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9 0

기지국 효율 개선을 위한 CDMA 파라미터 적용 중계시스템 알고리즘에 대한연구

Title
기지국 효율 개선을 위한 CDMA 파라미터 적용 중계시스템 알고리즘에 대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lgorithm to improve the BTS's efficiency of CDMA parameters used in a repeater system
Author
강상욱
Advisor(s)
정제명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동통신 서비스에 수요가 점차 증대되면서, 한정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한분야로 CDMA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중계기를 이용한 CDMA 기지국 최적화 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 하였다. RF 중계기에서는 기지국과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 되어 원격 중계 역할을 담당하는 단순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특히 유입되는 트래픽을 측정 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해결하지 못하는 기지국의 효율적 측면에 대한 기능 향상을 위하여 기지국과 중계기의 통화량을 예측함으로써 중계기에서 능동적으로 통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중계기 장치 내부에 CDMA 단말 모뎀을 내장하여 CDMA 시스템 매개 변수를 분석하였고, 주변 기지국서비스 영역을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중계기의 스마트 도너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중계기에 수신되는 신호의 통화 품질을 각 기지국 마다 확인하였다. 중계 장치가 커버리지 하는 영역의 통화량을 예측 하여 통화량의 많아 기지국의 잡음 지수가 증가 되어 기지국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CDMA 단말기와 주변 기지국의 중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통화 채널을 변경, 선택 해줌으로써 단말기에서는 최상의 통화 품질을 제공하고, 기지국의 통화량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기지국의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 통화량의 집중되는 현장에 설치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 중계 장치에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PN 중첩지역에 설치하여 PN 중첩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단말의 유동이 많은 지역에 설치하여 통화량이 집중이 되어 통화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평균 트래픽 차이가 심한 지역에 설치하여 트래픽을 분배 하는 역할로 서비스 품질과 통화 품질이 되었음을 데이터로 확인 하였다. 논문에서 연구한 기지국의 용량 개선을 위한 능동적 CDMA 중계 장치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basically studied optimizing CDMA Base Station throughout repeater control, which is commonly used in CDMA system. RF repeater is physically interfaced with BTS and general function of repeater is simply to amplify signal and to transmit between BTS and cellular phones. This architecture is not to measure volume of calling traffic, thus installing more repeater has been an issue to damage to the CDMA network. I focused on the way of resolving above technical problem by studying a repeater with active calling channel selection function, which adjusts signal traffic, and forecasts volume of signal traffic. CDMA wireless modem to analyze CDMA system parameter is installed inside of repeater and smart Donor Antenna to direct BTS service sector is used to verify signal quality per each sector of BTS. Processor to direct the Smart Donor Antenna selects most efficient calling channel by forecasting volume of signal. In case if too much traffic makes BTS over-loaded, processor directs CDMA wireless modem to change less-loaded BTS channel by analyzing signal to noise (Ec/Io) ratio. Therefore cellular always receive clean signal quality and the repeater distributes volume of signal traffic from heavily loaded sector to less-loaded sector. This mechanism may be expected to optimize BTS efficiency. As a result of field trial location, two merits were achieved having comparison with existing repeater in the same location. One is to solve PN pollution and the other is to solve call drop in the heavy traffic location. Distributing and balancing signal traffic to increase signal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s been verified by actual field DATA. Otherwise, active CDMA repeater system to enhance BTS capacity, has been deploy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1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전기 및 전자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