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만-
dc.contributor.author김원수-
dc.date.accessioned2020-04-08T17:09:53Z-
dc.date.available2020-04-08T17:09:53Z-
dc.date.issued2007-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4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20en_US
dc.description.abstract근래 노년층의 경우 자신의 신체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주변에 대해 비의존적인 생활을 원하고 있으며 이전까지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짙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노령화될수록 사회적 영향력은 급속히 축소되고 대부분의 노인생활을 수용하게 되는 주거의 영역으로부터 자신의 생활패턴을 재구성해가야 하는 기로에 놓이게 된다. 그 시점에서 노인 자신의 활동 가능 정도가 재구성되는 생활패턴의 성격을 결정하게 된다. 즉, 이전까지 교류를 가져오던 여러 그룹들과의 사회적 관계보다는,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게 될 주거영역 및 인접 지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근거리상의 장(field)들이 훨씬 더 의미 있는 활동영역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이는 노인 전용 시설과 인접하게 될 지역민에게는 노인시설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요하게 되는 것이다. 가까이에서 보이게 될 노인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들과 내외부적 생활양상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그로 인한 심리적, 직접적 영향력을 지역민들 자신과의 관계에 있어 여러 측면에서 수용해야하는 입장에 놓이게 되기 때문이다. 지역민들과의 community 형성은, 노인들에게는 자신의 급격한 변화들을 수용하는데 있어 축소된 사회관계를 보다 괴리감 없이 받아들이게 하고, 지역민들에게는 노인시설이 자신의 인근 생활권으로 수용되는데 있어서 기피감이 아닌 유익함이 느껴지도록 할 수 있는 필수요소이다. 즉, 일반 도시민의 인접 생활권에 노인시설이 들어섬으로써 이를 실제 지역민에게 어떠한 기회요소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도시의 주거권역에 놓이게 될 노인 시설은 그 시설 자체에 있어서도 지역민과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더 이상 소외되고 기피될 건축 시설이 아니라, 스스로가 다양한 community 형성을 위한 개방적인 모습을 지녀야 한다고 본다. 이에 따라 노인과 지역민 사이에서 공유적 행위의 형성 및 그러한 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는 midium의 역할이 가능한 복합 노인 시설에 대한 계획안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노인인구 증가와 노인 생활상의 변화, 노인 시설에 대한 인식과 건축 물리적인 원인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3장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제시한 개방성 및 공공성으로써의 건축적 대안들을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대지의 선정과 기본 프로그램과 면적, 5장에서는 이를 물리적으로 통합하여 복합 기능의 노인 시설로 표현하는 과정을 제안하였으며, 6장에 계획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개방적 영역으로써의 복합 노인시설 건축구상-
dc.title.alternativeAn architectural scheme for an open senior complex through promoting local community activiti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원수-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Won-So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건축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디자인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설계-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