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2 0

초현실주의의 총체적 원형을 통한 미술치료요인 연구

Title
초현실주의의 총체적 원형을 통한 미술치료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 Therapeutic Factor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ollective Archetypal Components in Surrealist Paintings
Author
이선경
Alternative Author(s)
Lee, Sun-Kyoung
Advisor(s)
김희영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프로이드에 의해 발견된 개인무의식은 자유연상에 의해 미술치료로 연결되고, 융의 집단무의식과 원형은 만다라를 통해 예술치료 및 미술치료로 확장되어왔다. 최근 미술치료는 프로이드 학파와 융 학파의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역으로 전개되어 역동성 지향적 미술치료, 게스탈트 미술치료, 표현미술치료, 인간심리학적 미술치료 등 괄목할만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프로이드와 융의 영향을 받아 촉발되고 성장하여 오늘날 미술치료의 동력으로 꼽히는 초현실주의는 조직적, 체계적, 그리고 직접적으로 무의식의 세계에 접근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20세기 미술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꿈과 상상, 그리고 편집광적 비판 등의 기법은 초현실주의자들이 무의식의 해방에서 오는 절대자유를 화면에 옮기는 과정과 결과에서 카타르시스를 유발하여 심적 정화를 일으키기 위한 도구이자 방편이었다. 본 연구는 프로이드와 융의 이론을 수용했던 초현실주의의 창작과정과 그 결과로서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요소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미술치료적인 요인을 찾아내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치료의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천적 미술치료의 방안으로서 학문, 종교, 예술을 포괄하는 원형적 모델로 제시되었던 융의 만다라를 총체적 원형으로서 미술치료와 무의식의 투사에 효과적이었던 초현실주의의 창작방법과의 연관성을 지어 미술치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임상현장에서 미술치료사들이 내담자의 무의식적 동기를 미술사적인 혹은 자전적인 그들의 작품내용을 통해서 해결되지 못한 감정의 갈등 요소와 현재?미래의 자기 문제를 암시적으로 드러내 줌으로써 자기 성찰적인 문제와 대면하여 의식차원의 갈등을 해소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치료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미술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실천적 동기를 파악하기 위한 무의식의 이론화 과정으로 프로이드의 개인무의식과 융의 집단무의식 및 융 이후 여러 미술치료의 경향, 그리고 융의 만다라가 지닌 치유효과들을 고찰한다. 융은 실천적 미술치료의 방안으로 민족적 원형에서 추출한 총체적 개념으로서의 만다라를 제시했다. 초현실주의자들이 개척한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은 또한 무의식의 자유로운 표출을 돕는 조형적인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미술치료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미술창작의 과정과 미술치료의 동기 파악을 위해 내담자의 표현과 구성, 초현실주의들이 사용했던 변형과 상징에 의한 무의식 표출 및 이미지구성에 따른 미술치료와의 상호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품에서 분석되는 무의식의 형상화방식, 이미지의 상징화 방식에 대한 의미해석은 미술치료에서 적용되어 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창작과정, 진단, 치유에 대한 해석으로 환원될 것이다. 이 과정은 융의 만다라에서 볼 수 있는 총체화 및 개별화의 과정에서 유추될 수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IV장에서는 초현실주의 작품에서 분석되는 치유적 효과를 의식과 사상, 표현양식, 조형적 분석으로 나눈다. 의식과 사상에서는 환상과 상상에 대한 초현실주의자들의 인식과 사상적 배경을 다룬다. 표현양식에서는 초현실주의자들의 주요 표현기법인 오토마티즘(automatism), 데페이즈망(depaysement), 편집광적 비판(paranoiac critique method), 콜라주(collage), 데칼코마니(decalcomanie), 프로타주(frottage)를 중심으로 치유가능성을 분석한다. 조형적 분석에서는 마그리트(Rene Magritt), 미로(Joan Miro), 샤갈(Marc Chagall)의 작품을 공간상징에 의한 치유효과로, 그리고 에른스트(Max Ernst), 달리(Salvador Dali)의 작품을 조형어법에 따른 치유가능성을 고찰하였다. Ⅴ장에서는 초현실주의 작품의 미술치료요소 분석으로 고전적 이미지화와 공간창출과 총체적 원형을 통한 치유효과로 나누어 만다라로 수렴되는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미술치료요소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무의식의 투사에 효과적이었던 창작기법과 무의식세계의 작품을 탐구한 미술치료의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폭넓은 지침을 찾기 위한 고찰의 방편으로 초현실주의의 표현기법과 작가들의 표현경향의 원류 혹은 원형을 고찰하여 그에 상응(相應)되는 융의 만다라 추구방식과 총체적 원형을 추구하는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업방향성이 현대의 미술치료사들에게 심층적, 전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While the personal level of the unconscious analyzed by Sigmund Freud has been adopted to art therapy based on free association, the collective level of the unconscious and the psychological archetype investigated by Carl Gustav Jung have been expanded into art therapy centering on the concept of mandala. Drawing on the approaches of the Freudian and Jungian schools, art therapy has recently made a remarkable progress in the form of dynamically oriented therapy, Gestalt therapy, expressive therapy, and human psychological therapy. Surrealism marked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Twentieth-century art. Having emerged from the influence of Freudian and Jungian approaches, Surrealism has been considered as a driving force of current development of art therapy because Surrealist work addresses