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0

도시형 실버타운의 공간구성에 관한 계획적 연구

Title
도시형 실버타운의 공간구성에 관한 계획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Urban Silver Town : Focused on case studies of Korean & Japan
Author
윤태식
Alternative Author(s)
Youn, Tae-Sik
Advisor(s)
박재승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First, since the urban silver towns are occupied primarily by the elderly, it is essential to carefully plan various service programs even at the stage of design as in the case of Japan, while opening up their facilities to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physical facility environment convenient for their elderly users should be operated, while relevant personnels should be trained for them. Second, it is deemed desirable to develop the urban silver towns on such sites as allow for a comparatively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rather than on such independent sites highly priced in the downtowns. Since any downtown building should be high rising and dense, its linkage with the community as well as its surrounding environment must be poor. Third, on the plan, the lower part needs to be designed to be open to the community. Since most of the residents are aged 60 or older, the designer should set barrier-free points as much as possible for living and service spa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small rental houses as much as possible rather than large houses. For the silver towns should be recognized as part of the welfare programs rather than a means of increasing assets. Accordingly, designers are obliged to be more careful about first-aid and amenity systems even at the stage of masterplan. Fifth, it is required to develop middle-rise dense or separate buildings rather than high-rise separate buildings. Such a scheme would be efficient for public atrium planning or bright and comfortable interior. Sixth,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he public spaces and service facilities adequately rather than concentrate them in a space, in consideration of old residents' physical conditions, circulations and service systems. For reference, the public spaces are distributed in consideration of the unit care in Japan. Since this study was a case study focusing on the physical aspects of urban silver town, its results may not well be generalized for the tectonic plans for urban silver towns. However, as the elderly people's housing affect our all society members, it is required of the government to rearrange the relevant systems, providing for some reform measures for urban silver towns.; 한국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2000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를 차지함으로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추세로 보면 2010년 10.7%, 2026년 20%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어 OECD국가 중 고령화율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도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노인복지시설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경제적 자립성과 자녀와의 독립주거 의식이 강한 노인들은 다양한 서비스시설이 갖추어져 노후 생활에 불편이 없는 주거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노후의 안정된 주거생활과 더불어 주변의 다양한 문화 및 의료시설 등의 편의시설을 공유할 수 있는 도시형 실버타운의 필요성과 요구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의료와 복지서비스를 포함한 도시형 실버타운을 대상으로 하여 특히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고령사회를 먼저 경험하고 있는 일본 도시형 실버타운의 공간적 특징을 파악하고 현재 국내에 건립된 도시형 실버타운의 경우를 비교대상으로 함으로써 향후 고령화 사회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실버타운의 계획방향에 참고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노인문제에 의한 거주특성과 일반적인 실버타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국내와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도시형 실버타운의 시설 운영형태와 공간구성 및 건축적 특징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 실버타운은 노인들만의 영속적 주거개념이 강하여 일본의 사례와 같이 지역주민들과의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시설내 공간의 개방과 서비스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계획시부터 면밀하게 검토되어져야 하겠다. 또한 운영 측면에서도 노인 편의에 관련한 물리적인 시설환경과 함께 이를 원활히 운영할 수 있는 체제 및 인력 육성사업도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둘째, 도시형 실버타운의 개발시 지가가 높은 도시 중심지 단독필지에서의 개발을 지양하고 주변 환경이 비교적 쾌적한 도시 주거지 등의 안정적인 곳을 위주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 중심지의 개발은 고층 집약적일 수밖에 없어서 주변 지역 주민과의 연계는 물론 주변 환경과도 연계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평면 계획시 저층부는 지역주민에게 개방되는 시설로 계획되어져야 하며, 거주자의 대다수가 60세 이상의 고령 주거자이므로 거주생활공간 및 서비스 공간의 계획에 있어서 설계자는 기본적으로 베리어 프리(Barrier Free)에 많은 배려를 하여야 한다. 넷째, 단위 주호계획상 대형평수의 분양형 보다는 소형평수의 임대형으로의 주호평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실버타운이 자산가치의 증대 수단이기보다는 더불어 사는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인식되어 져야하는 사회적 이유이다. 따라서 설계자는 주호내의 세심한 응급 및 편의 설비시스템의 구축에도 계획시부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단면구성상 고층 분동형으로의 개발은 가급적 지양하고 중층집약형 또는 중층 분동형으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공용 공간의 아트리움 계획이나 자연채광 도입 등의 쾌적한 실내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공용 공간 및 서비스 시설을 한곳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보다는 거주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동선 및 서비스 체계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곳에 분산하는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 유닛 케어 등을 고려하여 공용공간을 분산 배치한 사례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물리적인 사례분석만을 통하여 연구한 것이므로 건축 계획적 제언을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다고 본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앞으로 다가올 고령화 사회의 노인주거 문제는 사회구성원 모두의 문제이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의 제도 정비와 대책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In Korea, as living standards have been improving with development of the medical technologies, those aged 65 or older accounted for 7.2% of the entire population in 2000, signalling an era of aging society. And this ration will increase to 10.7% in 2010 and exceed 20% by 2026, positing Korea as a super-aged society or the most rapidly aged society among the OECD member nations. In particular, as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are expected to be more demanded along with increasing old population, those elderly people who can afford to finance their living for themselves and wish to live apart from their grown-up children tend to favor a comfortable housing type. Thus, the demands for urban silver towns ever increase because they provide for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as well as a variety of cultural and medical ame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rban silver towns equipped wi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Japanese urban silver towns similar much to ours in various terms including space and tectonic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our conditions because the country is our neighbor, experiencing the aged society earlier than Korea, and thereby, suggested a director for our future silver town planning befitting the conditions of aged society.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elderly people's housing conditions and those of ordinary silver towns theoretically, and thereupon, compared the urban silver tow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erms of facility operation, spatial structure and tecton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1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