안과 예방대책을 제시하였으며 산사태 지역의 지형 및 지질조건과 현장조건에 맞는 다양한 대책공법 등을 분석하고 적정한 보강공법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during 2002. 10. 15∼2002. 11. 15 and during 2003. 10. 25~2003. 11. 10. The study aims at ascer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by soil characteristics an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landslides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outbreak of landslides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 and data from indoor-experiments and also making stability analysis on slope-desig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s the subject, a landslide school site in Gangwon-Yeongdong province was selected.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landslides and factors related to them and in order for the results to be utilized more concretely, case analyses on much more landslide areas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slope stabil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one should conduct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slopes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and establish a more reliable and stable plan for slope stabilization in the stage of a survey of subgrade and slope design. In the future, one should collect rainfall data in landslide area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regional, geological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hen conduct surveys and experiments in a careful manner on each item for not only examining rainfall events and landslide types but also estimating slope stability precisely and further continue to conduct surveys on the correlation between landslides and various factors could cause th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CIVIL ENGINEERING(토목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