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5 0

건축골조공사에서 FMEA 공정리스크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건축골조공사에서 FMEA 공정리스크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in Developing FMEA Schedule Risk Management System at the Frame Construction Phase
Author
이황행
Alternative Author(s)
Lee, Hwang-Haeng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건축공사는 점차 대형화되며 프로젝트가 복잡화되어감에 따라 불확실한 리스크 요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중의 이해관계가 얽혀져 있어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리스크 요인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건설프로젝트 참여자들이 전체 공기 및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리스크 관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관리 절차 및 도구 등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공 단계에서 발생하는 리스크 요인은 프로젝트 공기 연장과 원가상승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므로 공사 착공 전 단계에서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하여 사전에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 인자를 인식하고 정확하게 규명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건설공사의 합리적인 리스크 관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FMEA 공정리스크 관리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시공단계의 위험요소를 최소화하여 합리적인 공사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건축골조공사 단계에서 발생되는 공종별 리스크로 한정하여 각 공종별 분류체계에 따라 공정리스크 요소를 파악하고, 공정리스크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정리스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리스크관리 방안의 제시를 위하여 지하 6층, 지상 50층 규모의 초고층 건물 공사 프로젝트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FMEA 공정리스크 관리도구를 개발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현재 본 연구의 당위성과 목적을 서술한 후 그 연구방법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인 개념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리스크 및 리스크 관리의 개념을 설명한 후 공정리스크 분석 방법과 고장모드 및 영향 분석(FMEA)에 관련된 문헌 조사를 분석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골조공사에서의 공정리스크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기존 문헌 분석 및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골조공사 단계의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해당 단계에서의 리스크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골조공사에서의 공정리스크 관리도구 프로토타입을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 개요와 관점별 AHP 중요도 결과를 중심으로 각 프로세스 단계별 공정리스크 요소의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적용을 통하여 공정에 따른 리스크 지수를 도출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공정리스크 지수 분석 결과와 향후 연구 진행 방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Uncertain risk factors increase according as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in present are larger and more complicated and this is numerous risk factors compared with others because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are many interested parties. Although parties of construction projects recognize importance of schedule risk management, they feel constraint because risk management process and tools are not systematized. So construction managers need more developed risk management system which recognize risk factor of occurrence possibility and need to deal with risk adequately through risk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is situ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schedule risk management tools. Minimization of risk factor and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construction phase is being realized through this. In this study, firstly, a kind of risk is restricted with schedule risk generated in the frame construction phase and analyze progressive schedule risk factors according to each kind of construction in the frame construction phase. secondly, analyzed progressive schedule risk factors is assessed by AHP analysis. lastly, high rising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in scale of the sixth basement and fifth pair of stairs is selected for schedule risk management in substance, and we develop FMEA schedule risk management tool by thi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