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어린이 놀이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동주택 어린이 놀이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 ground : in the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City -
Author
이주희
Alternative Author(s)
Lee, Joo-Hee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광복 후 1960년대에 마포아파트가 건축되어 성공을 거둔 후 공동주택은 급격히 증가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유형이 되었다. 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생태에 대한 측면뿐 아니라, 문화, 감성, 인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유형의 공동주택이 조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어린이 놀이공간도 자연놀이터, 감성놀이터, 테마놀이터, 과학놀이터, 모험놀이터 상상놀이터 등 다양한 테마를 지닌 놀이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방식은 개개 공동주택 단지의 설계과정이나 시공업체의 분양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며, 실제 놀이공간 이용실태는 반영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계속해서 공동주택 가구의 구성원수가 변화하고 이에 따른 이용자수 및 놀이행태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 내 어린이놀이터에 관한 법규는 면적에 관하여 300㎡를 최소로 하고, 100세대를 넘을 경우 일정 면적을 부가하는 세대당 면적기준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놀이터의 위치나 유형에 관하여는 구체적인 규제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있으며 설계단계에서도 법적기준만을 맞추는 단계에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공동주택 단지들이 이용자의 행태에 적응하지 못하는 놀이공간을 조성하게 되고 대동소이한 놀이공간의 구성을 보이게 된다. 이에 이 논문은 서울시 소재 공동주택 중 2000년대 이후 조성된 공동주택 단지 내 어린이 놀이공간의 이용실태를 조사 와 분석을 통하여 놀이공간 이용자수의 변화에 유동적인 놀이공간 조성과 다양한 놀이행태를 담을 수 있는 복합놀이공간 계획 및 변화성을 가진 놀이시설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1) 주요 공동주택 단지를 선정하여 설계도면 분석하고, 2) 공동주택 단지 내 놀이공간의 놀이행태 관찰을 실시 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공간에 대한 개선방안 및 변화성이 있는 시설물을 제시하였다. 설계도면 분석 및 관찰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계도면 분석 (1) 거의 대부분의 놀이공간의 유형이 유년 놀이공간으로 조성되고 있고 도입시설의 종류도 고정형 조합놀이대로 대동소이함. (2) 타 공간과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놀이공간간의 연계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3) 거의 모든 놀이공간 내에 자유놀이공간이 부재함. (4) 놀이바닥의 면적의 경우 법정기준인 세대 당 1㎡에 미달하여 0.6㎡를 보이고 있음. 2) 놀이공간 관찰 분석 (1) 최대 이용자 수는 12명으로 조사되었고 평균 이용자 수는 6명으로 조사되었으나 대형 평형위주의 공동주택의 경우는 이용자수가 2명 정도에 불과 하였다. (2) 대부분의 놀이공간 이용자는 유아들이었으며 유년, 소년의 경우는 자전거, 인라인, 공놀이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공동주택 단지 내 공간 중 놀이공간의 이용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어린이와 보호자가 함께 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4) 대부분의 놀이공간 내에 그늘이 없어 이용이 불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놀이공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이용자의 변화에 유동적인 놀이공간 조성을 위하여 집중놀이공간과 비집중놀이공간을 조성한다. (2) 놀이공간을 놀이를 중심으로 운동, 휴게, 모임 등의 공간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3) 놀이공간의 시설은 휴게시설, 놀이시설, 운동시설 등으로 구분을 하여 설치할 것이 아니라 놀이와 휴게, 운동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도록 계획한다. (4) 놀이시설은 이동, 변신, 대체 등이 용이하도록 계획하여 식상하지 않도록 하며 이용자의 유형을 고려하여 신체단련, 사회체험, 인지활동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5) 놀이공간은 타 공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조성하되 특히, 광장, 주차장, 운동공간, 자전거 도로, 보행자 도로 등과 연결을 고려하여 조성한다. (6) 놀이공간간의 연계는 자전거도로를 통하되 가급적 비상차량동선을 활용하고 비상차량 동선의 경우는 자전거와 보행자를 구분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조성한다. 이상과 같은 개선방안을 공동주택 내 어린이 놀이공간 조성 시 고려하여 계획하고 보다 다양한 형태와 유형의 놀이공간과 놀이시설이 조성되어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인 놀이공간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 놀이공간, 집중놀이공간, 확장형 놀이공간, 자유놀이공간; A number of apartment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and become the representative residential form of Korea since Mipo apartment was successfully built in 1960s after national liberation. It is the trend that various types of apartments considering the culture, sensibility, human beings, etc, as well as ecological aspect in 1990s and 2000s are built. Hereupon, children playground is also built with various themes such as natural playground, sensitive playground, theme playground, science playground, adventure playground, imaginary playground, etc. However, the way of the change above was mainly resulted from specific circumstance such as design procedure of individual apartment and distribution of construction company, which does not reflect actual playground space application state. Especially, although the number of constituent of apartment households is continually changed, and subsequently, a number of users and playing type are changed, the regulation for the size of children playground inside of apartment is no less than 300 without actual restriction method for ㎡ the location and type, and design state is barely fitting into legal standard only. From the reasons above, most apartment complexes build up playground which is not accustomed to the behavior of users, and show similar structure of playgrounds Therefore, the paper herein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playground space .flexible to the change of the number of playground users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children playground utilization status in apartment built after 2000 among the apartment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design method for playground facility which has composite playground plan and variation possibly containing various play types. For the method of research, 1) Design drawings were analyzed with selecting major apartment complex, 2) and play type monitoring in playground inside of apartment complex was carried out, and improvement method for playground and changeable facil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analyzed result. The result for design play analysis and monitoring is as follows, 1) Design drawings analysis (1) Majority of playground type was established as children playground, and the type of facilities are similar as fixed type composite game structure. (2) The link with other spaces are not available, and the link between playgrounds are not available either. (3) Free playground space is absent in most of playground. (4) The ground area of playground is 0.6 , which is less ㎡ than legal standard of 1㎡/household. 2) Playground monitoring analysis (1) The maximum number of users were examined to 12 persons with average users to 6 persons, however, it was only 2 persons for the users in case of the apartment with large individual household size. (2) The users of most playground were infants, and children was examined to prefer cycling, inline skating, and ball play spaces. (3) It was analyzed that the use of playground in the space of apartment was the most frequent, it might be because that children and their parents are using the space together. (4) Since there is no shelter in most playgrounds, it was examined not to be comfortable to use. Playground improvement methods speculated through the study herein are shown below, (1) With establishing flexible playground for the change of users, establish concentrated playground and non-concentrated playground. (2) Playground is recommended to be planned for variously utilization from playing to workout, rest, gathering, etc. (3) The facilities in playground is recommended not to be installed with dividing to resting, playing and workout facilities, but to be installed for composite activities including playing, resting and workout. (4) Playground facilities shall be planned for comfortable movement, transformation, replacement, and others, and physical training, social experience, cognition activity shall be available. (5) Playground shall be built with considering the link with other spaces, especially square, parking lot, exercise space, cycling road, pedestrian passage, etc. (6) The link of playground shall be connected to cycling road, if possible, using emergency car route, and in case of emergency car route, it should be established with considering the safety of pedestrians by separating bicycles and pedestrians. With considering improvement method above during building children playground in apartment, the paper herein is to suggest a fundamental data needed to make more active playground by establishing the playground with more various type and shape. Playground, Concentrated Playground, Expansion type playground, Free playgroun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1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