the unconscious in an organized and systematic manner. Methods such as dreams, imagination, and paranoiac critique have functioned as a means of psychological purification, by causing catharsis in the course and as a result of Surrealists bringing absolute freedom resulting from the liberation of the unconscious to the canvas. This study seeks to find art therapeutic factors by examining the creation process of Surrealism adopting theories of Freud and Jung and their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s healing factor of art through the unconscious as well as creation process and works of Surrealist artists, with the aim of theorization of art therapy. This study examines healing potentials of art therapy and relates them to mandala, which was advocated by Jung as an archetype model that incorporates science, religions, and arts into art therapy. and surrealist creation method effective to the unconscious projection as a collective archetype. The study proposes a practical alternative treatment to eliminate conscious conflicts in facing self-reflection problems, by helping art therapists implicitly show lingering emotional conflicts, client’s problems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and client’s unconscious motivation from a viewpoint of art history or through what their work means, in clinical practices. Chapter Ⅱ discusses Freud’s personal unconscious,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and trends of various art therapies since Jung, and curing effects of Jung’s mandala, in the process of theorization of the unconscious to understand theoretic background and practical motivation of art therapy. As a means of practical art therapy, Jung introduced mandala as a collective term extracted from archetypes. Surrealists created a variety of techniques being used as a means of art therapy and ways of becoming unconscious, based on unlimited potentials of creation. Chapter Ⅲ aims to understand art creation process, the motivation of art therapy, expression and composition of the client, Surrealistic expressions of the client's unconscious through modification and symbolism, and the correlation with art therapy based on image composition.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those methods of figuration of the unconscious and symbolization, found in Surrealistic works becomes interpretation of creation process by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diagnosis, and treatment in art therapy. This process can be seen in the integration and individualization in Jung’s mandala. Chapter IV examines curing effects of Surrealistic works, dividing into the conscious and thinking, expression methods, and figurative analysis. In the conscious and thinking, Surrealistic attitude and theoretic background of illusion and imagination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expression methods, curing potentials of Surrealistic works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major expression methods of Surrealists such as automatism, depaysement, paranoiac critique method, collage, decalcomanie, and frottage. In figurative analysis, works of Rene Magritt, Joan Miro, and Marc Chagall will be assessed for curing effect through spatial symbolism, while those of Max Ernst and Salvador Dali will be used to explore curing potentials by figurative language. In chapterⅤ, as an analysis of art therapy elements of surrealistic works by means of collective analysis converging into mandala, art therapy elements will be examined in light of classical image production, creation of space, and curing effects through collective archetypes. This study aims at expanding boundaries of disparate disciplines to theorize and enhance the current practices of art therapy. It examines the course of creation methods which can be effective to the client's unconscious projection, the works of the unconscious realm, and the origin or archetype of Surrealistic expressive methods. It also deems the theoretical validity of Jung’s mandala in investigating the Surrealists collective archetype, which can be employed by current art therapis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